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현대자동차그룹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목차] == 개요 == [[현대자동차그룹]]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명칭은 차량 브랜드마다 다르지만, 기능 및 연결되는 고객센터와 서버는 동일하다. 단, 이용하는 통신망은 다른데, [[현대자동차]]와 [[제네시스(자동차)|제네시스]]는 [[KT]]의 통신망을 사용하며, [[기아]]는 [[SK텔레콤]]과 [[LG U+]][* 2020년 7월 기준 3세대 K5와 4세대 쏘렌토]의 통신망을 사용한다. 현대자동차그룹 차량 구매 시 고급형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옵션으로 선택하면 이 서비스가 같이 탑재되어 출고된다. == 특징 == * 기능이 탑재된 차량 최초 등록 시 일정기간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최초 등록'''이 기준이기 때문에 중고차든 신차든 최초 등록 시 무료이용기간을 부여한다. * 서비스 가입 시 010로 시작하는 번호가 차량마다 부여되며, 이 번호로 전화를 걸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휴대폰 연결여부와 상관없이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단 요즘 신차들은 012가 부여되는데 이 식별번호를 사용하는 차량은 블루링크폰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블루링크 식별번호 010인 차량들은 차량으로 전화를 걸면 수신통화만 가능하고 발신통화는 서비스가 중지되어서 불가능하다. * 자동차에서 상담원과 전화를 하려면 컨시어지 가입이 필요하다. 이 서비스는 기본 무료제공 기간은 없으며, 현대 블루링크와 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는 월 9,900원, KIA Connect는 6,600원의 이용료가 부과된다. * 모든 승용 및 SUV에서 선택 가능하며, 상용차량의 경우 [[현대 유니버스|유니버스]], [[현대 엑시언트|엑시언트]], [[현대 파비스|파비스]], [[기아 그랜버드|그랜버드]]에서만 지원한다. * 로밍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가 가입된 차량이여도 해외에 가지고 갈 경우 서비스 자체를 이용할 수 없다. 이건 해외 출시 차량을 국내에 가지고 올 경우도 마찬가지. ~~그런데 전자의 상황보다는 후자의 상황이 더 많다~~ 장기적으로는 [[재규어 랜드로버]]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유심칩을 삽입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것이다. == 운영중인 서비스 == [include(틀:현대자동차그룹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 버전 === ==== 1.0 ==== 2012년 [[기아 K3]] 1세대 차량부터 2014년 상반기 [[현대 그랜저|그랜저 HG]] 까지 탑재된 서비스. 통신망은 [[WCDMA]]망을 사용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중에 가장 기능이 많은 버전.[* 오토케어, 연비운전도우미 등의 기능이 많다. 물론 2.0부터는 대거 삭제되었다.] 이 버전을 사용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표준형 3세대 내비게이션으로, 운영체제는 [[Windows Embedded Compact|Windows Embedded CE 6.0]]를 사용하며, 시스템 제조사는 [[현대모비스]]이다. ==== 2.0 ==== 2013년 하반기부터 [[현대 제네시스|제네시스 DH]]를 시작으로, 2016년 상반기에 출시된 [[현대 아이오닉|아이오닉]]과 [[기아 니로|니로]]까지 탑재된 버전. 서비스 최초 등록 시 기본 요금제를 무료로 2년간 제공한다.[* 예외적으로 [[기아 K7|K7]] 2세대 초기형 차량은 추후 무료이용 기간을 5년으로 연장하였다.] 무료제공 기간이 끝나면 [[블루링크]]는 월 11,000원, [[UVO]]는 월 9,900원의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할 수 있다. 2.0 서비스 초창기 출시된 차들은 WCDMA망을 이용하며 이후 차차 [[LTE]]망으로 이동하였다. 마지막 시동 종료 후 앱을 통해 차량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제한시간이 96시간으로 향상되었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표준형 4세대 내비게이션[* 해당 연식부터 업데이트로 [[Apple CarPlay]]와 [[안드로이드 오토]]를 사용할 수 있다.]을 사용하며, 이 버전부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 진저브레드|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로 변경되었으며, 시스템 제조사는 마찬가지로 [[현대모비스]]이다. ==== 3.0 ==== [[현대 그랜저/6세대|그랜저 IG 2018년식]]부터 현재까지 탑재되고 있는 버전. [* 그랜저 IG의 최초 출시버전 및 2017년 버전에는 2.0이 탑재되었다.] 서비스 최초 등록 시 기본 요금제를 무료로 5년간 제공한다. 기존 2.0 버전처럼 [[LTE]]망을 이용하며, 원격제어 시 열선 및 통풍 작동, 창문 제어까지 가능해졌다. 대신 자체 전화기능은 삭제되었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표준형 5세대/5W세대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며, 이 버전부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 젤리빈|안드로이드 '''4.2 젤리빈''']](...)으로 변경되었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파일에서 APK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원래 최신형 소프트웨어를 고집하는게 아닌 개발당시 가장 안정적이고 검증된 커널과 운영체제를 사용한다. 18년부터 사용된 시스템이라면 개발자체는 2015~16년부터 이루어졌을 텐데, 최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나 마시멜로같은거 썼지 임베디드 기기에서 젤리빈이면 나름 최신버전으로 개발한 게 맞다.], 시스템 제조사가 [[현대모비스]]에서 [[LG전자]]로 변경되었다. == 종료된 서비스 == === mozen === [[현대자동차그룹]]의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통합 브랜드 명이였으며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에 동일한 이름으로 서비스되었다. [[KT]]의 [[CDMA]]망을 이용해 서비스 했으며[* 블루링크, UVO(KIA Connect)로 넘어가던 과도기에 출시된 차량은 KT WCDMA망을 사용했다.], 이 망을 통해 경로탐색, 오토케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2012년 KT의 CDMA망이 서비스가 종료되고, 블루링크와 UVO(KIA Connect) 서비스로 분리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서비스가 종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