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 현대 엑센트)] [목차] == 개요 == [[현대 엑센트|엑센트]]의 4세대 모델이다. == 모델별 설명 == === 초기형 (2010 ~ 201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yundai-RB-0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yundai-RB-0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lX1usPtY0)]}}} || || [* BGM은 Apollo 440의 Cold Rock the Mic으로 게임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그란 투리스모 2]] 사운드트랙에도 수록된 곡이다.] || >'''Guy's License.''' >'''진정한 젊음의 특권''' 2010년 11월 2일 출시된 4세대 엑센트는 [[현대 베르나|베르나]]란 차명 대신 내수명도 수출형이랑 마찬가지로 공히 엑센트로 통일했다. 파워트레인은 직렬 4기통 1.4L [[현대 감마 엔진|감마]] MPI에 수동 5단 [[현대 M5xF 변속기|M5CF1-1]]/자동 4단 [[현대 A4CF 변속기|A4CF1]], 1.6L [[현대 감마 엔진|감마]] [[GDI 엔진|GDi]]에 6단 [[현대 M6xF 변속기|M6CF1]] 수동/6단 [[현대 A6xF 변속기|A6GF1]] 자동을 얹었다. 특히 1.6L 모델은 [[준중형차]]인 [[현대 아반떼|아반떼]]의 [[파워트레인]]을 탑재시켜, 연비나 주행 성능 모두 상당한 수준이다.[* 공차 중량이 150kg가량 엑센트가 아반떼 MD 1.6L GDi 가솔린보다 더 가볍다. 즉, 엑센트 + 건장한 성인 남성 2명=[[현대 아반떼/5세대|아반떼 MD]]다.] 외형 역시 아반떼를 빼닮은 패밀리룩이 적용됐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QwgeXtB.jpg|width=100%]]}}} || ||<#002e6b> {{{#fff '''5도어 해치백''' (위트)}}} || 2011년 3월 2일에 '''엑센트 위트'''라는 5도어 [[해치백]] 모델이 출시됐다. 세단형에 비해 전장이 255mm 짧아진 형태를 하고 있지만 후방 강성 보강으로 인해 공차중량은 5kg 더 무겁다. 기본적으로 동일 트림이면 세단과 비슷한 옵션을 보이지만 6:4 폴딩 시트가 전 트림에 들어가 있으며, 30만원 정도 더 비싸게 가격이 책정됐다.[* 대부분 해치백은 가격이 세단보다 비싸다. 그러나 어느 새부터 당연시됐는데, 원래 높지는 않았다. 요즘 들어 세단을 출시하고 후에 해치백을 출시하는 형태여서 개선이나 후출시를 이유로 가격이 더 높아지는 것이다.] 2열 시트각도가 세단형에 비해 약간 서있어서 불편하다는 의견이 있다. 여담으로 이 차량의 뒷모습이 묘하게 [[현대 i30|i30]] 1세대를 닮았다. 사실상 i30와 아반떼 MD의 축소 버전인 셈이다.[* 경쟁차로 있던 프라이드 3세대 또한 세단은 [[기아 K3|K3]] 1세대와 닮게 디자인됐다.] 엑센트 위트와 같은 날 1.6L [[현대 U 엔진|U 엔진]]과 6단 M6CF3-1 수동/4단 [[현대 A4CF 변속기|A4CF2]] 자동를 얹은 디젤 모델이 추가돼 시판에 들어갔다. 연비 끝판왕이 뭔지 보여주는 차량으로, 디젤 모델은 연비가 [[6단 수동변속기]] 기준 '''복합 19.2㎞/ℓ'''[* 도심 17.3㎞/ℓ, 고속도로 22.1㎞/ℓ]라는 궁극의 연비를 보인다. 4단 자동변속기를 선택해도 연비가 '''복합 16.5 ㎞/ℓ'''[* 도심 14.3㎞/ℓ, 고속도로 20.4㎞/ℓ]이다. 거의 [[경차]] 수준으로 연비가 잘 나온다. 그러나 실제 오너들의 평으로는 수치상 제원은 뻥연비고, 오히려 그것보다 더 잘나와서 문제라고 한다. --행복한 고민-- [[http://babyhand.tistory.com/82|디젤 수동 가지고 연비 26km/L를 달성한 드라이버도 있으며,]][* 추후 이 드라이버는 2020년 무려 29.9km/L라는 연비를 찍는다.] 고속도로 연비는 공인연비를 넘는 정도다. 이는 같은 해 신형 [[기아 프라이드|프라이드]]가 디젤이 나오지 않은 것과 대조적이다. 추후 프라이드에 디젤 트림이 생겼지만 엑센트보다 비싸며 엑센트에 비해 떨어지는 연비 및 엔진[* 프라이드는 1.4L WGT U 엔진에 '''[[자동변속기]] 옵션이 존재하지 않으며''' 해치백밖에 없다. 즉, 한국에서 인기가 떨어지는 조합은 다 모아둔 셈.]