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joaquin2023.png|width=100%]] || ||<#6c3483><:> '''{{{+5 {{{#edc40c JOAQUIN WILDE }}} }}}''' || [목차] == 프로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oaquinwilde.png|width=340]]}}} |||| ||||
<#3c30fe> {{{#ffffff '''SMACKDOWN'''}}} || || '''링네임''' || Michael Montecarlo [br] DJ Zema [br] Shiima Casanova [br] Shiima Xion [br] Zema Ion [br] DJZ [br] '''Joaquin Wilde''' || || '''본명''' || Michael Paris [br] 마이클 패리스 || || '''생년월일''' || [[1986년]] [[10월 5일]] ([age(1986-10-05)]세) || || '''출신지'''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 || '''신장''' || 173cm || || '''체중''' || 82kg || || '''별명''' || The Filipino Flex Factory [br] The Filipino Playboy [br] The Future of Fashion [br] The Virgin Slayer [br] That Yung Go-Hard || || '''유형''' || [[하이 플라이어]] || || '''주요 커리어''' || AAW 헤리티지 챔피언 1회 [br] R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1회 [br] NEP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태그팀 챔피언 1회 [br] CWE 언디스퓨티드 챔피언 1회 [br] FN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2회 [br] IPW 텍사스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 [br] IWC 수퍼 인디 챔피언 2회 [br] IWC 태그팀 챔피언 2회 [br] IWC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br] AIW 앱솔루트 챔피언 1회 [br] AIW 인탠스 챔피언 1회 [br] AIW 태그팀 챔피언 1회 [br] IWA 이스트 코스트 제로-G 크라운 [br] 타케치 6인 태그 스크럼블 컵 [br] [[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십|TNA X 디비전 챔피언]] 2회 [br]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630도 센턴 [br] 고리 밤 [br] 서브미션 임파서블 [br] 바이블 블랙 [br] 필리피노 디스트로이어 [br] 프롬 러스트 투 더스트 [br] ZDT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OoSLiR7b21I|Hot as Fire]] [br] [[https://youtu.be/O6rHwdSXHSE|Legacy Of The Ghost]][* [[레가도 델 판타스마]] 입장 테마곡] [br] [[https://youtu.be/jzr92Kc2D8Q|'''Our World''']][* [[LWO]] 스테이블 테마곡] || || '''SNS''' || [[https://instagram.com/joaquinwilde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oaquinwilde_, 크기=24)] || ||[youtube(jzr92Kc2D8Q)]|| == 소개 == TNA/임팩트 레슬링을 거쳐 [[WWE]]에 입성한 필리핀계 미국인 선수. 현재 [[WWE SMACKDOWN]] 소속이다. == 커리어 == === TNA/임팩트 레슬링 === 여러 단체를 오가며 경력을 쌓다가 '''지마 아이온'''이라는 링네임으로 2011년 TNA에서 활동하게 되고 X디비전 무대에서 주로 활약을 했다.[* 활동 도중에 2012년 어게인스트 올 오즈에서 벌인 [[제시 소렌슨]]과의 경기 도중 시전한 문설트가 잘못맞아 제시 소렌슨이 목부상을 당하는 사고가 있었다.] 