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현대자동차그룹]]의 [[배기량]] 1.5, 2.0, 2.2L의 [[디젤 엔진]]. [[VM 모토리]]의 RA 315와 RA 420 엔진을 기반 삼아 현대에서 생산했다. == 상세 == [include(틀:VMCC/96)] * 밸브트레인 : 벨트 구동 SOHC 16밸브 * 엔진제어시스템 : 보쉬 [[Electronic Diesel Control|EDC]] [[대우자동차]]에서 VM모토리로부터 도입 검토 중이던 것을 [[대우|대우그룹]]의 해체 이후, [[현대자동차]]가 대신 개발비를 대며 완성했다. 2000년 11월, [[현대 싼타페|싼타페 SM]]과 [[현대 트라제 XG|트라제 XG]]에 최초로 장착됐으며 이는 '''국내 최초의 [[CRDi|커먼레일]] 디젤 엔진이다.''' 완전한 순수 국내개발은 아니지만 당시의 첨단기술이 모두 들어간 획기적인 엔진이었다. 출시 후 2009년까지 2.0L급 현대기아 승용형 주력 디젤 엔진이었으며 터빈을 [[VGT]]로 개량한 버전과 보어를 늘린 2.2L 엔진도 출시됐다. 2009년에 [[현대 R 엔진|R 엔진]]이 후속으로 나와 단종됐다. 2021년 기준 유로 3 사양의 경우 배출가스 5등급에 해당하며 [[DPF]]를 사제로 장착하지 않으면 단속대상이다. 조기폐차하거나 DPF를 장착해야 운행이 가능하다. 나머지는 모두 유로 4 사양으로, 배출가스 4등급에 해당된다. [[GM대우]] 시절 출시된 [[GM대우 윈스톰|윈스톰]]과 [[GM대우 토스카|토스카]], [[GM대우 라세티|라세티 프리미어 초창기]] [[GM 패밀리 Z 엔진|2.0L 디젤]] 모델도 같은 '''계열'''의 블럭을 사용하나, 상호호환은 자동차관리법령에 따라 불가하다. 단, 쿨링 시스템 구성 등은 완전히 다르다.[* 윈스톰 같은 경우는 커먼레일 연료분사시스템도 보쉬 시스템을 사용하여 현대 블루핸즈에서도 정비가 가능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유로 5 이후로는 블럭 자체가 달라 일절 호환되지 않는다.] == 형식 == || 형식명 || 배기량(cc) || 보어 × 스트로크(mm) || 사양 || 차종 || || D3EA || 1,493 ||<|2> 83 × 92 ||1.5 ||[[현대 베르나|베르나(LC)]], [[현대 클릭|클릭(TB)]], [[현대 라비타|라비타]] || || D4EA || 1,991 ||2.0 ||[[현대 싼타페|싼타페(SM,CM)]], [[현대 트라제 XG|트라제 XG]], [[기아 카렌스|카렌스]], [[현대 투싼|투싼(JM)]], [[기아 스포티지|스포티지(KM)]], [[기아 로체|로체]], [[현대 쏘나타/5세대|쏘나타(NF)]] || || D4EB || 2,188 || 87 × 92 ||2.2 ||싼타페(CM), [[현대 그랜저/4세대|그랜저(TG)]] || == 여담 == 유튜버 [[제이특공대]]가 국산 디젤 명품 엔진으로 [[현대 S 엔진]]하고 2개를 뽑았다. 가솔린 엔진은 [[현대 베타 엔진]] == 결함 == 대체로 무난한 내구성과 잔고장이 없으나 구동이 타이밍벨트 타입이고 연료 제어가 캠축과 연계된 출구 제어 방식이며, 결정적으로 '''핵심부품인 [[보쉬]]의 CP1 고압 펌프 설계 결함'''이 있다. 펌프 내부 고무 오링 등이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손상되거나 하면 경유가 줄줄 샌다. 고압 펌프 외부로 새면 [[시동]]이 걸리지 않아 크게 문제는 되지 않지만 엔진헤드로 연결된 플랜지 볼트가 풀려 경유가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면 디젤링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때 시동을 꺼도 비정상적으로 유입된 경유를 다 소진할때까지 구동되며 고RPM으로 엔진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터빈과 인젝터, 엔진헤드는 거의 100% 크게 데미지를 입는다. 이 결함은 2016년 [[부산 싼타페 급발진 사고]]의 원인이라 지목되기도 한다.[* 현대 측에서는 연료라인이 정상이었음을 들어 부정] 그래서 [[폐차]] 시까지 [[리콜]] 대상이다.[* 요즘은 최초 1회에 한해 무상 교환, 그 이후에는 유상 교환.] 해당 차종의 오너라면 엔진형식이 등록증상에 D4EA인지 확인하고 평소에 고압펌프 누유나 엔진 오일량 체크를 항상 해 보자.[* 해당 차종은 [[현대 싼타페|싼타페(SM,CM)]], [[현대 트라제 XG|트라제 XG]], [[기아 카렌스|카렌스]], [[현대 투싼|투싼(JM)]], [[기아 스포티지|스포티지(KM)]], [[기아 로체|로체]], [[현대 쏘나타/5세대|쏘나타(NF)]]가 해당한다.] 고 [[RPM]] [[레드존]]으로 장시간 다니지 않는 한 고압펌프가 운행 중 갑자기 터지지는 않으니 평소 점검을 잘한다면 어느 정도 예방은 가능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그룹의 엔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현대자동차의 엔진 목록, version=83)]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현대 D 엔진/여담, version=7)] [[분류:현대자동차그룹/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