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프랑스 함선)] [include(틀:현대전/이탈리아 함선)] ||[[파일:Forbin-090531-N-9988F-406.jpg|width=100%]]|| [목차] == 개요 == ||[youtube(qFxVpRPyPHk)]|| || Frégates Horizon Forbin et Chevalier Paul || ||[youtube(EbiKIUqwMs4)]|| || Le Chevalier Paul : une frégate à la pointe du progrès || [[프랑스 해군]]의 차세대 방공 [[호위함]], [[이탈리아 해군]]의 방공 [[구축함]]이다. 현재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공동으로 호라이즌이라는 계획명으로 차세대 방공 구축함을 건조하고 있다. 프랑스는 처음에 4척을 건조하여 [[쉬프랑급 호위함]]과 [[카사드급 호위함]]을 대체할 예정이었지만 2척으로 축소되어, 쉬프랑급 2척만 대체할 예정이다. 1번함 D-620 포르방(Forvin)은 2008년, 2번함 슈발리에 폴(Chevalier Paul)은 2009년 취역했다. [[프랑스]]에서는 [[호위함]]으로 분류하고 [[이탈리아]]에서는 [[구축함]]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문서명을 호라이즌급 구축함 혹은 호라이즌급 호위함이라고도 못하고 그냥 호라이즌급으로 두고있다.[* 그런데 [[프랑스]]에서는 언젠가부터 [[호위함]]이 [[구축함]]급 배수량에, 함번은 D가 붙는데 호위함이라고 부르고, [[호위함]]급 배수량에 함번 F로 시작하는 배는 [[초계함]]이라고 부르고있다.] == 제원 == ||<-5><:> '''{{{+1 {{{#FFFFFF 호라이즌급}}} }}} [br] {{{#FFFFFF Horizon-class}}}''' || ||||<:><#eeeeee> '''함급''' ||<:> '''{{{#FFFFFF 포르방급 호위함(프랑스)}}}''' ||<:> '''{{{#FFFFFF 오리존테급 구축함(이탈리아)}}}''' || ||||<:><#eeeeee> '''설계 업체''' ||<-2><:> Horizon Sas || ||||<:><#eeeeee> '''건조 업체''' ||<:> DCNS ||<:> Fincantieri || ||||<:><#eeeeee> '''취역 역사''' ||<:> 2008년 ~ 2009년 ||<:> 2007년 ~ 2009년 || ||||<:><#eeeeee> '''전장''' ||<-2><:> 152.87 m || ||||<:><#eeeeee> '''전폭''' ||<-2><:> 20.3 m || ||||<:><#eeeeee> '''흘수선''' ||<-2><:> 5.4 m || ||||<:><#eeeeee> '''기준배수량''' ||<-2><:> 5,290 t || ||||<:><#eeeeee> '''만재배수량''' ||<-2><:> 7,050 t || ||<|3><#eeeeee> '''동력''' ||<:><#eeeeee> '''방식''' ||<-2><:> [[CODOG]] || ||<:><#eeeeee> '''기관''' ||<-2><:> General Electric LM2500 가스터빈엔진 x 2기[* 20,500 kW, 27,491 hp] [br] SEMT Pielstick 12PA6 STC 디젤엔진 x 2기[* 4,320 kW, 5,793 hp] [br] Isotta Fraschini V1716T2ME[* 1,600 kW, 2,146 hp] [br] '''총 70,860 BHP''' || ||<:><#eeeeee> '''추진''' ||<-2><:> 가변피치 프로펠러 2축 || ||||<:><#eeeeee> '''최대속력''' ||<-2><:> 29노트 || ||||<:><#eeeeee> '''항속거리''' ||<-2><:> 18노트 순항시 11,000 km [br] 25노트 순항시 6,480 km || ||||<:><#eeeeee> '''승조원''' ||<-2><:> 230명 || ||<|5><#eeeeee> '''레이더''' ||<:><#eeeeee> '''고정''' ||<-2><:> Selex ES [[EMPAR]] 다기능 레이더 || ||<:><#eeeeee> '''사격 통제''' ||<-2><:> MM/SPG-75 레이더 || ||<:><#eeeeee> '''수상 