그러다가 브로맨스라는 스테이블을 결성해 '''DJ Z'''로 변경하고 2018년 말까지 임팩트 레슬링에서 활동한다. === WWE === ==== [[NXT]] ==== 2019년 3월에 WWE와 수련생 계약을 맺고 활동하면서 NXT에서 활동하게 되고 링네임을 '''호아킨 와일드'''로 변경하고 활동한다. NXT단장 윌리엄 리갈이 주최한 [[NXT 브레이크아웃 토너먼트|브레이크아웃 토너먼트]]에 참가하면서 8강에서 [[엔젤 가르자]]에게 패배한다. 이후에도 신인들에 대한 질투를 하고 다니는 [[셰인 헤이스트|셰인 쏜]]과 마찰이 벌어지고 패배한다. 부상으로 잠시 출연을 못하다가 [[WWE 205 라이브]]를 통해 복귀하면서 1승를 거둔다. 2020년 1월 8일에 방영된 NXT에서 [[오스틴 띠어리]]와 경기를 가지지만 패배한다. 1월 22일 NXT에서 [[핀 밸러]]를 상대하지만 또 패배한다. 205에 출연해서는 멕시코 출신의 [[라울 멘도사]]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경기 후에 둘간의 별 마찰없이 마무리된다. 이후에 한번더 격돌하지만 패배하고 3차전에서는 다시 승리를 거둔다. 3월 20일에 벌어진 205에서 [[대니 버치]]를 상대하지만 패배하고 27일에는 같은 브레이크아웃 토너먼트 참가자였던 [[아이재이아 스캇]]을 상대하지만 이경기에서도 패배한다. 4월 1일에 방영된 NXT에서 [[KUSHIDA]]를 상대로 패하고 주차장에서 가면을 쓴 2인조에게 붙잡혀 라울 멘도사처럼 강제로 차에 탄다. 6월 10일에 방영된 NXT를 통해 재등장하면서 그를 납치한 인물은 [[엘 이호 델 판타스마]]였고, 그로인해 악역전환을 하면서 엘 히호 델 판타스마와 같이 팀을 결성한다. NXT 테이크오버 XXX에서 프리쇼로 벌어지는 넘버원 컨텐더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브리장고]], [[오니 로컨]] & [[대니 버치]]를 상대하게 되지만 패배한다. 악역이 된 후부터는 어색했던 선역때와 달리 가차없이 반칙과 난입도 서슴치않고 하는 모습을 보이며, 산토스 에스코바르와 같이 범죄 수준의 구타와 산토스 에스코바르의 승리에 일조하는 일을 반복하고 있다. [[더스티 로즈 태그팀 클래식]]에 라울 멘도사와 같이 레가도 델 판타스마 대표로 참가하며 16강에서 발리우드 보이즈를 꺾고, 8강에서 [[루차 하우스 파티]]를 꺾고 올라가지만 4강에서 새롭게 들어온 [[MSK]]([[웨스 리]] & [[내쉬 카터]])에게 패하며 탈락된다. 이후 산토스 에스코바르의 지시로 라울 멘도사와 같이 [[캐리언 크로스]]을 습격하려고 하다가 역으로 캐리언 크로스에게 당한다. NXT 태그팀 챔피언중 1명인 대니 버치가 부상당하면서 태그팀 챔피언 자리가 공석이 되자 테이크오버 스탠드 & 딜리버에서 MSK VS 그리즐드 영 베테랑스 VS 레가도 델 판타스마의 NXT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는데 MSK가 승리를 거두면서 패한다. 산토스 에스코바르가 [[KUSHIDA]]에게 패하면서 챔피언 자리를 잃게되고, 4월 27일에 레가도 델 판타스마는 쿠시다 & MSK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서로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 NXT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노린다. 산토스 에스코바르는 쿠시다에게 패하고, 호아킨 와일드 & 라울 멘도사는 6월 1일에 MSK와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로 맞붙게 되지만 산토스 에스코바르처럼 패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건방지고 잘난척하고 다니는 레가도 델 판타스마는 브론슨 리드 & MSK의 모든 타이틀을 걸고 붙자며 테이크오버 인 유어 하우스 2021에서 맞붙게 되지만, 브론슨 리드 & MSK에게 패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산토스 에스코바르가 노스 아메리칸 챔피언 벨트를 노리면서 레가도 델 판타스마와 아이재이아 스캇이 이끄는 [[히트 로우]]의 대립이 벌어지지만 레가도 델 판타스마가 계속해서 머릿수를 이용한 온갖 습격을 반복적으로 나오나 히트 로우는 [[B-팹]]까지 더해서 머릿수가 더 많아 레가도 델 판타스마가 전과 달리 밀린다. 8월 24일에 양팀의 남성 3명이 맞붙게 되면서 레가도 델 판타스마도 머릿수로 상대하기 위해 B-팹을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카리사 리베라|엘렉트라 로페즈]]를 영입하면서 레가도 델 판타스마가 승리를 거둔다. 