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20140719221220095_KOR_IMAGE.jpg]] ||<-3> 현대로템 무가선 저상 트램 || ||<|3> 전장 || A,B모듈 || 6350mm || || C,D모듈 || 5900mm || || E모듈 || 4500mm || || 전폭 ||<-2> 2450mm || || 전고 ||<-2> 3400mm || || 궤간 ||<-2> 1435mm || || 열차 형식 ||<-2> [[노면전차]] || || 구동 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운행 노선 ||<-2> 없음 || || 급전 방식 ||<-2> 직류 750V || || 운행 최고 속도 ||<-2> 50km/h || || 설계 최고 속도 ||<-2> 70km/h || || 신호 방식 ||<-2> [[CBTC]] || || 제작회사 ||<-2> [[현대로템|[[파일:현대로템 CI.svg|width=70]]]] || || 도입연도 ||<-2> 미정 || || 제동 방식 ||<-2> 유압 디스크 제동 || || 편성 대수 ||<-2> 5모듈 ||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무가선 저상 트램 시제작 모델. 향후 [[송도내부순환선]], [[주안송도선]], [[영종내부순환선]], [[위례선]], [[수원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등 건설 예정인 많은 트램 노선에 투입될 예정인 노면전차 차량들의 베이스가 될 확률이 높다.[* 외관은 쉽게 바꿀 수 있다고 한다.] 환경 문제, 도시 미관 등을 고려해 가선 설치를 최대한 자제하기 위하여 집전기와 더불어 고용량 배터리를 설치, 대부분의 구간에서는 배터리로 주행하며, 가선이 있는 구간에서도 주행 가능하다. 이에 따라 경량화도 필요하게 되어 외/내장재는 강화 플라스틱, 상부 구조물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도로 2009년 12월부터 개발에 들어가 2013년 4월에 개발 완료되었으나 정작 국내에서는 비용 문제로 인해 처음으로 착공한 [[서울 경전철 위례선|위례선]]이 [[우진산전]]제 차량을 채택했고, [[부산 도시철도 오륙도선|오륙도선]] 역시 [[다원시스]]제 차량을 채택하여 도입이 확정된 노선은 아직 없다. 오히려 해외인 [[튀르키예]]와 [[폴란드]]에서 먼저 상용화되었다. [[분류:현대로템]][[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