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왕자]][[분류:고려의 승려]][[분류:1139년 사망]] [include(틀:고려의 왕자/선종 ~ 공양왕)] ---- [include(틀:고려의 승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고려 숙종의 왕자[br]{{{+1 현응 | 玄應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현응묘지명2.jpg|width=100%]]}}} || ||<-2> {{{#670000 {{{-2 <귀법사적소수좌현응묘지명>[* [[https://portal.nrich.go.kr/kor/ksmUsrView.do?menuIdx=584&ksm_idx=3205|#]]]}}} }}} || || '''출생''' ||미상 || || '''사망''' ||[[1139년]]^^([[인종(고려)|인종]] 17년)^^ [[3월 22일]]^^(음력 2월 13일)^^ || || '''본관''' ||[[개성 왕씨]] || || '''부모''' ||부왕 - [[개성 왕씨]] 생모 - 미상 || || '''법명''' ||현응(玄應) || || '''소속''' ||귀법사(歸法寺) || || '''시호''' ||'''견성적소 수좌(見性寂炤 首座)'''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 제15대 국왕 [[숙종(고려)|숙종]]의 아들이자 귀법사의 [[승려|주지]]. == 생애 == [[숙종(고려)|숙종]]의 아들로 태어났다. 생모에 대한 기록이 전무하다. === 사망 === <귀법사적소수좌현응묘지명>에 따르면, [[1139년]]([[인종(고려)|인종]] 17) [[3월 22일]](음력 2월 13일)에 입적하였다고 한다. 이후 팔덕산(八德山)에 안장되었다. == 묘지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현응묘지명.jpg|width=100%]]}}} || || '''{{{#670000 귀법사적소수좌현응묘지명}}}''' || >고려(高麗) 낙도(洛都, 開京)의 귀법사(歸法寺) 주지인 견성적소 수좌(見性寂炤 首座) 현응(玄應)은 도읍을 세운 지 제15대 왕이 되는 숙종(肅宗)의 아들이다. 태세 하원(太歲 下元) 기미년(인종 17, 1139) 2월 13일 갑자일에 돌아가시자, 21일 임신일에 화장(茶毗)하고, 3월 초닷새 을유일에 사리(舍利)를 수습하여 팔덕산(八德山) 양지바른 곳에 안장하였다. 3월(姑洗) 5일에 기록한다. >---- > 해석자 - 김용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