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차량의 원형, rd1=포드 그라나다)] ||<-6> [[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width=30]] {{{#002e6b,#fff '''[[현대자동차|{{{#002e6b,#fff 현대자동차}}}]]의 {{{#002e6b,#fff 플래그십 세단}}} 라인업'''}}} || || [[포드 20M|{{{#002e6b,#fff 포드 20M}}}]] || → ||<#002e6b> {{{#fff '''그라나다'''}}} || → || [[그랜저|{{{#002e6b,#fff 그랜저[br](1~2세대)}}}]] || → || || [[현대 다이너스티|{{{#002e6b,#fff 다이너스티}}}]] ||→ || [[현대 에쿠스|{{{#002e6b,#fff 에쿠스}}}]] || → || [[현대 아슬란|{{{#002e6b,#fff 아슬란}}}]] || → || || [[그랜저|{{{#002e6b,#fff 그랜저[br](6세대~)}}}]] || → ||<-4> {{{#002e6b,#fff '''현재'''}}} || || [[포드 모터 컴퍼니|[[파일:포드 로고.svg|width=25%]]]][* 현대가 생산한 차량이지만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의 로고를 부착하고 생산했다.]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s7.postimg.org/on_Instagram.jpg|width=100%]]}}} || || {{{#fff '''GRANADA'''}}} || [목차] == 개요 == [[현대자동차]]에서 [[포드 모터 컴퍼니]]의 모델을 들여와 면허 생산한 모델이다. == 상세 == ||[[파일:Granada_ex_01-1.jpg|width=100%]]||[[파일:Heritage_Granada_Studio_shot01_01.jpg|width=100%]]|| || 전기형 || 후기형(그라나다V6) || || [[파일:현대그라나다광고.jpg|width=80%]][br]출시 당시의 신문광고(1978.12.18)[[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view.nhn?editNo=2&printCount=&publishDate=1978-12-18&officeId=00020&pageNo=3&printNo=17601&publishType=00020&articleId=&serviceStartYear=1920&serviceEndYear=1999#|출처]] || 70년대 대한민국에서는 최고급 승용차 수요층을 위해 1973년부터 [[포드 그라나다]] 1세대 모델을 출시하려 했으나 당시 1차 오일쇼크가 일어나 상공부의 6기통 자동차 생산 불허로 인하여 계속 지연되다가, 1978년에 정부가 제한적으로[* 한 회사당 하나의 차종만, 6기통이되 배기량 3리터 미만, 국산화율 20% 이상이라는 조건이 붙었다.] 6기통 모델 생산을 다시 허가하자 그해 10월에 [[현대자동차]]가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에서 2세대 모델을 들여와 조립 생산했다. 어떠한 주행 조건에서도 강력한 힘을 발휘했으며, 차체와 브레이크, 스티어링 등이 뛰어난 안전성을 주었고, 4륜 독립 현가 장치, 인체공학적 시트로 훌륭한 승차감이 확보된 승용차였다. 이후 2차 [[오일 쇼크]]가 일어나자 1980년 4기통 모델도 출시한다. 1982년에 라디에이터 그릴과 테일램프, 전후 범퍼의 디자인을 바꾸고 고급사양[* 수동식 원격조정 도어 미러, 타코미터, 전자식 오디오 etc.]을 추가한 '''그라나다 V6'''[* 4기통 모델을 없애고 6기통 모델만 생산하면서 6기통임을 강조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를 출시하였다. 1978년 10월부터 단종된 1985년 12월까지 4,743대가 생산되었고 내수 사양 후속 모델은 1986년에 출시한 [[현대 그랜저|그랜저]]이다. 현재 전기형은 3 ~ 4대 정도 남아있다고 한다. 관련 링크: [[http://www.bobaedream.co.kr/board/bulletin/view.php?code=bbstory&No=314|보배드림컬렉션/자동차 70년대 ‘부의 상징’ 현대 그라나다]] == 여담 == * 현대자동차가 CKD로 들여와 생산했기 때문에, 라디에이터 그릴과 트렁크 덮개에 포드의 로고가 붙어 있다.[* 그라나다 뿐만 아니라, 당시에 생산했던 코티나 시리즈 등의 포드 차량들도 모두 포드 로고가 붙어서 나왔다.] * 대한민국에서는 국산 플래그쉽 대형차의 대명사인 [[현대 그랜저]]의 전신인 만큼 1980년대 초중반을 풍미하던 모델로 그만큼 오랫동안 보존된 차량도 많았기 때문에, 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초중반을 배경으로 하는 1990년대~2000년대에 방영된 드라마에서 정치인 및 재벌들의 자가용으로 자주 등장하는 편이다.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는 1986년이 배경인 35화까지 등장했고, 이후로는 [[현대 그랜저#s-2.1|1세대 그랜저]]가 그 자리를 채웠다. 