수색''' ||<:> - ||<:> Selex RAN 30X/I 레이더 || ||<:><#eeeeee> '''대공''' ||<-2><:> S1850M 레이더 || ||<:><#eeeeee> '''항법''' ||<-2><:> MM/SPN-753(V)4 레이더 || ||<|3><#eeeeee> '''소나''' ||<:><#eeeeee> '''소나체계''' ||<-2><:> - || ||<:><#eeeeee> '''고정''' ||<-2><:> UMS 4110 CL 선저 소나 || ||<:><#eeeeee> '''예인''' ||<-2><:> - || ||<|2><#eeeeee> '''센서''' ||<:><#eeeeee> '''EO/IR''' ||<-2><:> Sagem IRST Vampir MB || ||<:><#eeeeee> '''IFF''' ||<-2><:> Selex ES IFF SIR R/S || ||<|2><#eeeeee> '''기만체계''' ||<#eeeeee> '''디코이''' ||<-2><:> ODLS-H 디코이 발사 시스템 [br] SLAT 어뢰 기만 체계 || ||<:><#eeeeee> '''ECM/ESM''' ||<-2><:> NETTUNO-4100 ECM || ||<|6><#eeeeee> '''성능''' ||<#eeeeee> '''탐지/추적''' ||<-2><:> 300개 || ||<:><#eeeeee> '''동시교전''' ||<-2><:> 50개 || ||<:><#eeeeee> '''통상 탐지거리''' ||<-2><:> 90 km || ||<:><#eeeeee> '''최대 탐지거리''' ||<-2><:> 180 km || ||<:><#eeeeee> '''미사일 탐지거리''' ||<-2><:> 40 km~23 km || ||<:><#eeeeee> '''RCS''' ||<-2><:> - || ||||<:><#eeeeee> '''전투정보시스템''' ||<-2><:> CMS[* Combat Management System] || ||||<:><#eeeeee> '''사격통제시스템''' ||<-2><:> - || ||||<:><#eeeeee> '''통신/데이터링크''' ||<-2><:> - || ||<|6><#eeeeee> '''무장''' ||<#eeeeee> '''함포''' ||<:> [[오토멜라라 76mm 함포|오토 멜라라 3인치 62 구경장 함포]] × 2문 ||<:> [[오토멜라라 76mm 함포|오토 멜라라 3인치 62 구경장 함포]] × 3문 || ||<:><#eeeeee> '''VLS''' ||<-2><:> A50 Sylver × 48셀 || ||<:><#eeeeee> '''대잠체계''' ||<-2><:> WASS B515/1 324 mm 어뢰 발사기 x 2기 || ||<:><#eeeeee> '''근접방어체계''' ||<:> [[미스트랄(미사일)|SADRAL Mistral CIWS]] × 2문 [br] modèle F2 20mm 기관포 × 2문 ||<:> 오토 멜라라 KBA 25mm 기관포 × 2문 [br] LRAD Sitep MS-424 || ||<:><#eeeeee> '''함대공 미사일''' ||<-2><:> [[아스터 미사일|아스터 15/30]] || ||<:><#eeeeee> '''함대함 미사일''' ||<:> [[엑조세|Exocet MM40]] ||<:> [[오토마트|TESEO Mk-2/A]] || ||||<:><#eeeeee> '''탑재항공기''' ||<-2><:> [[AW-101]] or [[NH90]] || == 특징 == 포르방급 구축함은 적극적인 스텔스 설계를 도입하며, 경사설계와 더불어 레이더 전파반사원이 되는 평면이 직각으로 2면이나 3면이 교차하는 코너 리플렉터를 구성하는 것을 피하고 있다. 추진방식은 디젤 엔진 및 가스터빈을 사용하는 CODOG 방식이며, 5엽 가변피치 프로펠러를 이용해 2축으로 구동한다. 엔진은 AVIO/GE사의 LM2500(29,250hp) 가스터빈 2기, SEMT-피엘스틱사의 12PA6 STC(5,850hp) 디젤엔진 2기를 탑재한다. 포르방의 전투관제 시스템 CMS(Combat Management System)은 SENIT 8을 베이스로 탈레스와 DCN, 셀렉스사가 같이 개발한 것이다. 앞서 개발된 SENIT는 레이더, 전자전기기, 전자광학기기 등, 함재 센서로부터 모은 정보에 상관관계를 설정하고 평가해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동시에, 전술데이터 링크를 경유해 동료함, 동료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모든 함재무기 및 센서에 대해 작전상의 결정사항 및 지령을 전달한다. 