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517년 출생]] [include(틀:역대 막 왕조 황제)] ||<-5> '''{{{#d4cd99 막조 3대 황제[br]{{{+1 憲宗 顯皇帝 | 헌종 현황제}}}}}}''' || || '''[[묘호|{{{#d4cd99 묘호}}}]]''' ||<(> '''[[헌종]](憲宗)''' || || '''[[시호|{{{#d4cd99 시호}}}]]''' ||<(> 현황제(顯皇帝) || || '''[[연호|{{{#d4cd99 연호}}}]]''' ||<(> 꽝호아(廣和, 1541년 ~ 1546년) || || '''[[성씨|{{{#d4cd99 성}}}]]''' ||<(> 막(Mạc / 莫) || || '''[[휘|{{{#d4cd99 휘}}}]]''' ||<(> 푹하이(Phúc Hải / 福海 / 복해) || || '''{{{#d4cd99 생몰}}}''' ||<(> 1517년 ~ 1546년 || || '''{{{#d4cd99 재위}}}''' ||<(> 1540년 ~ 1546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트남]] [[막 왕조]]의 제3대 황제. 묘호는 헌종(憲宗), 시호는 현황제(顯皇帝). 휘는 막복해(莫福海). 막 태종 [[막등영]]의 장남이었다. == 생애 == [[막등영|태종]](太宗) 막등영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540년, 반국공(蟠國公)에 봉해졌다가, 같은 해 부황 태종이 붕어하자, 그 뒤를 이어서 황제로 즉위했다. 막복해가 황제로 즉위했을 때에도 조부 [[막등용]]이 [[태상황]]으로 생존해 있었기에 그가 섭정했다. 한편 중국의 [[명나라]]는 막씨가 찬위(篡位)한 것으로 보고 군사를 보내 막 왕조를 정토(征討)하려 했다. 태상황 막등용은 이를 두려워했고, 헌종 막복해는 머물러 나라를 지키고자 했으나, 막등용은 대신들을 거느린 후 유의관(友誼關)으로 나아가 명나라에 항복했으며 이에 명나라는 막 왕조의 항복을 받아들이고, 막등용을 안남군통사(安南都統使)에 봉했다. 1541년, 태상황 막등용이 죽자, 헌종 막복해는 친정을 시작했으며 [[후여조]] 부흥운동 세력의 주축인 [[완감]], [[정검]]과 대치했다. 1546년에 붕어하여 아들인 [[막복원]]이 뒤를 이었다. [[분류:대월 황제]][[분류:1546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