여전히 산토스 에스코바르의 꼬붕으로 다니면서 그의 승리에만 일조하는 역할로 활용되고 있고, 11월 2일에 라울 멘도사와 같이 엘렉트라 로페즈를 대동하고 등장하면서 [[카일 오 라일리]] & [[본 와그너]]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2022년 더스티 로즈 태그팀 클래식에 라울 멘도사와 같이 참가하게되는데, 8강에서 [[말릭 블레이드]] & [[이드리스 이노페]]를 상대로 산토스의 도움을 받으려다가 [[브론 브레이커]]가 나서서 막으면서 패한다. 3월 8일 [[WWE 로드블록(2022)]]에서 레가도 델 판타스마는 [[조쉬 브릭스]] & [[브룩스 젠슨]] & [[팰런 헨리]]와 마주치며 대립을 형성한다. 29일에 라울 멘도사와 같이 조쉬 브릭스 & 브룩스 젠슨을 상대하나 패한다. 4월 12일에 공석이 된 NXT 태그팀 챔피언을 가릴 건틀렛 매치가 벌어지면서 라울 멘도사와 같이 참가하지만 [[다이아몬드 마인|크리드 브라더스]]([[줄리어스 크리드]] & [[브루터스 크리드]])에게 패해 탈락된다. 26일에 크루즈 델 토로(라울 멘도사) & 엘렉트라 로페즈와 같이 조쉬 브릭스 & 브룩스 젠슨 & 팰런 헨리를 상대로 혼성 태그팀 매치에서 브룩스 젠슨이 [[본 와그너]]의 습격으로 출전할 수 없는 상태에서 머릿수가 가장 유리해 레가도 델 판타스마가 승리를 거둔다. NXT 인 유어 하우스 2022에서 디안젤로 패밀리와 레가도 델 판타스마간의 경기가 확정되면서 패한 팀은 이긴 팀의 멤버로 들어간다는 조건이 추가된다. 인 유어 하우스에서 디안젤로 패밀리가 승리를 거두며 레가도 델 판타스마가 토니 디 안젤로 밑으로 들어가게 된다. 토니 디 안젤로는 산토스 에스코바르가 자신을 따르지 않자 본보기로 손을 봐주며 산토스의 부하들(호아킨 와일드 & 크루즈 델 토로 & 엘렉트라 로페즈)에게 자신을 따르지 않으면 산토스같이 만들겠다며 위협을 준다. 7월 26일에 토니 디 안젤로 & [[채닝 로렌|채닝 로렌조]] & 크루즈 델 토로와 같이 다이아몬드 마인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8월 2일에 벌어진 크리드 브라더스 VS 토니 디 안젤로 & 채닝 로렌조의 NXT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서 산토스 에스코바르가 복귀하면서 토니 디 안젤로를 방해해 패하게 만들고, 토니 디 안젤로를 따를 수 밖에 없었던 호아킨 와일드 & 크루즈 델 토로 & 엘렉트라 로페즈 등 다시 산토스쪽으로 붙으며 레가도 델 판타스마가 부활하지만 16일 특집으로 열린 [[WWE 히트웨이브(2022)]]에서 산토스 에스코바르가 패하며 레가도 델 판타스마의 해체와 동시에 산토스 에스코바르가 NXT에서 쫓겨남으로 인해 산토스의 부하로 다닌 3명은 평생을 토니 디 안젤로의 노예로 살게된다. 다시 토니 디 안젤로 밑에서 활동하다가 23일에 다이애드에게 패한 호아킨 와일드 & 라울 멘도사는 엘렉트라 로페즈와 같이 귀가하다가 주차장에서 산토스 에스코바르가 차를 타고 나타나 다같이 가자며 레가도 델 판타스마는 해체되지 않은 채로 4인 체제를 유지하며 산토스를 따라간다. ==== [[스맥다운]] ==== 콜업대상으로 거론되면서 10월 7일 스맥다운에 [[레가도 델 판타스마]]가 메인로스터로 이적하는데, 홍일점이자 매니저인 엘렉트라 로페즈의 자리엔 [[젤리나 베가]]가 대신 들어가며 NXT시절부터 대립한 히트 로우를 공격하며 콜업된다. 14일에 호아킨 와일드 크루즈 델 토로가 메인무대에서 첫 경기를 가지면서 히트 로우의 탑 달러 & 아샨티 아도니스를 상대하게 되면서 머릿수가 많은 레가도 델 판타스마가 방해작전을 써서 승리를 거둔다. 머릿수만 믿고 비겁한 짓을 일삼는 산토스 에스코바르가 히트 로우에게 다시 도전하자 28일에 히트 로우는 레가도 델 판타스마가 머릿수를 이용한반칙을 쓰고있는것에 대비해 [[나카무라 신스케]]를 파트너로 데려오고 경기는 레가도 델 판타스마가 패한다. 히트 로우와 레가도 델 판타스마의 대립이 진행된 가운데 [[바이킹 레이더스]]가 복귀하며 2팀을 공격하고, 3팀간의 3파전으로 이어지며 12월 16일에 [[우소즈]]의 태그팀 챔피언십에 도전할 넘버원 컨텐더 매치로 맞붙지만 히트 로우가 승리를 거두면서 패한다. 2023년에 우소즈의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 도전자를 가릴 토너먼트가 열리면서 크루즈 델 토로와 같이 참가하면서 [[맥시멈 메일 모델스]]를 꺾지만 [[임페리움(스테이블)|임페리움]]에게 패하며 탈락된다. 