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00년 출생]][[분류:1916년 데뷔]][[분류:1936년 은퇴]][[분류:1957년 사망]][[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분류:페루의 축구선수]][[분류:페루의 축구감독]][[분류:알리안사 리마/은퇴, 이적]][[분류:알리안사 리마/역대 감독]][[분류:페루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참가 선수]][[분류:페루의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분류:1927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페루 참가 선수]][[분류:리마 출신 인물]] ||<-2> [[파일:external/img15.hostingpics.net/247107koochoijorgealianzalo.jpg|width=100%]] || || 이름 || 호르헤 “쿠초이” 사르미엔토[br](Jorge "Koochoi" Sarmiento) || || 생년월일 || [[1900년]] [[11월 2일]] || || 사망년월일[* [[2월 25일]]이라는 설도 있다] || [[1957년]] [[2월 20일]] || || 국적 || [[페루]] || || 출신지 || [[리마]] ||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 신체조건 || 불명 || || 등번호 ||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소속팀 || 스포르트 호세 갈베스(1916-1917)[br]'''[[알리안사 리마]](1918-1934)'''[br]데포르티보 무니시팔(1935-1936) || || 국가대표[* 소집은 더 되었지만 실제 대표팀에서 뛴 기록은 이것이 전부다] || 2경기 1골(1927) || || 감독 || [[알리안사 리마]](1935-1937) || [목차] == 개요 == [[페루]]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감독]]. [[1935년]]부터 [[1937년]]까지 알리안사 리마 감독을 맡았다. == 생애 == === 어린 시절 === 그는 1900년 리마의 푸노 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중국계로 부유한 제빵사였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아버지는 호르헤가 2살 때 돌아가셨고 과달루페 대학의 부속 학교에서 공부하였다. 1916년 스포르트 호세 갈베스 클럽에 들어간 사르미엔토는 말년에 데포르티보에서 잠시 뛴 것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클럽 생활을 이곳에서 보냈다. === 선수 생활 === 알리안사 리마는 초기 페루 리그에서 그야말로 [[최종보스]]였다. 3년 반 동안 무패행진을 지속했었고 26연승을 거두기도 했다. 1931년에는 경기당 득점이 4.8에 육박하는 말 그대로 깡패팀이었다. 그리고 사르미엔토는 검은 롤러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알리안사 리마의 확실한 에이스였다. 그래서 종종 페루 밖의 팀과 붙을 때에는 알리안사 리마가 시합을 나가곤 했다. 1927년이 그의 커리어에서 가장 중요한 해였는데,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 대표팀]]이 [[CONMEBOL 코파 아메리카|남아메리카 챔피언십]]에 나간 것이다.[* 모든 그 이전 대회에서는 기권했다.] 하지만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의 벽은 높았다. 2경기에서 모두 4점차로 대패했다. 그나마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볼리비아]]를 잡은 것이 위안이었다. 또한 알리안사 리마가 중앙 아메리카와 멕시코로 투어를 갔을 때 사르미엔토는 팀 내 득점왕의 자리를 차지하였다. 1929년에는 잘 나가다가 팀이 쪼개져서 알리안사 리마 소속으로는 뛰지 못했지만 다른 팀에서 기량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1930년 월드컵]]에 참가하긴 했지만 피치를 밟지는 못했다. 1931년과 33년 사이에는 [[연속우승|전설적인 알리안사 리마의 기록]]을 만들기도 하였고 1935년에는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러면서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에서 선수 생활을 하기도 했는데 무니시팔은 1부 리그에 올라가기도 했다. === 은퇴 후 === 은퇴 후에는 [[기사#s-3.2|운전기사]]로 일하기도 하였다. 말년에는 [[비장]]의 이상으로 고통 받았는데, 프로카인의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숨을 거두었다. == 플레이 스타일&평가 == 사르미엔토는 초기 페루 축구의 최고 스타였다. 그는 축구 지능이 좋았고, 양발잡이였으며 정확하고 기술적인 슈팅을 갖고 있었다. 또한 그는 두꺼운 체형이었으며 성격적으로는 신사적인 매너와 카리스마까지 갖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 뒷이야기 == * 그의 이름에서는 의외로 아버지의 성이 전해지지 않는다. 사르미엔토는 어머니의 성이고 쿠초이는 그의 별명이다. * 사르미엔토의 8회 우승 기록은 역대 페루 리거 중 최다 우승 기록이다. == 수상 == === 클럽 === *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8회: 1916(스포르트 호세 갈베스), 1918, 1919, 1927, 1928, 1931, 1932, 1933(이상 [[알리안사 리마]]) *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 준우승 2회: 1917, 1930([[알리안사 리마]]) === 감독 === *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 준우승 1회: 1935([[알리안사 리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