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9jSVwv.jpg|width=100%]]}}} || || {{{#ffffff '''EON'''}}} || [목차] '''HYUNDAI EON''' == 개요 == [[현대자동차]]의 [[남아메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시장 전용 [[경차]]. == 상세 == === 1세대 (HA, 2011~2019) === || [[파일:eon_front_side.jpg|width=100%]] || [[파일:eon_rear_side.jpg|width=100%]] || 2011년 10월 13일 [[인도]] 시장을 시작으로 2012년 3월에 [[필리핀]] 시장에, 같은 해 6월에는 [[베트남]] 시장에 출시됐으며, 2014년 6월에 [[스리랑카]] 시장에 출시됐다. 이외에도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칠레]], [[파나마]]와 [[콜롬비아]] 등 남미 [[개발도상국]] 시장에서도 판매됐다. 개발은 [[인도]] 안드라 프라데시 지역의 하이데라바드 지역의 [[현대자동차]] 연구소와 [[대한민국]] 남양연구소에서 이루어졌다. [[현대 i10|i10]]의 아랫급으로 나오는 저가형 모델이며 [[인도]] [[첸나이]] 현지공장에서 이온을 생산했으며, [[필리핀]] 시장에서는 라구나 지역의 산타 로사 공장에서 [[현대 쏠라티|현대 H350]]과 함께 생산됐다. 플랫폼은 [[현대 아토스|아토스]]의 것을 쓰고 플루이딕 스컬프쳐가 적용된 헥사고널 디자인이 적용됐으며, [[현대 i10|i10]]을 기반으로 디자인이 수정됐다. 814㏄의 [[현대 입실론 엔진|입실론 엔진]]이 탑재되며, 56마력, 인도 기준 시내 15㎞/ℓ, 고속도로 21.1㎞/ℓ의 연비를 낸다. 나중에 998㏄의 [[현대 카파 엔진|카파 엔진]]도 추가돼 최대 69마력을 낸다. [[파일:FAQMSvf.jpg]] 일단은 [[현대자동차]]의 전 모델 중에서 가장 싼 모델이었으며, 최저 275,000루피(한화 약 430만 원)에서 375,000루피(약 590만 원)까지의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었다. 사진 속 차량은 왼쪽에 사이드미러가 없는데 최하위 깡통 트림에는 원가절감 차원에서 좌측 사이드미러를 없앤 것이다. 거기에 파워윈도우는 고사하고 중앙 집중식 도어 잠금장치도 없고,[* 한마디로 말하면 각각 문마다 일일이 문을 열고, 잠가야 한다.] [[에어컨]], 파워스티어링 휠, [[에어백]], [[라디오]], 스틸 휠 커버도 없다. 그래도 나라 사정이 대가족이 오토바이 타고 다니다 사고날 바에 돈 좀 더 보태서 저렴한 차를 장만한다는 분위기이다 보니 인도사람들은 크게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파일:eon_interior.jpg|wdith=100%]] 그나마 있어보이는 풀옵션 사진이다.[* 요즘차에 달리는 거라면 파워 윈도우, 에어컨, CD플레이어가 전부다. '''심지어 미러도 손으로 잡고 돌리는 수동이다.'''] 정말 깡통의 극치를 달리는 차다. 풀옵션도 [[대한민국]] 같이 빵빵한 것도 '''절대 아니다.''' 아무리 풀옵션이라 해봤자 스틸 휠 커버만 끼우고 [[ABS]]도 없고 파워윈도우도 앞좌석만 있고 최고 트림에서는 운전석 [[에어백]]이 주어짐과 동시에 [[현대 엑센트|엑센트]](RB)와 [[현대 i20|i20]](PB)의 스티어링 휠, 그 중에서도 리모컨 버튼이 없는 하위트림의 것으로 바뀌며 안개등과 리모컨 타입 차키 정도가 주어진다. 물론 그 키는 폴딩타입 같은 건 아니다. 중간 트림으로 올라가면 현대 엠블럼이 메탈타입으로 업그레이드되며 에어컨도 깡통 바로 윗 트림에 가야 주어지고 라디오의 경우, 상위 트림으로 가면 CDP, AUX, USB단자인 아이팟 단자가 지원된다. 그리고 '''[[자동변속기]] 옵션이 아예 없다.''' 즉, 이 차는 [[수동변속기]]만 있다. 정작 [[타코미터]]도 없다. 대한민국 내수용 차량 90년대 경차 수준의 편의장비인 것.[* 정작 그당시에도 타코미터는 옵션이였고 자동변속기 모델도 있었다. 다만 경재적인 차량을 원하는 개발도상국 특성상 수동변속기의 수요가 높은 면이 있기도 하다.][* 물론 이는 풀옵션 기준이지 깡통일경우 7-80년대 소형차 보다도 못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글로벌 NCAP의 인도에서 시판하는 차로 충돌테스트를 해보니 많은 업체들이 개망신을 당해[* 인도의 [[경차]], [[소형차]] 충돌테스트 결과 '''대부분 0점'''을 기록했다.] 인도 정부의 자동차 안전성 강화 지시 목적으로 최하위 트림이 아닌 이상 운전석 [[에어백]]이 옵션으로 들어가게 연식변경했다. 정말로 [[기아 모닝|모닝]] 깡통보다도 못한 수준이다.[* 2세대 모닝 기준 깡통도 ABS, 운전석&조수석&커튼 에어백이 기본으로 들어가며 [[차체 자세 제어장치]]가 전 트림에 기본으로 들어간다.] --당연한 거 아닌가.-- 우리나라 차량중 비교할만한 차라면 이온 출시 20년 전에 출시된 [[티코]]말고는 전무할 정도. 그러나 2019년에 모델 노후화 및 인도의 강화된 안전 규제 대응 불가로 [[현대 쌍트로|쌍트로]]로 일원화 후 단종한다고 발표했다. 일부 [[개발도상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단종됐다. 여담으로 [[필리핀]] 시장서 5월 3일자로 마지막 차량이 생산된 후 단종됐으며 [[필리핀]] 시장에서는 [[베이징현대]]에서 생산하는 [[현대 레이나|레이나]]가 이 차종을 대체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차량)] [[분류:현대자동차/생산차량]][[분류:2011년 출시]][[분류:2019년 단종]][[분류:경형 해치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