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면역계/세포)] [include(틀:면역계의 세포)] || {{{+3 '''호염구'''}}}[br]Basophi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ntranet.tdmu.edu.ua/image032.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염구([[好]][[鹽]][[球]], Basophil), 또는 호염기구([[好]][[鹽]][[基]][[球]])는 [[면역계]]의 세포로, 염기성 약제에 염색된다. == 기능 == 전체 백혈구의 1% 미만 정도인 이 녀석들은 알러지 반응에 작용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다. [[알러지]]는 대개 [[기생충]]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기생충이 거의 없어지고 [[자가면역질환]]이 문제시된 현대 선진국에서는 그 중요성이 비교적 줄어드나, 세계 인구의 75% 이상은 여전히 빈곤과 기생충에 시달리고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세포이다. 비만세포와 함께 알러지반응을 활성화 시키는 데 투톱인 세포들이다. [[호중구]]나 [[호산구]]와 달리 [[포식작용]]을 하지 않는다. 혈액 응고를 억제시키는 [[헤파린]]도 가지고 다닌다. 호염구는 평소에는 골수에 짱박혀있으며 그 수도 과립구 중에선 제일 적다. 면역반응에 관여하다가 파손당한 경우, [[히스타민]]을 분비하여 염증반응을 강화시킨다. 최근에는 T세포의 작용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체적인 면역기능에 기능하는 호중구, 기생충 등 특정 항원에 대한 면역 기능을 보이는 호산구 등의 백혈구와 달리 아직도 기능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세포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면역계/세포,version=66)] [[분류:면역계/세포]][[분류: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