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현대자동차/생산차량]][[분류:버스 차량]][[분류:1973년 도입된 자동차]][[분류:1981년 단종된 자동차]] ||<-5> '''{{{#ffffff [[현대자동차|{{{#ffffff 현대자동차}}}]]의 준중형버스 모델}}}''' || || 시작 || → || '''D-0710''' || → || [[현대 코러스|코러스]] || || [[현대자동차|[[파일:현대자동차 심볼(1974-1992).sv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yundai D bus 2.jpg|width=100%]]}}} || || {{{#ffffff '''D-0710'''}}} || [목차] == 개요 == [[현대자동차]]에서 1973년부터 1981년까지 생산한 25인승 [[준중형버스|준중형 크기의 버스]]이다. == 1세대 (1973~1981) == === D-071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yundai D bus 3.jpg|width=100%]]}}} || 현대자동차가 울산공장에서 생산한 준중형 버스이다. 첫 출시는 1973년이었고 이후 4년간 팔리다가 1977년 4월에 페이스리프트 차량이 출시되었다. 구동방식은 후륜구동이며, 차량의 차체구조는 프레임 구조를 채택했었다고 한다. 유럽 포드에 동명의 트럭이 있었던 것에서 유럽포드의 트럭 새시를 기반으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1973년에 나온 초기모델은 포드 365CID 115마력 5,980cc 6기통 자연흡기 엔진이 들어갔으나 스펙에 비하면 엔진 출력과 배기량이 과분하[* 자연흡기 엔진이기는 했지만 배기량만 놓고 보면 오히려 대형버스였던 R182 보다도 35cc나 높았다.]여 1977년에 모델 부터는 바이슨에 들어가던 [[현대 퍼킨스 엔진|HD4236]] 80마력 4기통 디젤엔진으로 다운사이징 되었다. 이 차량은 과거 [[서울특별시]]에서 합승이 가능한 좌석버스로 운행이 되었고[* 부산은 처음부터 대형차로 좌석버스를 운행했기 때문에 마이크로버스는 운행하지 않았다.][* 부산에서도 새마을버스 운행한 전력이 있다. [[부산 버스 서구1|구덕 꽃마을버스]],[[부산 버스 서구2|아미동 새마을버스]],[[부산 버스 동구1|안창마을버스]] 다녔다.] 단종된 직후인 1982년에는 좌석버스의 크기가 커지면서 전면부에 엔진을 탑재한 프론트엔진 형태의 좌석버스가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운행되었다. 경쟁차로는 [[기아 AM버스|아시아 AM807]]과 [[새한 BL|새한 BL064]]가 있었다. 1981년 --5공 시절 최대의 실책인-- [[자동차공업 통합조치]]로 후속없이 단종되었지만 현대자동차의 준중형 버스 계보는 자동차공업 통합조치가 해제된 이후인 1988년에 출시된 마이티 기반의 [[현대 코러스]]로 명맥을 잇게 되었다. 1998년부터는 [[현대 카운티]]가 포지션을 이어가고 있다. == 여담 == * 2017년 5월에 열렸던 현대 메가페어에서 마이크로 버스라는 이름을 단 D버스의 모형이 [[http://www.bobaedream.co.kr/board/bulletin/view.php?code=truck&No=70513|전시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차량)][[분류:버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