으로 인해 외면받아 한동안 엑센트 디젤의 인기는 지속됐다. ---- '''2013년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2ZG1tJ.jpg|width=100%]]}}} || ||<#002e6b> {{{#fff '''2013년형'''}}} || 2013년 3월에 출시됐다. '13년형에는 1.6L [[현대 감마 엔진|감마]] GDi, 1.4L 감마 수동변속기 모델이 단종된 대신 1.4L [[현대 카파 엔진|카파 MPI 엔진]][* [[기아 모닝|모닝]]과 [[기아 레이|레이]]의 그 [[현대 카파 엔진|카파 엔진]]이 맞다. 하지만 엑센트, [[현대 아이오닉|아이오닉]], [[기아 니로|니로]]에 들어가는 건 [[4기통]] 버전이다.]이 6단 수동변속기와 맞물린다. 종전 감마 1.4L는 1.6L에 스트로크를 줄여서 만든 엔진이라 과거 [[현대 엘란트라|엘란트라]] 1.6L [[미쓰비시 시리우스 엔진|시리우스 엔진]]과 비슷한 경우다. 감마 1.6L 엔진이 스퀘어에 가까운 롱 스트로크라 배기량을 줄이는 과정에 스트로크가 꽤 짧아졌으며, 이는 5,000rpm에서 최대 토크가 나오는 보기 드문 고회전형 엔진이다. 여튼 이런 특성 때문에 국내 지형에 맞지 않아[* 2,000~3,000rpm대의 성능이 너무 낮다.] 롱 스트로크형인 카파 엔진으로 대체했다. 1.6L VGT에 여전히 6단 수동과 4단 자동이 있다. 이와 별도로 전방 시인성이 좋지 않았던 반사판 타입 헤드램프 외에 프로젝션 헤드램프를 옵션(LED DRL 포함)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16인치 순정 알루미늄 휠이 [[현대 그랜저/5세대|그랜저 HG]] 17인치 휠과 비슷한 디자인의 다이아몬드 커팅휠로 변경됐다. 그 외에도 프라이드에 비해 열세였던 자잘한 옵션들[* 원터치 트리플 턴 시그널, [[오토라이트]], 사이드미러 퍼들램프, 사이드미러 열선, 전 트림 VDC 기본 탑재.]이 추가됐다. 그리고 같은 해 10월에 1.4L [[현대 감마 엔진|감마 엔진]]이 완전히 단종되고 [[현대 카파 엔진|카파 엔진]]으로 교체됐으며, 카파 엔진에는 [[현대 K CVT]]가 추가됐다. === 중기형 (2014 ~ 2017)[* 사실상 1차 페이스리프트 모델 취급을 하고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ile.mk.co.kr/image_readtop_2014_1203961_14108575591529625.jpg|width=100%]]}}} || 2014년 9월에 2015년형이 출시됐다. 동일한 차종인 쏠라리스나 [[중국]]판 베르나와 같은 모습으로 페이스리프트를 할 수도 있다라는 예측을 깨고 몇몇 부분이 소폭 변경된 외관으로 출시됐다. 기존 반사판 타입 헤드램프와 전면 라디에이터 그릴 형상이 변경됐으며,[* 프로젝션 램프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변경됐으며 눈썹이라 불리는 흰색 상단 라인이 생겼다. 물론 해당 부분에는 조명이 들어오지 않는다.] 세단 모델에는 [[LED]] 리어램프 옵션이 추가됐다. 또한, 14인치 알로이 휠이 15인치로 변경됐으며 기존 레드패키지를 대체하는 화이트패키지 옵션이 운영[* 비슷하지만 센터페시아 패널과 기어노브 패널까지 흰색이다.]되며 센터페시아 액정 조명 및 [[내비게이션]] + 오디오가 개선됐다.[* 순정 내비게이션 사이즈가 6.5인치에서 7인치로 커지고 개선된 순정 카 스테레오가 탑재된다.] 이 외에도 안전사양도 강화돼 기존 커튼 [[에어백]]에 롤오버 센서[* 차체 손상없이도 차량 전복 감지시 커튼 에어백이 전개돼 탑승자를 보호.]가 추가됐고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TPMS]]를 모든 트림에 적용시켰다. 2015년에 들어서면서 파워트레인이 변경됐다. 초창기만 해도 (9월 15일~11월 말) 유로5 [[현대 U 엔진|U2 엔진]]에 자동 4단이었으나, 이후 유로 6 U2 엔진에 새로 개발된 7단 [[현대 D7xF 변속기|D7UF1]]으로 변경시켰다. 변경 이후 리터당 18.3km 연비를 잡았다고 한다. 아무래도 타 메이커 디젤 모델의 흥행을 견제하려는 듯했다.[* 다만, 엑디수가 워낙 유명하다 보니 엑센트 디젤은 [[수동변속기]]의 판매량이 높았다.] 옵션 추가 대금은 190만원. U2 엔진도 136마력으로 출력이 상승했다. [[현대 벨로스터|벨로스터]]에 이어 현대자동차에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가 적용된 2번째 차가 됐다. 