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내셔널리즘)] [목차] {{{+2 '''Revolutionary nationalism'''}}} == 개요 == 말 그대로 [[혁명]]을 통해 [[내셔널리즘]]을 실현시키려는 사상이나 운동 등을 의미한다. == 역사 == 19세기 혁명적 내셔널리즘의 시초는 [[프랑스 혁명]]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자코뱅]]부터 [[나폴레옹]]까지 비록 세부이념적 차이는 있었을지언정 혁명 가치의 수호를 위해 민족주의적 정서가 조장되었다. [[1848년 혁명]]도 각국의 반체제 내셔널리스트들이 주도했는데, 이들은 이들은 [[자유주의]],[[급진주의]] 정치운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식민제국 본국들의 경우 19세기 후반부터 점차 내셔널리즘이 우파 이념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반면, 피식민 국가들에서 혁명적 내셔널리즘의 경우 반드시 우파라고 단정짓기 어려운 경우도 많았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절 [[베트남]]에서의 껑브엉 운동, [[아일랜드 공화주의]]의 사례도 극우라고 보기 어려운 피식민 국가들의 혁명적 내셔널리즘이라고 볼 수 있다. [[전간기]] 유럽에서는 극좌 진영의 [[혁명적 사회주의]]에 대한 대안으로써 극우 진영에서 혁명적 내셔널리즘이 대두되었다. 이로 인해 20세기와 [[제1세계]]에서 혁명적 내셔널리즘은 [[파시즘]]과의 연관성 때문에 좌파 진영에서 기피된다. 다만 현대 유럽에서도 [[소수민족]] 중심 혹은 [[아일랜드 공화주의]] 같은 [[좌익 내셔널리즘]] 정당, 조직들이 있긴 하지만 이들은 사회경제적 평등이 주된 목적이지 내셔널리즘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기에 혁명적 내셔널리즘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현재 유럽에서 혁명적 내셔널리즘은 보통 [[네오 파시즘]]으로 간주된다. == 사례 == * [[https://en.wikipedia.org/wiki/C%E1%BA%A7n_V%C6%B0%C6%A1ng_movement|껑브엉 운동]] (베트남) * [[국민생디칼리슴]] - 파시즘과 연관 있는 사상으로, 혁명적 내셔널리즘의 한 예로 분류된다. * [[보수혁명 운동]] * [[블랙 파워]] - 혁명적 사회주의와 혁명적 내셔널리즘이 결합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 [[수카르노]] -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에 반대하였으며, 좌익적 형태의 혁명적 내셔널리스트로 알려져 있다. * [[아일랜드 공화주의]] 일부 * [[파시즘]] 한국의 경우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고 민족해방 혁명을 부르짖었던 [[NL(정파)]] 일부가 혁명적 내셔널리즘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분류:내셔널리즘/분파]][[분류: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