한편, 영화 [[택시 운전사]]에도 그라나다V6와 코티나 마크V 등이 나오는데, 5.18 당시에는 아직 출시되지 않은 차종이라 이건 재현오류이다.[* 비슷한 재현오류로, 역시 5.18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 [[꽃잎(영화)|꽃잎]]에서도 1985년에 출시된 [[자일대우버스 BS#s-3.2|대우 BS105]] 버스 초기형이 등장한다.(...) 비록 거의 스치듯 나오기는 하지만.] * 시판 전 현대차 측에서는 1,395만원으로 책정했지만 상공부에서는 241만원을 깎아낸 가격인 1,154만원으로 결정했다. 하지만 가격이 매해 100만원 단위로 치솟게 된다. 이유는 23%에 불과한 국산화율과 관세, 특별소비세, 부가가치세 등을 붙였기 때문이다. 2차 석유파동 이후에는 2리터 4기통 모델을 추가했고, 새롭게 디자인을 꾸며 뉴 그라나다를 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가격은 더 치솟았고, 단종 직전이던 1985년 가격은 1,992만원에 달했다. 당시 1979년 분양을 시작한 [[대치 은마아파트]] 31평형 분양가는 1,800만원 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아파트 한 채가 굴러다녔던 것이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9109061&memberNo=3251907&vType=VERTICAL|출처]] * 뒷번호판을 트렁크 패널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었던 오리지널 모델과 달리, 국내 판매된 모델은 뒷번호판을 뒷범퍼 아래에 부착하도록 되어있었다. 오리지널 모델은 유럽 전용이라 트렁크 패널 크기가 유럽 규격 번호판만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에 당시 국내 규격의 번호판을 부착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부득이 번호판을 범퍼 아래로 내려서 부착할 수밖에 없었고, 그래서 뒷범퍼 중간의 윗 부분에는 트렁크 패널을 비추던 번호판등 구멍을 메운 흔적이 있었다.[[https://news.hyundaimotorgroup.com/upload/image/lb230/lb230-26983-244198.jpg|#]][* 인용한 이미지는 그라나다V6 모델이지만, 전기형 모델도 저렇게 돼 있었다.] *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의 장남인 [[정몽필]] [[현대제철|인천제철]] 회장이 타던 차였으며 1982년에 울산에서 서울로 상경하기 위해 [[경부고속도로]]를 달리던 도중, 김천에서 12톤 트레일러를 추월하다가 옆구리를 들이받아 8m 정도 끌려가 엔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운전기사와 정몽필 회장 모두 숨졌고, 차량은 완전 전소되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4290032920702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4-29&officeId=00032&pageNo=7&printNo=11256&publishType=00020|당시 경향신문 기사(1982.4.29)]] 그런데, 번호가 서울 1사 2600이라고 기재돼 있다. 원래 비사업용 차량 기호는 가 ~ 마[* 현재는 여기에 거 ~ 저, 고 ~ 조, 구 ~ 주 가 추가되어 있다.], 사업용은 바 ~ 자를 사용할 수 있다. 아무래도 오자일 가능성이 있다. * [[리쌍]] 멤버 [[길(가수)|길]]의 아버지가 그라나다를 타고 다녔다고 한다.[* 명수는 12살에서 길이 언급하자, 무한도전 멤버들이 이를 듣고 놀랐다.][* 참고로 길의 어머니는 대우 프린스를 타고 다녔다.] *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서도 주인공 한병태가 어른이 된 뒤, 동창들로부터 엄석대가 이 차 뒷좌석에서 턱을 젖힌 채 타고 다니는 것을 봤다는 이야기를 듣는 것으로 언급된다. * 후기형 헤드램프와 라디에이터 그릴[* 차체가 은색인 경우, 은색으로 도색되어 나왔으며, 그외 색상은 모두 검은색이었다.], 테일램프 스타일이 [[현대 스텔라]] 초기형과 유사하다. * 2022년에 개봉된 영화 [[헌트(2022)|헌트]]에서 박평호([[이정재]])의 차[* 검은색 그라나다 V6] 로 등장한다. * [[새한 제미니]]처럼 도어락이 창틀 부근이 아닌 도어트림 패널의 실내 도어캐치에 장착되었다. * 2023년 드라마 [[어쩌다 마주친, 그대]]에서 주연 차량으로 등장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차량)]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포드 그라나다, version=153)] [[분류:현대자동차/생산차량]][[분류:준대형 세단]][[분류:1978년 출시]][[분류:1985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