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顯忠路驛 / Hyeonchungno Station}}} ||<-3> {{{+2 '''현충로역'''}}} || ||<-3> [[대구 도시철도 1호선|[[파일:Daegu1.svg|width=30]]]] || || [[설화명곡역|{{{#585858 {{{#!html
설화명곡 방면
}}}}}}]][[안지랑역|안지랑]][br]← 0.7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ffffff {{{#!html
1호선
(126)
}}}}}}]] || [[안심역|{{{#585858 {{{#!html
안심 방면
}}}}}}]][[영대병원역|영대병원]][br] 0.7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11px" [include(틀:지도, 장소=현충로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Hyeonchungno || || [[한자]] ||<-2> 顯忠路 || || [[간체자]] ||<-2> 显忠路 || || [[가나(문자)|가나]] ||<-2> [ruby(顕忠路, ruby=ヒョンチュンノ)] || ||<-3> '''주소''' || ||<-3> [[대구광역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대명로]] 지하222 ([[대명동(대구)|대명동]]) || ||<-3> '''관리역 및 고객센터''' || ||<-3> 명덕관리역 / 1고객센터 || ||<-3> '''운영 기관'''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대구교통공사]] || ||<-3> '''개업일'''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1997년 11월 26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심도 15.5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26번, [[대구광역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대명로 지하222 ([[대명동(대구)|대명동]]) 소재. 바로 앞에 대구지방보훈청이 있어서 어르신들의 왕래가 잦았지만, 대구지방보훈청은 2012년 11월 2일 [[달서구]] 대곡동에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가 개청하면서 동년 12월 10일에 이전했다. 이 자리에는 2014년 7월 14일에 대구광역시 CCTV통합관제센터가 들어섰다. == 역 정보 == 역 주변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명은 가로명칭을 따라 정해졌다. 그런데 정작 역은 '''대명로'''에 있다. [[현충로]]는 계명네거리에서 [[앞산순환로]]변의 현충탑 입구에 이르는 2.68km의 도로를 가리키는데, 1974년 5월 1일 대구시고시 제5호로 제정된 36개 가로명 중의 하나이다. 현충로라 이름지은 까닭은 앞산공원 기슭에[* 현충로역에서 앞산공원은 꽤 멀다. 현충로역에서 앞산공원으로는 대구교통방송이나 대명9동주민센터에서 [[대구 버스 300|300번]]을 이용하면 갈 수 있으며, [[대구 버스 남구1, 남구1-1|남구1(-1)번]]은 [[굴곡 노선/버스|남구청네거리로 돌기 때문에]] 굳이 현충로역에서 [[대구 버스 남구1, 남구1-1|남구1(-1)번]] 타고 앞산공원으로 가려면 대명9동주민센터 하차 후 [[대구 버스 300|300번]]으로 환승하거나 대명남로에서 하차한 후 [[대구 버스 600|600번]]/[[대구 버스 750|750번]]을 이용해야 한다.] 충혼탑이 있기 때문이다. 충혼탑은 1971년 4월 20일 [[수성유원지|수성못]]가에서 현 위치로 옮겨졌으며, 현재 4,864위의 영현을 안치하고 있다. [[아양교역]]과 [[동촌역]]에 부역명이 붙기 전에 몇 개의 역에 부역명을 더 붙일 계획이 있었는데, 이 역에는 역 남쪽에 있는 '''[[TBN 한국교통방송|대구교통방송]]'''이 붙을 뻔했다.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구. 4호선)과의 환승을 대비하여 환승부분을 가벽으로 마감하였다고 건설지에 기록되어 있다.[* 승강장 층에서 환승통로가 시작될 예정이었다.] [[2018년]] [[1월]] 현재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이 역은 개찰구가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어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불가능하다. [[대구교통공사]]에 따르면 국비를 지원 받아 [[신기역(대구)|신기역]], [[각산역]]과 함께 출입구를 신설할 예정이라고 한다.[[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211210048|#]] == 일평균 이용객 == 현충로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대구 도시철도 1호선|[[파일:Daegu1.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1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1년 || 5,702명 || || || 2002년 || 6,130명 || || || 2003년 || 3,316명 || || || 2004년 || 5,660명 || || || 2005년 || 5,902명 || || || 2006년 || 7,258명 || || || 2007년 || 6,986명 || || || 2008년 || 6,982명 || || || 2009년 || 6,642명 || ||}}}}}}}}} || || 2010년 || 6,552명 || || || 2011년 || 6,899명 || || || 2012년 || 7,041명 || || || 2013년 || 7,289명 || || || 2014년 || 7,290명 || || || 2015년 || 7,159명 || || || 2016년 || 7,685명 || || || 2017년 || 7,854명 || || || 2018년 || 7,832명 || || || 2019년 || {{{#d93f5c 8,254명}}} || || || 2020년 || 5,443명 || || || 2021년 || 6,005명 || || || 2022년 || 6,241명 || || ||<-3> {{{#ffffff '''출처'''}}}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www.dtro.or.kr/index.do?menu_link=/icms/bbs/selectBoardList.do|대구교통공사[br]사전정보 공개게시판]]}}} ||}}} * [[2000년]] 이전의 승객 수 자료 없음 하루 평균 이용객 6,241명([[2019년]] 기준)으로, 1호선 [[설화명곡역]]~[[동대구역]] 구간에서 [[대명역]] 다음으로 수요가 저조한 역이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유독 현충로역의 이용객이 주변 역들에 비해 적은 이유는, 역 바로 옆에 [[주한미군]] [[주한미군/부대|부대]]인 '''[[캠프 워커]]'''가 있기 때문이다. 