그리고 이 시기에 맞추어 현대 휠 로고 캡도 은색에서 검정색으로 변경됐다. === 후기형 (2017 ~ 2019)[* 사실상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 취급을 하고 있다.] === ---- '''2017년형''' 옵션 조정, 프론트 범퍼와 라디에이터 그릴이 변경되고[* 현대자동차 로고 사이에 크롬 가니쉬가 없어지고 그릴은 메쉬모양으로 바뀌었다.] 가솔린 1.6L GDi 모델이 삭제되고 카파 1.4L MPI 모델만 존치됐다. ---- '''2018년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yundai-RB-0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yundai-RB-04.jpg|width=100%]]}}} || ||<-2><#002e6b> {{{#fff '''2018년형'''}}} || 후방 주차 거리 경고, 무선도어 잠금장치, 방향지시등 아웃사이드 미러를 기본화했고 신규 트림인 '스마트 스페셜' 트림을 추가하고 16인치 알로이휠 디자인이 변경됐다. 차량색상 애시드 옐로우가 없어지고 갤럭틱 그레이가 추가됐다. 또 신형 내비게이션으로 교체됐다.[* 폰 커넥티비티 기능 (미러링크, [[안드로이드 오토]], [[Apple CarPlay]])을 지원한다. 하지만 [[블루링크]]를 지원하지 않는다.] 1.4 가솔린 가격은 1,138~1,591만원인데, 자사에서 유일하게 풀옵션(1,781만원)이 2,000만원을 넘지 않았다. ----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것 같다. 연식변경 모델이 출시되었지만 광고는 [[https://www.adic.or.kr/ad/radio/show.do?ukey=1691969|라디오 광고]] 뿐이다. 그리고 이 차보다 인기가 적은 [[현대 맥스크루즈|맥스크루즈]]와 [[현대 i40|i40]]도 현대자동차 SNS에서 근근히 보이는데, 엑센트는 스포트라이트를 전혀 받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엑센트가 단종됐다고 착각하는 사람도 있다. === 국내 단종 === 2016년 5월 10일 현대자동차에서 국내 단종을 발표했다. 단종 사유는 판매 부진이라고 하지만, 단순히 판매부진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같은 세그먼트에서 후속 차량이 나오는 [[기아 프라이드|프라이드]]는 엑센트보다 더 낮은 판매량[* 2016년 5월 기준으로 엑센트 누적 판매량은 6,400대 가량이고 프라이드는 1,700대 수준이다. 2015년 누적 판매량은 엑센트는 18,000대 가량인데 비해서 프라이드는 6,900대로 2.7배다.]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라이드 후속작을 내는 것을 보면 [[기아]] 경차, 소형차 라인업 강화 및 국내에서 수익이 높지 않은 세그먼트에 대한 경쟁을 줄이고 모델을 단일화하여 수익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러나 예상과 다르게 2017년형을 한국에도 출시했다. 프론트 범퍼와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을 바 타입에서 메쉬 타입으로 변경하고, 2종의 신규 컬러 블루 라군, 레이크 실버를 추가했다. 2017 [[서울모빌리티쇼|서울모터쇼]] 때 관계자 발언에 의하면 단종시키면 라인업 부재가 발생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계속 판매하기로 했다. 또한 막상 단종하려니 판매량이 점점 상승해(...) 단종설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게다가 프라이드가 풀 체인지를 한답시고 2017년 5월부로 생산을 중단했는데, [[기아 스토닉|스토닉]] 판매 활성화를 이유로 신형 투입이 백지화되면서 2017년 초에 단종된다던 엑센트는 꾸준히 팔리고 있고 엑센트를 대체한다던 프라이드는 시장에서는 구입할 수 없는 기이한 상황이다. 참고로 5세대 엑센트부터는 [[울산광역시]]에서 더 이상 생산하지 않고 기아 [[멕시코]] 공장으로 이관된다. 현대차 노사합의에 의해 국내 현대차 공장에서 생산되지 않는 차량은 국내판매를 할 수 없으므로 대한민국 내에서 단종은 거의 확정적이라고 봐야 옳을 듯하다. 2018년형도 한국에 출시했다. 실내외 디자인을 변경하고 신규 트림인 스마트 스페셜 트림을 추가했다. 또한 2018년 8월 중순을 기준으로 '''아반떼를 제외한 모든 승용 디젤 모델이 단종'''되고 가솔린 모델만 남았다. 2018년 8월 24일 기준 공식 홈페이지에서 해치백인 엑센트 위트가 단종됐다. 