산토스 에스코바르가 [[레이 미스테리오]]와 우호적인 관계가 되며 선역이 되며 3월 10일에 레가도 델 판타스마 전원이 [[저지먼트 데이(스테이블)|저지먼트 데이]]를 상대하게 되지만 저지먼트 데이가 승리를 거두며 패한다. 31일에 앙드레 더 자이언트 배틀로얄에 레가도 델 판타스마 남성 멤버 전원이 참가하지만 탈락되면서 우승하지 못한다. 11월 10일에 [[칼리토(프로레슬러)|칼리토]]가 [[바비 래쉴리]]와의 경기에서 패하고, 경기 후 레이 미스테리오와 산토스 에스코바르 간의 갈등이 생기며 레가도 델 판타스마 멤버들도 어쩔줄 몰라하고 산토스가 레이미스테리오롤 공격하며 악역전환한다. 17일에 레가도 델 판타스마의 다른 멤버들마저 산토스의 악역전환으로 인해 산토스에게 버림받는다. 12월 1일에 산토스 에스코바르와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19일에 방영된 NXT에 호아킨 와일드 & 크루즈 델 토로가 등장해 [[드류 굴락]]이 이끄는 노 쿼터 캐치 크루에게 구타당하는 드래곤 리를 도와주러 나온다. == 기타 == * 결혼한 유부남이며 슬하에 딸이 1명 있다. * 과거에 [[링 오브 아너]] 로고를 제작하기도 했다. [[https://www.reddit.com/r/ROH/comments/qhuf13/til_nxts_joaquin_wilde_fka_shiima_xion_designed/?utm_source=share&utm_medium=web2x&context=3|링크]] == 둘러보기 == [include(틀:레가도 델 판타스마)] [include(틀:LWO)] ||<-5>
[[파일:AI0g2mI8.jpg|width=100]] || ||<-6> '''IWC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릭키 레제스[br](2006) || → || '''지마 아이온[br](2008)''' || → || 미정 || ||<-6> '''IWC 슈퍼 인디 토너먼트 우승자''' || || 슈퍼 헨타이[br](2009) || → || '''지마 아이온[br](2010)''' || → || [[로버트 안소니|에고티스티코 판타스티코]][br](2011) || ||<-5>
[[파일:iwa-east-coast-165x165.png|width=100]] || ||<-6> '''IWA 이스트 코스트 제로 G 크라운 토너먼트 우승자''' || || 아론 드래이븐[br](2007) || → || '''지마 아이온[br](2008)''' || → || 파케이드[br](2015) || ||<-5>
[[파일:Absolute_Intense_Wrestling.png|width=100]] || ||<-6> '''AIW 토드 페텐킬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 우승자''' || || 창설 || → || '''지마 아이온[br](2011)''' || → || 미정 || ||<-5>
[[파일:TNA-impact.jpg|width=200]] || ||<-6> '''TNA X 디비전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알렉스 셸리]][br](2009) || → || '''지마 아이온[br](2012)''' || → || [[TJP|매닉]][br](2013) || ||<-5> [[머니 인 더 뱅크#s-8|[[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NA_Feast_or_Fired_Logo.jpg|width=250]]]] || ||<-5> '''TNA / 임팩트 레슬링 피스트 오어 파이어드 우승자'''[*☆ X 디비전 챔피언십 도전 자격 획득자 기준] || || [[랍 테리]][br](2009) || → || '''지마 아이온[br](2013)''' || → || [[드레이크 매버릭|락스타 스퍼드]][br](2015) || ||<-5>
{{{#ffffff '''CAGEMATCH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TNA 경기'''}}} || || 2011년 || 7월 10일[br]TNA 데스티네이션 X || 포 웨이 X 디비전 쇼케이스 토너먼트[br]__[[오스틴 에리스]]__ vs [[로우 키]] vs 잭 에반스 vs '''지마 아이온''' ||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86년 출생]][[분류:로스앤젤레스 출신 인물]][[분류:필리핀계 미국인]][[분류:2004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