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미국의 야구감독]][[분류:1930년 출생]][[분류:2003년 사망]][[분류:세미놀 카운티(조지아 주) 출신 인물]][[분류:우투우타]][[분류:포수]][[분류:내야수]][[분류:보스턴 레드삭스/은퇴, 이적]][[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분류:1955년 데뷔]][[분류:1963년 은퇴]] ||
'''{{{#000000 헤이우드 설리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000 헤이우드 설리반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보스턴 레드삭스 명예의 전당)] ---- [include(틀:오클랜드 애슬레틱스 감독)] }}} || ---- ||
'''{{{#000 헤이우드 설리반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16번}}}''' || || 프리츠 도리시[br](1956) || {{{+1 →}}} || '''{{{#fff 헤이우드 설리반[br](1957~1959)}}}''' || {{{+1 →}}} || 캐롤 하디[br](1960~1962)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30번}}}''' || || 알 스크롤[br](1959) || {{{+1 →}}} || '''{{{#fff 헤이우드 설리반[br](1960)}}}''' || {{{+1 →}}} || 밥 틸먼[br](1962) || ---- ||<-5> '''{{{#ffffff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ffffff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등번호 8번}}}''' || || 해리 치티[br](1958~1960) || {{{+1 →}}} || '''{{{#003831 헤이우드 설리반[br](1961~1963)}}}''' || {{{+1 →}}} || 찰리 라우[br](1963) || }}} || }}} || ||<-2>
[[파일:헤이우드 설리반.jpg|width=90%]] || ||<-2> '''{{{#000000,#e5e5e5 {{{+2 헤이우드 쿠퍼 설리반}}}}}} [br] {{{#000000,#e5e5e5 Haywood Cooper Sullivan }}}''' || || '''{{{#000000,#e5e5e5 출생}}}''' ||[[1930년]] [[12월 15일]] [br] [[조지아 주]] 도날슨빌 || || '''{{{#000000,#e5e5e5 사망}}}''' ||[[2003년]] [[2월 12일]] [br] [[플로리다 주]] 포트마이어스 (향년 72세) || || '''{{{#000000,#e5e5e5 묘역}}}''' ||도산 시티 묘역, [[앨라배마|앨라배마 주]] 도산 || || '''{{{#000000,#e5e5e5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000000,#e5e5e5 포지션}}}''' ||'''[[포수]]''', [[1루수]] || || '''{{{#000000,#e5e5e5 투타}}}''' ||[[우투우타]] || || '''{{{#000000,#e5e5e5 출신교}}}''' ||[[플로리다 대학교]] || || '''{{{#000000,#e5e5e5 소속팀}}}''' ||[[보스턴 레드삭스]] (1955~1959)[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1961~1963) || || '''{{{#000000,#e5e5e5 지도자}}}'''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감독 (1965) || || '''{{{#000000,#e5e5e5 수상}}}''' ||보스턴 레드삭스 명예의 전당 || ---- [clearfix] [목차] == 개요 == 미국의 [[야구선수]]이자 야구감독. == 커리어 == === 선수 시절 === 선수 시절에는 평범한 포수였다. 1955년 데뷔하였지만 2게임 소화에 그쳤고, 1960년까지 레드삭스에서 뛰며 60경기 .150의 타율을 기록했다. 1960년 [[워싱턴 세네터스]]의 신생팀 드래프트에서 뽑혀 이적하였으나 15일만에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로 이적하였다. 상대는 마티 커티나와 현금. 1961년 애슬레틱스의 주전을 차지하며 117경기 OPS .690으로 커리어하이 시즌을 보낸다. 1963년까지 애슬레틱스에서 뛰다가 은퇴하였다. 빅리그 통산 성적은 312경기 974타석 192안타 13홈런, 타율 .226 OPS .631. === 지도자 시절 === 은퇴 다음해인 1964년부터 애슬레틱스 산하 AA 구단인 버밍햄 바론스 팜 클럽의 감독으로 부임한다. 1965년에는 AAA팀의 감독으로 승진하였다. 그런데 AAA에서 26경기밖에 치루지 않은 시점에서 애슬레틱스 감독이었던 멜 맥가하가 5승 21패라는 극악의 성적으로 경질당하자 후임 감독으로 급하게 선임된다. 이후 남은 시즌 54승 82패, 승률 .397을 기록하며 꼴지로 시즌을 마무리한다. 이후 후임으로 [[앨빈 다크]]가 선임되었다. === 프런트 시절 === 설리반은 애슬레틱스에서 나와 1965년 11월부터 친정팀 [[보스턴 레드삭스]]의 프런트로 부임한다. 이후 1967년 레드삭스의 아메리칸 리그 우승의 주축이 되는 몇몇 선수들을 영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구단주였던 요키 부인은 1978년에 선임 단장인 딕 오코넬을 해고하고 설리반을 단장직에 임명하였다. 그러나 단장이 된 후 설리반은 릭 벌슨, 프레드 린 등 팀 내 FA 선수와의 협상을 원만히 끝내지 못했고, 이후 FA 시장에 진입하기를 거부하고 선수 육성을 통해 메꾸겠다는 고집을 피웠으나 그 결과는 처참했다. 1983년 단장직에서 물러나고 구단 최고 경영자가 되어 1993년까지 자리를 지켰다. 2003년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