다만, 가격표에는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재고 자체는 아직 좀 남았다. 2019년 7월부터 [[현대 베뉴|베뉴]]가 출시돼 엑센트 생산이 중단되고 재고 모델만 판매 중이라는 기사로 미루어보아 재고판매가 완료되면 단종 처리될 것으로 보인다. 빈 자리는 [[현대 코나|코나]] 아랫급인 [[현대 베뉴|베뉴]]가 차지하게 된다.[* 참고로 경쟁차 프라이드는 내수용으론 스토닉이 대체한다...고 했지만 이마저도 안 팔려서 단종. 이는 한국 시장이 전반적으로 혜택이 많은 경차를 제외한 소형차들을 가면 갈수록 외면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2019년 12월부로 현대자동차 홈페이지에서도 사라지면서 최종적으로 단종 처리됐고, 2022년 국내 [[소형차]] 수요는 [[현대 베뉴|베뉴]], [[현대 캐스퍼|캐스퍼]]와 [[기아 모닝|모닝]], [[기아 레이|레이]]로 대체됐다. 그나마도 소형차 급은 베뉴가 유일하고 나머지 3대는 [[경차]]로, 엑센트가 단종될 당시에 남아있던 [[기아 스토닉|스토닉]]마저 얼마 못 가 단종되면서 [[대한민국]]이 소형차의 [[무덤]]이라는 사실이 증명됐다. 단종이 확정되자 소형차를 사용하는 운전학원 업계에서 [[공황 구매|패닉 바잉]]이 발생해 남아있는 재고를 모조리 쓸어갔다는 소문이 들렸다. === 해외 사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HKyVX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gFICms.jpg|width=100%]]}}} || || '''러시아 사양''' (쏠라리스) || '''중국 사양''' (베르나)[* 루이나라고도 한다.] || 4세대 모델부터 본격적으로 현지 전략형 모델도 발매됐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현대차 공장의 첫 생산 모델인 쏠라리스가 대표적인 예이다. 반응이 좋은지 2011년 상반기 판매량이 미칠듯한 페이스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당시 현지 공장 준공식에 [[블라디미르 푸틴|푸틴]]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서 시승한 것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중국 시장에는 베르나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 전면부 디자인이 국내, 북미수출형과 다르다. 그리고 중국인들의 취향에 맞게 빨간색을 선호하는 중국인들을 위해 현대자동차의 특유의 파란 조명을 버리고 빨간색으로 변경했다. 남미에 닷지 애티튜드로 수출이 나갔다. [[현대 베르나|베르나]](MC)와 같은 사례이며 후속이다. 현재는 단종되었으며 후속은 [[미쓰비시 미라쥬]]다. 전작 애티튜드(베르나)와 다른 점은 [[닷지]] 로고를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대자동차 로고를 사용하지만 옆쪽 트렁크의 영문 엠블럼은 각각 "Dodge"와 "Attitude"이다. 그리고 애티튜드 하위트림을 선택하면 편의장비[* 심지어 오디오리스로 출고된다.]나 안전장비가 하나도 없다. 파워윈도우는 앞뒤로 없는 것은 기본이며 수동 조절 사이드미러가 장착됐다. 심지어 그 흔한 6개 에어백도 아닌 '''운전석 에어백조차 없다.''' 중국형 루이나는 5세대와 별개로 [[현대 루이나|후속 모델]]이 출시됐다. 2017년 한 해동안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가장 잘 팔린 차량이었다. 또한, [[이집트]]에서 후기형이 현재도 CKD 방식으로 생산되어 판매 중이다. == 제원 == ===# 초기형 #=== ||<-2><#ffffff> {{{#002e6b {{{+1 '''ACCENT'''}}}/4세대}}} || || '''생산지'''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 [[양정동(울산)|양정동]] || || '''코드네임''' || RB || || '''차량형태''' || 4도어 [[소형차|소형]] [[세단]][br]5도어 [[소형차|소형]] [[해치백]] (위트) || || '''승차인원''' || 5명 || || '''전장''' || 4,115mm (위트) / 4,370mm || || '''전폭''' || 1,705mm || || '''전고''' || 1,455mm || || '''축거''' || 2,570mm || || '''윤거(전)''' || 1,506mm (14인치) / 1,488mm (16인치) || || '''윤거(후)''' || 1,511mm (14인치) / 1,493mm (16인치) || || '''공차중량''' || 1,035 ~ 1,170kg || || '''연료탱크 용량''' || 43L || || '''타이어 크기''' || 175/70R14[br]195/50R16 || || '''구동방식''' || [[FF(자동차)|앞엔진-앞바퀴굴림(FF)]] ||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 '''후륜 현가장치''' || [[토션빔 서스펜션]] ||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 '''후륜 제동장치''' || [[드럼 브레이크]] / [[디스크 브레이크]] || ||<-7><#fff> {{{#002e6b '''파워트레인'''}}} || || '''엔진''' || '''엔진 형식''' || '''흡기 방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변속기''' || ||<-7><#002e6b> {{{#fff '''가솔린'''}}} || || [[현대 감마 엔진|현대 감마[br](G4FA)]] || 1.4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396cc || 108ps || 13.9kgf·m || 5단 [[수동변속기]][br]4단 [[자동변속기]] || || [[현대 카파 엔진|현대 카파[br](G4LC)]][* 2013년 3월부터 감마 1.4에서 대체되었다.] || 1.4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368cc || 100ps || 13.6kgf·m || 5단 [[수동변속기]][br][[CVT|무단변속기]] || || [[현대 감마 엔진|현대 감마[br](G4FD)]] || 1.6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591cc || 140ps || 17kgf·m || 6단 [[수동변속기]][br]6단 [[자동변속기]] || ||<-7><#002e6b> {{{#fff '''디젤'''}}} || || [[현대 U 엔진|현대 U2[br](D4FB)]] || 1.6L 직렬 4기통 || 싱글터보 || 1,582cc || 128ps || 26.5kgf·m || 6단 [[수동변속기]][br]4단 [[자동변속기]] || ===# 중기형 #=== ||<-2><#ffffff> {{{#002e6b {{{+1 '''ACCENT'''}}}/4세대(F/L)}}} || || '''생산지'''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 [[양정동(울산)|양정동]] || || '''코드네임''' || RB || || '''차량형태''' || 4도어 [[소형차|소형]] [[세단]][br]5도어 [[소형차|소형]] [[해치백]] (위트) || || '''승차인원''' || 5명 || || '''전장''' || 4,115mm (위트) / 4,370mm || || '''전폭''' || 1,705mm || || '''전고''' || 1,455mm || || '''축거''' || 2,570mm || || '''윤거(전)''' || 1,506mm (14인치) / 1,496mm (15인치) / 1,488mm (16인치) || || '''윤거(후)''' || 1,511mm (14인치) / 1,501mm (15인치) / 1,488mm (16인치) || || '''공차중량''' || 1,035 ~ 1,230kg || || '''연료탱크 용량''' || 43L || || '''타이어 크기''' || 175/70R14[br]185/60R15[br]195/50R16 || || '''구동방식''' || [[FF(자동차)|앞엔진-앞바퀴굴림(FF)]] ||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 '''후륜 현가장치''' || [[토션빔 서스펜션]] ||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 '''후륜 제동장치''' || [[디스크 브레이크]] || ||<-7><#fff> {{{#002e6b '''파워트레인'''}}} || || '''엔진''' || '''엔진 형식''' || '''흡기 방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변속기''' || ||<-7><#002e6b> {{{#fff '''가솔린'''}}} || || [[현대 카파 엔진|현대 카파[br](G4LC)]] || 