캠프워커 부지는 [[남구(대구광역시)|남구]] 시가지의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하필이면 현충로역 3번 출구 인근에 자리잡는 바람에 현충로역을 이용할 만한 지역의 상당수를 군부대가 잠식해버렸다. 일반적인 군부대라면 휴가를 나온 장병 및 면회 용도로 사용될 만하겠으나 외국인이 다수라는 특성상 부대에서의 지하철 이용률은 거의 없다시피하고, 그래서 현충로역의 이용률이 떨어지는 주요한 원인이 된 것이다. 그렇다고 미군부대 탓만 할 수도 없는 것이, 그나마 주변에서 유동 인구가 많고 교통량이 집중되는 앞산네거리와 다소 떨어진 곳에 출입구가 놓인 점도 단점으로 지적된다. 네거리 서쪽으로 출입구가 놓였다면 인근 주민 및 [[앞산]]으로 가는 나들이객이 더 쉽게 역을 이용할 수 있었겠지만, 그렇지 않은 탓에 역에 접근하기가 생각만큼 쉽지 않다는 점이 이용률을 떨어뜨리는 원인 중 하나이다. 다만 이 문제는 대구 1호선의 '''역간 거리가 너무 가깝다는 점'''과 연결되어 있다. 왜냐하면 앞산네거리에서 불과 400m만 더 가면 안지랑네거리가 나오고, 여기서 200m만 더 서쪽으로 가면 [[안지랑역]]이 나오기 때문이다. 실제로 안지랑역과 이 역과의 거리는 고작 700m에 불과해 걸어서 10분이면 갈 수 있다.[* 안지랑네거리와 앞산네거리 사이에는 시내버스 정류장이 아예 없다.]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이거나 [[도심]]지라면 이 정도의 역간 거리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이들 역이 위치한 [[대명동(대구)|대명동]]은 전형적인 구도심 주택가이기 때문에 특히 이러한 문제가 두드러진다. 그래도 역 주변에 1,713세대의 앞산점보주택재개발이 추진되어 있어서 향후 이용객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3월]] 말~[[4월]] 초 [[벚꽃]]철에 일시적으로 현충로역의 이용객이 증가하는 현상이 있다. 앞산네거리 이남 현충로 구간에 앞산카페거리 조성과 함께 [[벚나무]]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벚꽃철 외에도 앞산카페거리 때문에 [[2010년대]] 후반 이후로 이용객이 미미하게나마 증가한 편이다. == 승강장 == [[파일:현충로역 승강장.jpg|width=100%]] 현충로역 승강장 [[파일:1호선 현충로역 안내도.png]] [br] 역 안내도 ||<-4> [[안지랑역|안지랑]]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영대병원역|영대병원]] || || {{{#ffffff 상}}} ||<|2>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서부정류장역|서부정류장]]·[[상인역|상인]]·[[대곡역(대구)|대곡]]·[[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 || {{{#ffffff 하}}} ||[[반월당역|반월당]]·[[중앙로역(대구)|중앙로]]·[[동대구역|동대구]]·[[안심역|안심]] 방면|| == 출구 정보 == == 역 주변 정보 == * [[대구광역시]] CCTV 통합관제센터 * [[천주교 대구대교구]] 대명성당 * 광덕시장 * 남부시장 * [[앞산]]공원, 대구광역시립 남부도서관, 충혼탑 방면 * 대명9동주민센터, 남구선거관리위원회 방면 * 앞산카페거리, 대덕문화전당 방면 * [[대구남부경찰서]] * [[http://www.handmaids.or.kr|예수성심시녀회]]([[천주교]] [[수녀원]]) * 대명생태공원 * [[대명중학교(대구)|대명중학교]], [[대구남명초등학교]] 방면 * [[남산역(대구)|남산역]], [[청라언덕역]] 방면[* [[대구 버스 300|300번]]으로 바로 연결된다.] * [[대구교통방송]], [[대구남도초등학교]] 방면 * [[영남이공대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방면 * [[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방면 * 삼각지네거리 방면 == 연계 교통 == === 버스 === || 정류소 || 정류장코드 || 시내버스 || || 현충로역(3번출구) || 02181 || [[대구 버스 순환3, 순환3-1|순환3-1]], [[대구 버스 410, 410-1|410]], [[대구 버스 503|503]], [[대구 버스 564|564]], [[대구 버스 649|649]], [[대구 버스 남구1, 남구1-1|남구1-1]] || || 현충로역(4번출구) || 02173 || 순환3, 410-1, 503, 564, 649, 남구1 || || 대구교통방송앞 || 00606 || [[대구 버스 300|300]], [[대구 버스 306|306]], [[대구 버스 518|518]], [[대구 버스 651|651]], [[대구 버스 달서4, 달서4-1|달서4-1]] || || 대구교통방송건너 || 00631 || 300, 306, 518, 651, 달서4 || == 기타 == 차기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과 환승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199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구광역시의 지하철역]][[분류:대구 도시철도 1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