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음악사)] |||| '''{{{+1 헨리크 구레츠키}}}[br]Henryk Górecki'''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dimg.donga.com/69298312.1.jpg|width=100%]]}}} || || '''본명''' ||헨리크 미코와이 구레츠키 Henryk Mikołaj Górecki|| ||<|2> '''출생''' ||[[1933년]] [[12월 6일]]|| ||[[폴란드 제2공화국]] 체르니카|| ||<|2> '''사망''' ||[[2010년]] [[11월 12일]] (향년 76세)|| ||[[폴란드]] [[실롱스키에]] 주 [[카토비체]]||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 '''직업''' ||[[작곡가]]|| || '''종교'''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폴란드]]의 작곡가. == 약력 == 1933년: 체르니카에서 태어났다. 1951년: 초등학교 교사가 되었다. 1952~3년: 리브닉 음악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955~60년: 카토비체국립음악학교에서 샤벨스키 밑에서 작곡을 배웠다. 1958년: 합창곡 에피타피움을 발표했다. 1959년: 교향곡 1번을 작곡했다. 1960년: 모놀로기, 스콘트리를 작곡했다. 1965년: 모교에서 작곡을 가르쳤다. 1968년: 칸타타를 작곡했다. 1969년: 칸티쿰 그라둠을 작곡했다. 1975년: 모교의 정교수가 되었다. 1976년: 교향곡 3번 ‘슬픔의 노래’를 작곡했는데, 이후 이 작품은 큰 명성을 얻게 되었다. 1981년: 미제레레를 작곡했다. 1987년: 토투스 투스를 작곡했다. 2010년: 교향곡 4번을 완성하지 못한 채 사망했다. 그 후 아들이 관현악 악보를 완성해서 2014년에 초연되었다. == 작품 경향 == 초기에는 현대음악의 영향을 받은 작품을, 중기에는 전통적인 작품을, 후기에는 단순화되고 작곡기법이 최소화된 작품을 썼다. == 작품 == === 교향곡 === * 교향곡 1번 ‘1959년’ Op.14 (1959) * '''교향곡 2번 ‘코페르니칸’ Op.31 (1972)''' * '''[[슬픈 노래들의 교향곡|교향곡 3번 ‘슬픈 노래들의 교향곡’ Op.36 (1976)]]''' * 교향곡 4번 ‘탄스만의 에피소드’ Op.85 === 관현악 === * 스콘트리 Op.17 (1960) * '''3개의 오래된 스타일의 작품들 (1963)''' * 레프레인 Op.21 (1965) * 오래된 폴란드 음악 Op.24 (1969) * 작은 음악 3 Op.25 (1967)[* 호른 5, 트럼펫 4, 트럼본 4, 현악 오케스트라] * 칸티쿰 그라둠 Op.27 (1969) * 3개의 춤곡 Op.34 (1973) * 현악 4중주 2번 현악 오케스트라 편곡 Op.78 (2002) * 두개의 트리스탄 마무리곡과 코랄 Op.82 === 협주곡 === * 즐거움과 리듬의 노래 Op.7 (피아노 듀엣) (1956, 1960) * 하프시코드/피아노 협주곡 Op.40 (1980) * 칸타타 협주곡 Op.65 (1992) === 실내악 ===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 Op.4 (1956) * 작은 4중주 Op.5 (플루트2, 오보에, 바이올린) (1956)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단악장의 소나티나 Op.8 (1956) *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Op.10 (1957) * 현악 4중주와 앙상블 (플룻, 클라리넷, 트럼펫, 만돌린)을 위한 콘체르토 Op.11 (1957) * 플루트를 위한 세개의 형상 Op.15 (1959) * 플루트를 위한 형상 4번 Op.18 (1960) * 창조 1: 원소 Op.19-1 (1962)[*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 창조 2: 도구들의 노래들 Op.19-2 (1962)[* 피콜로, 트럼펫, 만돌린, 기타, 피아노 