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정주시 출신 인물]][[분류:1878년 출생]][[분류:1958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홍성린}}}[br]洪成麟'''}}}}}} || ||<|2> '''출생''' ||[[1878년]] [[9월 20일]] || ||[[평안북도]] [[정주시|정주군]] 정주읍 성내동 || ||<|2> '''사망''' ||[[1958년]] [[10월 13일]] ||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 || '''직업''' ||독립운동가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홍성린은 1878년 9월 20일 평안북도 정주군 정주읍 성내동에서 태어났다. 그는 1907년 [[양기탁]], [[안창호]], [[전덕기]] 등이 결성한 [[신민회]] 평안북도 지회에 가담하여 [[선우혁(독립운동가)|선우혁]], [[한진교]]와 함께 인성소학교(仁成小學校)를 설립하는 등 계몽운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1911년 9월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된 뒤 경성지방재판소에서 1912년 9월 28일에 징역 7년형을 언도받았다. 이에 공판투쟁을 완강히 전개한 결과 공소심에서 1913년 3월 20일 무죄선고를 받았으나, 실질적으로 2년간 옥고를 겪었고 잔혹한 고문을 당하였다. 이후 서울에서 조용히 지내다가 1958년 10월 13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홍성린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1996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