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음악사)] ||||
'''{{{+1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br]Henryk Wieniawski'''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jpg|width=100%]]}}} || || '''본명'''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1 Henryk Wieniawski}}}|| ||<|2> '''출생''' ||[[1835년]] [[7월 10일]]|| ||[[폴란드 입헌왕국]] [[루블린]]|| ||<|2> '''사망''' ||[[1880년]] [[3월 31일]] (향년 44세)|| ||[[러시아 제국]] [[모스크바]]|| || '''직업'''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 '''사조''' ||후기 낭만주의, 국민악파|| [목차] [clearfix] == 개요 == [[폴란드]]의 바이올린 연주자ㆍ작곡가 동시대의 [[파블로 데 사라사테]](Pablo de Sarasate, 1844~1908)와 같이 19세기의 악단을 장식한 바이올린의 명수이다. [[니콜로 파가니니]]가 1840년 죽고나서 요제프 요아힘(Joseph Joachim) , [[앙리 비외탕]](Henry Vieuxtemps) 등과 같이 바이올린 기교의 절정을 다했다. 사랑과 관련된 에피소드가 있는 "전설"(Legende, Op.17)을 제외하면 대부분 작품들의 연주가 상당히 어렵다. == 생애 ==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는 1835년 루블린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그의 집에서는 [[살롱]]이 자주 열렸고 이는 훗날 그와 그의 형제들(작가 줄리안 비에니아프스키, 피아니스트 유제프 비에니아프스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는 어릴 때부터 어머니를 포함한 많은 스승에게 바이올린을 배웠다. 그는 9세에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여 11세에 수석으로 졸업했다. 1849년에는 파리 음악원에서 작곡 공부를 시작하여 이듬해 수석으로 졸업했다. 1850년부터 1855년까지 그는 유제프 비에니아프스키와 함께 유럽에 연주 여행을 다녔다. 1860년에는 러시아 음악 협회의 솔로이스트이자 차르 궁정의 수석 바이올리니스트가 되었다. 또한 그때부터 제자들을 가르쳤는데, 2년 후 콘서바토리를 만든다. 1872년 그는 안톤 루빈스타인과 함께 미국으로 연주 여행을 떠난다. 8개월동안 215번의 연주회를 열고 비에니아프스키는 1874년 유럽으로 돌아온다. 1874년부터 3년동안 그는 Brussels의 콘서바토리에서 바이올린을 가르쳤다. 1880년 건강이 악화되어 모스크바에서 사망하였다. == 작품 == || [youtube(OHsadoU5csE)] || || 전설 || || [youtube(zsY3AQgt41o)] || ||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올림바단조 || || [youtube(MYzYVsvD5as)] || || 바이올린 협주곡 2번 라단조 || || [youtube(0UPrGttumdw)] || || 화려한 폴로네즈 1번 라장조 || == 여담 == * 2017년 11월 우리나라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가 워너 클래식 레이블에서 바르샤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비에니아프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 2번과 [[쇼스타코비치]]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을 녹음하여 발매하였다. * 1935년에는 그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지금도 바이올리니스트의 등용문으로 알려진 비에니아프스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가 창설됐다. 1957년 비에니아프스키 국제 바이올린 제작 콩쿠르가 창설됐다. [[분류:폴란드의 바이올리니스트]][[분류:폴란드의 작곡가]][[분류:1835년 출생]][[분류:1880년 사망]][[분류:루부스키에 주 출신 인물]][[분류:후기 낭만주의의 작곡가]][[분류:국민악파 작곡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