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ha, other1=감탄사 하, rd1=하)] [목차] == 개요 == {{{+1 '''Hectare'''}}} [[땅]]의 면적을 나타내는 [[미터법]] 단위로, 기호로는 '''ha'''라고 표기한다. 1 ha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100 m인 [[정사각형]]의 넓이, 즉 10,000 m²를 가리킨다. 따라서 100 ha는 1 km²가 되고, 바꿔 말하면 1 ha는 0.01 km²이다. 헥타르보다 작은 단위도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10 m인 정사각형의 넓이, 즉 100 m²를 [[아르]](are, 기호 '''a''')라고 한다.[* 도입 당시 [[프랑스어]]에 기원을 둔 명칭이기 때문에 ‘아르’가 옳다. 그러므로 다르게 나타낼 경우 외래어 표기 규정에 어긋난다.] 따라서 100 a는 1 ha가 된다. 헥타르(hectare)는 아르(are) 앞에 100을 의미하는 [[헥토|hect]][* '헥토'가 아닌 이유는 [[국제단위계/접두어|접두어]]가 정립된 것이 헥타르가 등장한 지 훨씬 뒤의 일이기 때문이다.]를 붙여서 만든 이름이다. 아르(are)는 면적, 넓이, 구역, 공간, 지역 등을 뜻하는 낱말인 area에서 유래되었으며, [[스페인어]]에서 [[아르]]는 원형 are에서 약간 변형된 área(아레아)로 부르고, 헥타르는 hectárea(엑따레아)라고 하는데 둘 다 여성형 명사이다. [[중국]]에서는 公頃이라고 표기한다. == [[아르]] 계열 단위 == || 단위이름 || 표기 || [[국제단위계]] || [[척관법]] || [[야드파운드법]] || || 센티아르(centiare) || ca || 1 m² || 0.3025평 || 10.7639 sq ft || || 데시아르(deciare) || da || 10 m² || 3.025평 || 11.9599 sq yd || || [[아르]](are) || a || 100 m², 1 dam² || 30.25평 || 3.95369 perches || || 데카르(decare) || daa || 1,000 m² || 302.5평 || 0.98842 roods || || 헥타르(hectare) || ha || 10,000 m², 1hm² || 3025평 || 약 2.4710538 acres || || 제곱킬로미터(square kilometer) || ㎢, sq km || 1,000,000 m² || 302,500평 || 0.38610 sq mi || === 센티아르 (ca) === 1 센티아르는 1 제곱미터이다. === 데시아르 (da) === 1 데시아르는 10 제곱미터이다. ==== 아르 (a) ==== [[아르]] 문서 참조 === 데카르 (daa) === deka는 그리스어로 [[10]]을 뜻한다. 데카르는 주로 [[노르웨이]]와 [[오토만]] 제국, [[불가리아]]에서 땅 면적을 측정하는 데에 쓰였다. === 헥타르(ha)와 같은 단위 === ==== 국제단위계 ==== * 1 제곱헥토미터 ==== 야드파운드법 ==== * 11959.9005 제곱야드 * 2.471054 ac ==== 척관법 ==== * 3025 坪([[평]]) * 1.008333 町步([[정보(동음이의어)#s-2|정보]]) [* 정보(町步)라는 단위는 정확히 3천 평 단위로 면적이 딱 떨어질 때 쓰인다.] * 약 1.008 町(정) * 15 亩(mǔ)[* [[중국]]에서만 쓰이는 단위다.] ==== 기타 ==== * 1.031034 甲(jiǎ) ([[대만]]) ~~척관법이 아니다!~~ * 10 dunam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터키]]) * 10 stremmata ([[그리스]]) * 6.25 rai ([[태국]]) * 약 2.381 feddan ([[이집트]]) == 여담 == [[국제단위계]]가 시행되면서 오랫동안 사용하는 단위이다. 제곱[[미터]]와 제곱킬로미터의 중간쯤 되는 적절한 단위라[* 1 km는 1 m 대비 천 배지만, 1 km^^2^^는 1 m^^2^^ 대비 (천 배)×(천 배), 즉 무려 '''백만 배'''나 된다. [[차원]]이 올라갈수록 SI 접두어의 간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는 것이다.] 농업이나 임업과 관련한 분야에서도 많이 쓰인다. 열대생물학자들이나 자연보호주의자들 사이에서도 면적을 표현하는 표준단위나 마찬가지. 국내에서도 논, 밭 같은 경작지 면적이나 [[산불]] 피해 면적 측정 등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위 중 하나다. 만약 SI 표준표기만으로 헥타르를 표기한다면 제곱헥토미터, 영어로는 square hectometer가 되는데 소리가 너무 길다. 헥타르라고 표현하면 간단하므로 실용단위로 살아남았고,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에서도 헥타르를 '''SI는 아니지만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단위'''로 인정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로는 [[리터]]가 있다. 국제 규격 [[축구장]]이 0.7 헥타르쯤 된다. 언론에서 크기 비교를 위해서 자주 사용하는 [[여의도]]는 제방 바깥의 한강 둔치 지역을 포함하면 450헥타르, 제방 안쪽만 따지면 290헥타르이다. 2012년 [[국토해양부]]는 크기를 비교하려고 여의도 면적을 이야기할 경우, 제방 안쪽 넓이인 290헥타르를 기준으로 하기로 하였다. [[평]]으로 환산하자면 1 헥타르는 3025평이다. 3천 평을 가리키는 정(町), 정보(町步)이라는 단위와 면적이 거의 같다.[* 1헥타르는 10000㎡ 1정보, 정은 9917.4㎡다.]에이커 단위로 1 헥타르를 환산하면 약 2.47[[에이커]]이다. [[중국]]에서는 헥타르는 公頃이라고 표기한다. 초등학교 5학년 때 헥타르, 아르와 제곱킬로미터, 제곱미터와의 상호변환을 다루었으나, 훨씬 더 자주 실생활에서 쓰인 평과 같은 단위들도 사용을 하지 말자는 등 수년간 지속된 실효성 논란 끝에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퇴출되었다. 그렇지만, km²(m²의 1백만 배)는 굉장히 큰 단위라서, m²의 1만 배인 헥타르(ha)를 많이 쓴다. 농경지 면적이라든가 산불 피해면적을 보도할 때 헥타르를 많이 사용함이 그 예시. 제곱미터, 아르, 헥타르, 제곱킬로미터 간 상호변환은 쉽다. 네 단위 모두 국제단위계를 기반으로 했기 때문이다. 1제곱미터의 100배가 1아르(are), 1아르의 100배가 1헥타르(ha), 1헥타르의 100배가 1제곱킬로미터이다. [[분류:도량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