대공전투 시스템은 S-1850M 3차원 [[레이더]], EMPAR 다기능 레이더, [[아스터 미사일|아스터]]-15/30 대공미사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S-1850M 레이더는 BAE시스템즈사가 탈레스 네덜란드에서 개발한 광역수색레이더 SMART-L을 토대로, 대 재밍성이나 신호처리능력 등을 향상시켜 개발하였다. 안테나는 5초에 1번 회전하며, 목표에 대한 3차원 수색/자동탐지/추적을 실시하며, 최대 400km까지 1,000개의 목표를 추적할 수 있다. EMPAR 다기능 레이더는 주파수 C밴드로 작동하는 안테나 1면 회전식 패시브 위상배열방식 레이더로, 주로 무기 관제용으로 사용한다. 직경 5m의 레이돔에 둘러싸인 안테나는 약 1.5m X 1.5m로, 안테나면은 수직으로 약 30도정도 기울어져 있으며, 분당 60회전한다. 본 레이더는 [[항공기]] 크기의 목표를 최대 180km에서 탐지 가능하며, 레이더 유효반사면적 10㎡의 목표는 120km 이상, 미사일(0.1㎡)dms 50km 이상에서 탐지추적이 가능하다. 또한 높은 마스트 위에 레이더를 장착하여 저고도에서 날아오는 미사일의 탐지추적거리는 무려 23km이다. 함포무장은 이탈리아 오토브레다 사의 스텔스 포탑을 장착한 76mm 슈퍼래피드 건을 대 수상함 공격 및 대공방어에 사용하며, 프랑스의 포르방급은 함교 전방에 76mm 포 2문을 옆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있고, 이탈리아의 안드레아 도리아급은 함교 전방 2문, 헬기 격납고 상부에 1문 도합 3문을 배치하고 있다. 포르방급 구축함은 이미 건조중인 2척 이외에 추가 건조도 검토되었으나 현재는 FREMM 다목적 [[프리깃]]의 대량 건조가 결정되었기 때문에 2척으로 종료되었다. == 동형함 목록 == |||||||||||||||| '''[[프랑스 해군|{{{#ffffff 프랑스 해군 }}}]]'''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분류''' || '''상태''' || || 1 || D620 ||포르방 (Forbin) || 2002년 4월 4일 || 2005년 3월 10일 || 2008년 12월 ||<|2> 호위함 ||<|2> 현역 || || 4 || D621 ||슈발리에 폴 (Chevalier Paul) || 2003년 10월 23일 || 2006년 7월 12일 || 2009년 6월 || |||||||||||||||| '''[[이탈리아 해군|{{{#ffffff 이탈리아 해군}}}]]'''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분류''' || '''상태''' || || 2 || D553 ||[[안드레아 도리아]] (Andrea Doria) || 2002년 7월 19일 || 2005년 10월 15일 || 2007년 12월 22일 ||<|2> 구축함 ||<|2> 현역 || || 3 || D554 ||가이우스 두일리우스 (Caio Duilio)[* [[가이우스 두일리우스]]. [[포에니 전쟁|제1차 포에니 전쟁]] 당시 [[고대 로마]]의 [[집정관]].] || 2003년 9월 19일 || 2007년 10월 23일 || 2009년 4월 3일 || == 등장 매체 == * 중국의 모바일 게임인 [[어비스 호라이즌]]에 프랑스의 포르방급 네임쉽 포르뱅이 등장한다. * 러시아의 모바일 게임인 [[모던 워쉽]]에서 이탈리아의 오리존테급 2번함 카이오 두일리오가 2티어 함선으로 등장한다. 3인치 함포가 무려 3개나 달려있어 엄청난 근접공격력을 자랑한다. 그러나 방공이 없어 자칫하다간 상대팀 공격기에 터져나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플레이어의 실력이 중요한 함선. [[파일:20231031_223458.jpg|width=100%]] == 모형화 == == 관련 문서 == * [[45형 구축함]] * [[FREMM급]] * [[아키텐급]]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호위함]][[분류:구축함]][[분류:이탈리아군/군함]][[분류:프랑스군/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