[include(틀:관련 문서, top1=지명자)]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함정 카드. == 설명 == [[파일:紅蓮の指名者.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홍연의 지명자, 일어판명칭=()(れん)()(めい)(しゃ), 영어판명칭=Appointer of the Red Lotus, 일반=, 효과1=①: 2000 LP를 지불하여\, 패를 전부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패를 확인하고\, 그 중에서 1장을 골라\, 다음 상대 엔드 페이즈까지 제외한다., )]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제한 카드)] 발동하려면 2000 LP를 지불하고 자기 패를 전부 공개해야 하는데, 그렇게 해서 얻는 메리트는 고작 상대 패 확인과 패 1장 일시적 제외뿐이다. 얼핏 생각하기에는 [[빛의 봉쇄검]]도 안 쓰는데 굳이 이걸 쓸 필요는 없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마이너하게 사이드 덱에서 채용되기도 하는 카드이다. 주로 선공 1턴에 날빌로 집을 지은 다음, 이를 돌파할 상대의 카드를 홍연의 지명자로 1턴 제외버리는 식으로 활용된다. 예시를 들자면 2022년 3분기 [[티아라멘츠]] VS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1강 1중 구도 시에 스프라이트 측에서 안티 스프라이트 카드로 투입된 [[명왕결계파]]를 카운터 치는 [[유니온 캐리어]]와 [[파괴검#s-2.1.2|파괴검-드래곤버스터블레이드]]를 채용한 후, 이를 [[신의 심판]]으로 막을 수 없는 [[라의 익신룡-구체형]]과 [[용암 마신 라바 골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이드 덱에 넣기도 하였다. [[https://twitter.com/muto_yp/status/1543599515416281088?s=20&t=tXdZpiqot-UqJOqTU_NF7w|#]][[https://twitter.com/cs_hagetaka/status/1543564326706954241?s=20&t=1qJn7fjRXwlo0JRMUqahig|#]] 물론 [[번개(유희왕)|번개]] 같은 범용 돌파 카드를 방어하는 데도 유효하다. [[압수(유희왕)|압수]]와 [[더스트 슛]]의 금지 이후, 범용성 있는 카드 중에 상대의 패를 직접 보고 선택해서 상대 패를 견제할 수 있는 카드는 조건부인 [[삼전의 재]]를 제외하면 사실상 이 카드가 유일한 상황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 그러나 이 카드는 견제가 1턴밖에 이어지지 못 한다는 고질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어찌할 수 없어서, 1턴 동안 상대의 패에 있는 돌파 카드를 묶어 놓음으로써 사실상 승리를 확정짓거나 적에게 막대한 손해를 강요할 수 있다는 한정적인 상황에서만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카드가 된다. 자연스럽게 이 카드는 환경이 막장인 분기에 주로 채용된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잠깐 동안 기습 카드로 재발굴됐다. 2000 LP를 줄이면서[* 유희의 스킬 데스티니 드로우의 발동 조건과 일치하며, 사이버 드래곤 덱에서도 사이버 스타일을 더욱 크게 쓰려는 용도로 투입됐다.] 상대 패를 '전부 확인 가능' 하고, 특히 상대가 전개에 필요한 카드를 서치하면 바로 엔드 페이즈까지 제외로 행동 억제를 유도할 수 있다. 듀얼 한 판이 2~4턴 만에 끝나는 원 턴 메타가 많은 듀얼링크스 특성상 자기 패가 공개돼도 다음 턴에 끝내는 데 도움을 준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라이프를 지불한다는 코스트 때문에 이벤트 듀얼인 엑시즈 페스티벌 때 잠깐 주목을 받았었다. 이유는 스스로 라이프를 깎아서 빨리 듀얼을 끝내는 자폭덱에 이 카드를 투입하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 이후의 이벤트 듀얼에서는 자폭덱에 대한 제재가 가해지면서 이벤트 듀얼 한정으로 계속 금지 카드로 지정되는 불명예를 얻었다. 다른 [[지명자]] 카드들과는 달리 영문판 카드명이 Designator가 아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JP08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동옥의 빙결계|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凍獄の氷結界-]] || SD40-JP035 || [[노멀]] || 일본 ||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EN08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OTS Tournament Pack 14 || OP14-EN011 || [[슈퍼 레어]] || 미국 || || || [[동옥의 빙결계|Structure Deck: Freezing Chains]] || SDFC-EN035 || [[노멀]] || 미국 || || || [[광속의 스타더스트]] || SOVR-KR08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동옥의 빙결계|스트럭처 덱 동옥의 빙결계]] || SD40-KR035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압수(유희왕)|압수]] === === [[빛의 봉쇄검]]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지명자, version=156)]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