연탄, 타악기, 바이올린 3, 비올라 3] * 작은 음악 1 Op.22 (1967)[* 트럼펫 2, 기타] * 작은 음악 2 Op.23 (1967)[* 트럼펫 4, 트럼본 2, 피아노 2, 타악기] * 작은 음악 4 Op.27 (1969)[* 트럼본, 클라리넷, 첼로, 피아노] * 오르간 칸타타 Op.26 (1968)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작은 곡 Op.37 (1977)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자장가들과 춤곡들 Op.47 (1982) * 종달새 음악 Op.53 (1984-6)[* 클라리넷, 첼로, 피아노] * 안네 릴을 위해서 Op.58 (1986)[* 플룻, 피아노] * 아리아 Op.59 (1987)[* 튜바, 피아노, 탐탐, 큰북] * '''[[현악 4중주 1번(구레츠키)|현악 4중주 1번 일찍이 찾아온 해질녁 Op.62 (1988)]]''' * '''[[현악 4중주 2번(구레츠키)|현악 4중주 2번 환상곡 풍으로 Op.64 (1991)]]''' * '''폴카를 위한 작은 레퀴엠 Op.66 (1993)''' * '''[[현악 4중주 3번(구레츠키)|현악 4중주 3번 불러진 노래들 Op.67 (1993)]]''' * 발렌타인 곡 Op.70 (1996)[* 플룻, 종] * 클라리넷 5중주 Op.71 (1996)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작은 환상곡 Op.73 (1997)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야시우냐를 위해서 Op.79 (2003) === 피아노 === * 4개의 전주곡 Op.1 (1955) * 토카타 Op.2[* 피아노 연탄] (1955) * '''피아노 소나타 Op.6 (1956)''' * 자장가 Op.9 (1956, 1980) * 새들의 둥지에서 Op.9a (1956) * 5개의 소품 Op.13 (1959) * 마주르카 Op.41 (1980) * 잡다한 소품 Op.52 === 가곡 === * 3개의 노래 Op.3 (1956) * 모놀로기 Op.16 (1960)[* 소프라노, 하프 2, 타악기] * 창조 3: 모노드라마 Op.19-3 (1962)[* 금속 타악기, 베이스 6) * 두 개의 신성한 노래 Op.30 (1971) * 2개의 노래 Op.42 (1980) * 평화로운 산딸기 노래 Op.43 (1980) * 스워바츠키의 가사를 바탕으로 한 가곡집 Op.48 (1983) * 야스나 구라를 위한 명상 Op.55 (1985)[* 소프라노, 오르간] * 잘 자요 Op.63 (1990)[* 소프라노, 알토 플루트, 탐탐 3, 피아노] * 코노프니츠카의 노래 Op.68 (1954/95) * 스타니스워프 비스피안스키의 가사를 바탕으로 한 파편들 Op.69 (1996) === 합창 === * 에피타피움 Op.12 (1958) * 어머니에게 Op.29 (1971)[* 소프라노, 합창, 오케스트라] * 아멘 Op.35 (1975) * '''베아투스 비르 Op.38 (1979)[* 바리톤, 합창, 오케스트라]''' * 넓은 물가 Op.39 (1979) * '''미제레레 Op.44 (1981)''' * 어두운 저녁이 다가온다 Op.45 (1981) * 나의 비스툴라, 회색빛의 비스툴라 Op.46 (1981) * 3개의 자장가 Op.49 (1984) * 나의 라벤더 화환 Op.50 (1984) * 구름이 오고, 비가 온다 Op.51 (1984) * 마리안의 노래 Op.54 (1985) * 당신의 보호 아래에 Op.56 (1985) * 신들의 천사를 위해 종은 울리고 Op.57 (1986) * 모두 당신에게 Op.60 (1987) * 오소서 성령이시어 Op.61 (1988) * 성 아달베르투스 Op.72 (1997) * 쿠르피아 노래 Op.75 (1999) * 성가 Op.76 (2000) * 함께 노래합시다 Op.77 (2000) * 로지니 카틴스키에의 노래 Op.81 (2004) * 자비를 베푸소서 Op.83 * 성가 모음집 Op.84 (1986) [[분류:폴란드의 작곡가]] [[분류:1933년 출생]] [[분류:2010년 사망]][[분류:돌노실롱스키에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