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코미디언, rd1=홍기훈)] ||<-5> [[민주당(1991년)|[[파일:민주당(1991년) 로고.svg|width=30%]]]] {{{#000000 '''정책위원회 의장'''}}} || || 제3대[br][[김병오(정치인)|김병오]] || → || '''제4대[br]홍기훈''' || → || ''당명변경''[br]{{{-2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으로 당명변경)}}} || ||<-5> [[통합민주당(1995년)|[[파일:통합민주당 1995년 로고.svg|width=30%]]]] {{{#000 '''정책위원회 의장'''}}} || || ''창당'' || → || '''초대[br]홍기훈''' || → || 제2대[br][[이규정]] || ||<-2> {{{#ffffff '''대한민국 제13-14대 국회의원[br]{{{+1 홍기훈}}}[br]洪起薰 | Hong Ki-hu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140623152336801.jpg|width=100%]]}}} || ||<|2> '''출생''' ||[[1953년]] [[2월 6일]]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 '''본관''' ||[[풍산 홍씨]][* 24세 기(起) 항렬.] || || '''학력''' ||광주 서중학교 {{{-2 (졸업)}}}[br][[광주제일고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2 ([[신문방송학]] / [[학사]])}}}[br][[미시간 주립대학교|미시간 주립대학교 대학원]] {{{-2 ([[정치학]] / [[석사]]·[[박사]])}}} || || '''종교''' ||[[기독교]]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13대 국회의원|13]], [[제14대 국회의원|14]]''' || || '''경력''' ||연세대학교 정법 학우회 회장[br]재미유학생 직선제개헌 서명위원회 위원장[br]평화민주당 창당발기인[br]한국/인도네시아 의원선친협의회 의장[br]신민주연합당 부대변인[br]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br]김대중 총재 홍보 비서[br]통합민주당 총선기획단 위원장[br]국민통합추진회의 기획조정실장||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풍산 홍씨|풍산]](豊山). == 생애 == 1953년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인권[[변호사]] [[홍남순]]의 아들로 태어났다. 광주서중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87년 [[평화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으며 [[김대중]] [[총재]]의 비서를 역임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전라남도 화순군-[[곡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민주정의당]] [[구용상]]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당시 지역구 당선자 중 최연소[* [[전국구]] 최연소 당선자는 권철현 전 연합철강 대표의 아들인 [[통일민주당]] [[권헌성]] 후보.]였다. 이후 [[대한민국 국회]] 동력자원위원회 간사, 신민주연합당 부대변인을 역임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91년)|민주당]] 후보로 전라남도 화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자유당]] 구용상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94년 민주당 지방자치특별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95년 [[김대중]]이 정계복귀하여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할 때 합류하지 않고 잔류하였다. 이후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에 임명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이택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 후 [[김원기]], [[노무현]] 등과 함께 당내 반[[이기택]]계 지구당위원장 모임인 '[[국민통합추진회의]]'를 결성했다가 통합민주당에서 제명되었고, 이 후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통추가 김대중과 [[이회창]] 지지를 놓고 분열됐을 때 [[제정구]], [[박계동]] 등과 함께 [[한나라당]]을 택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 공천을 받아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을(현재의 [[일산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천년민주당]] [[김덕배(정치인)|김덕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3년 다시 한나라당을 탈당하여 [[열린우리당]]에 입당하였으나, 2004년 [[전라남도지사]] 보궐선거 당내 경선에서 [[민화식]] 해남군수에 밀려 탈락했다. 2014년 [[새정치연합]] 창당발기인으로 참석했다.[[http://www.newsband.kr/news/articleView.html?idxno=49187|#]] [[2016년]] [[안철수]]를 따라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 입당해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남 나주, 화순의 국민의당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불발되었다. 2018년 [[민주평화당]] 창당에 참여해 고문으로 활동했으나 당 내 분란이 지속되자 [[권노갑]], [[정대철]] 등과 함께 민주평화당을 탈당했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20/2019092001808.html|#]] 2021년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캠프의 전남총괄선거대책위원장으로 영입되었다.[[https://www.honam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409|#]] 그리고 2022년 1월 27일 공식적으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1987 - 1991 || 창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신민주연합당)] || 199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1 - 1995 || 합당[* [[민주당(1990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1995 - 1997 || 합당[* [[개혁신당(1995년)|개혁신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7 || 합당[* [[신한국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7 - 2000 || 탈당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000 - 2003 || 복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합당[*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3 - 2014 || 탈당 || || [include(틀:새정치연합)][br]([include(틀:무소속)]) || 2014 || 창당준비위원회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5 - 2016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016 - 2018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8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br]([[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 반대)] || || [include(틀:민주평화당)] || 2018 - 2019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9 - 2020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대안신당)] || 2020 || 창당 || || [include(틀:민생당)] || 2020 - 2021 || 합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1 || 탈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1 - || 입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전남 곡성·화순 || [include(틀:평화민주당)] || '''56,582 (74.8%)''' ||<|2> '''당선 (1위)''' || '''초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전남 [[나주시·화순군|화순]]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23,118 (59.93%)''' || '''재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고양 일산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18,676 (13.52%) || 낙선 (3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고양시 정|고양 일산 을]]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6,401 (35.87%) || 낙선 (2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3대 국회의원/전라남도)] [include(틀:제14대 국회의원/전라남도)] == 관련 문서 == * [[정치인/목록]]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홍기훈,version=15)]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13대 국회의원]][[분류:제14대 국회의원]][[분류:평화민주당 국회의원]][[분류:신민주연합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91년) 국회의원]][[분류:통합민주당(1995년) 국회의원]][[분류:1953년 출생]][[분류:풍산 홍씨]][[분류:화순군 출신 인물]][[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미시간 주립대학교 출신]][[분류:국민의힘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