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Corporatism이 아닌 Co-operatism에 대한, rd1=협동조합, paragraph1=6)] [include(틀:국가의 형태)] [목차] == 정의 == 협동조합주의(Corporatism) 또는 코퍼러티즘[* 코포라티즘이라고도 한다.]은 [[집산주의]]에 기반한 사회,경제정책 등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협동조합]] 운동에 기반을 두고 탄생한 사상이긴 하나, 단순히 [[협동조합#s-6|협동조합에 기반한 운동,사상]]이 아닌 정치사상이나 체제의 의미에 가깝기에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부분적으로 [[자본주의]]를 도입한 현대 [[사회주의]][*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나 [[공상적 사회주의]] 제외한 주류 사회주의는 대부분 협동조합주의에 영향받는다.[[사회민주주의]]도 영어 위키백과에서 협동조합주의로 분류하고 있다.][* 다만 권위주의적 [[공산주의]]의 경우 협동조합주의 사상과는 결을 달리 한다.] 경제의 원동력이기도 하며, [[파시즘]]을 표방하는 국가들의 원동력이기도 하다. 물론 그렇다고 협동조합주의가 모두 [[사회주의]]나 [[파시즘]]인건 아니다. 아래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는 것처럼 상당히 폭넓은 개념이다.[* 대표적으로 [[티토주의]]는 좌익 협동조합주의에 가깝지만 반 파시즘적이다.] == 설명 == 사회 조정의 방식이 합의를 통하는 방식인지, 국가주도적 방식인지에 따라 내부적으로 사회조합주의, 국가조합주의로 분화되기도 한다. 국가조합주의 고유의 특징으로는 한 분야에 대한 합법적 이익집단을 다수 인정하지 않고 독점적으로 인정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국가조합주의에서 이익집단은 자기 분야에 대한 독점적 대표권을 얻는 대신 국가의 결정사항을 별다른 저항 없이 수용하는 관변단체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즉 '''국가가 통제할 수 있는 정해진 계급마다의 이익집단만''' 남게 되는데, 파시즘 정치집단들이 죄다 코포라티즘을 추종한 이유는 이때문이다. 사회주의 진영의 일부 국가(헝가리,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소규모 자영업자의 기업활동등을 허가하는 대신 노동자, 국가와의 3자 협력관계를 갖추었는데 이 또한 코포라티즘과 결과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 계급타협적 성격을 띤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브레즈네프 정권 이후 소련의 반수정주의자들은 이러한 체제를 파시즘이라 주장하며 거의 증오하였다. [[CNT]]나 지금의 [[로자바]]도 협동조합주의를 주장하지만, [[계급협조|계급타협]]적 성격은없으며 [[아나키즘]]을 바탕으로 한다. == 대한민국에서 == 국내에선 50년대 [[노농당]]의 [[전진한]]이 자유협동주의를 내세우면서 사회조합주의와 비슷하게 추구했고 다음으론 [[박정희 정부]]가 경제 개발을 위해 협동조합주의를 지향하였다. 박정희 정부의 협동조합주의는 분류로 따지면 [[국가협동조합주의|국가조합주의]]와 유사하다는 평가가 있으며, 민주화 이전에 복수노조 설립 금지법으로 [[한국노총]]만 합법으로 인정되었다는 점 등의 여러 사례들이 이에 대한 근거로 제기된다. == 분파 == * '''기독교 협동조합주의''' (Christian corporatism) * [[기독교 민주주의]]와 연관 있다. 다만 모든 기독교 협동조합주의자가 기독교 민주주의자는 아니다. * '''[[국가협동조합주의]]''' (state corporatism) * '''보수협동조합주의''' (conservative corporatism) * 말 그대로 보수주의 진영에서 이루어지는 협동조합주의로 복지국가, 위계질서, 사회 권위 등을 지지한다. [[가부장적 보수주의]], 토리 사회주의 등과 연관 있다. * '''사회협동조합주의''' (social corporatism) * 사회민주적 협동조합주의(social democratic corporatism)라고도 한다. [[사회민주주의]]도 대표적인 협동조합주의 이념이다. 영국 [[노동당(영국)|노동당]]과 북아일랜드 [[사회민주노동당(영국)|사회민주노동당]]의 자매정당인 [[협동당]]이 여기에 속한다. * '''삼각주의''' (Tripartism) * 고용주단체, 노동조합, 정부간 3자 계약에 기초하는 협동조합주의이다. * '''자유협동조합주의''' (liberal corporatism) * 자유주의 정치와 협동조합주의 경제의 결합을 의미한다. 복지국가로 유명한 [[스칸디나비아 반도]] 국가들이 여기에 속하며[* [[자유민주주의]] 정치 체제를 갖추면서, 경쟁적 분위기보다는 사회적 협력을 중시하고, 경제적 약자의 권리를 지지하며 사회적 결속력이 있다.], [[미국의 진보주의]] 운동도 자유협동조합주의의 사례로 일컫어진다. 과거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에 단명한 [[https://de.wikipedia.org/wiki/Deutsche_Demokratische_Partei|독일국가당]]이 여기에 속했다.[* 여기서 국가는 나치당 당명에서의 '국가'인 nation이 아니라 state이므로 혼동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중도좌파 자유주의 정당인 [[독일민주당]]과 보수우익 협동조합주의 정당인 [[https://de.wikipedia.org/wiki/Jungdeutscher_Orden|청년독일기사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정당이다.] * '''[[파시즘]]''' (Fascism) 거의 모든 고전적 파시즘([[나치즘]], [[이탈리아 파시즘]], [[쇼와 국가주의]] 등)은 협동조합주의적 성격이 나타난다. * '''협동조합 내셔널리즘''' (Corporate nationalism) == [[생디칼리슴|노동조합주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생디칼리슴)] == 같이 보기 == * [[사회자유주의]] * [[사회민주주의]] * [[집산주의]] * [[노농당]] - 1950년대에 존재했었던 대한민국의 협동조합주의 정당. * [[가부장적 보수주의]] [[분류:협동조합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