1.4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368cc || 100ps || 13.6kgf·m || 5단 [[수동변속기]][br][[CVT|무단변속기]] || || [[현대 감마 엔진|현대 감마[br](G4FD)]] || 1.6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591cc || 140ps || 17kgf·m || 6단 [[자동변속기]] || ||<-7><#002e6b> {{{#fff '''디젤'''}}} || ||<|2> [[현대 U 엔진|현대 U2[br](D4FB)]] ||<|2> 1.6L 직렬 4기통 ||<|2> 싱글터보 ||<|2> 1,582cc || 128ps || 26.5kgf·m || 6단 [[수동변속기]][br]4단 [[자동변속기]] || || 136ps || 30.6kgf·m || 6단 [[수동변속기]][br]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 || ===# 후기형 #=== ||<-2><#ffffff> {{{#002e6b {{{+1 '''ACCENT'''}}}/4세대(2nd F/L)}}} || || '''생산지'''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 [[양정동(울산)|양정동]] || || '''코드네임''' || RB || || '''차량형태''' || 4도어 [[소형차|소형]] [[세단]][br]5도어 [[소형차|소형]] [[해치백]] (위트) || || '''승차인원''' || 5명 || || '''전장''' || 4,115mm (위트) / 4,370mm || || '''전폭''' || 1,705mm || || '''전고''' || 1,455mm || || '''축거''' || 2,570mm || || '''윤거(전)''' || 1,506mm (14인치) / 1,496mm (15인치) / 1,488mm (16인치) || || '''윤거(후)''' || 1,511mm (14인치) / 1,501mm (15인치) / 1,488mm (16인치) || || '''공차중량''' || 1,035 ~ 1,220kg || || '''연료탱크 용량''' || 43L || || '''타이어 크기''' || 175/70R14[br]185/60R15[br]195/50R16 || || '''구동방식''' || [[FF(자동차)|앞엔진-앞바퀴굴림(FF)]] ||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 '''후륜 현가장치''' || [[토션빔 서스펜션]] ||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 '''후륜 제동장치''' || [[디스크 브레이크]] || ||<-7><#fff> {{{#002e6b '''파워트레인'''}}} || || '''엔진''' || '''엔진 형식''' || '''흡기 방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변속기''' || ||<-7><#002e6b> {{{#fff '''가솔린'''}}} || || [[현대 카파 엔진|현대 카파[br](G4LC)]] || 1.4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368cc || 100ps || 13.6kgf·m || 5단 [[수동변속기]][br][[CVT|무단변속기]] || || [[현대 감마 엔진|현대 감마[br](G4FD)]] || 1.6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591cc || 140ps || 17kgf·m || 6단 [[자동변속기]] || ||<-7><#002e6b> {{{#fff '''디젤'''}}} || || [[현대 U 엔진|현대 U2[br](D4FB)]] || 1.6L 직렬 4기통 || 싱글터보 || 1,582cc || 136ps || 30.6kgf·m || 6단 [[수동변속기]][br]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 ||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i 브랜드 차량)]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차량)]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현대 엑센트, version=1165, paragraph=2.4)] [[분류:현대 엑센트]][[분류:2010년 출시]][[분류:2019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