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ffff00 '''[[중국|{{{#ffff00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ffff00 윈난성}}}]]의 국경통상구[br]{{{+1 [ruby(河口, ruby=Hékǒu)][ruby(口岸, ruby=Kŏuàn)][br][ruby(𨷶口, ruby=Cửa khẩu)][ruby(老街, ruby=Lào Cai)] ● [ruby(𨷶口, ruby=Cửa khẩu)][ruby(金城, ruby=Kim Thành)] }}}'''[br] Hekou Port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中国河口口岸,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분류}}}''' || 육로(도로) || ||<-2> '''{{{#ffff00 등급}}}''' || 국가급(1류) || ||<-2> '''{{{#ffff00 접경지}}}''' || [[파일:베트남 국기.svg|height=15]] [[베트남]] [[라오까이성]] 라오까이시 || ||<-2> '''{{{#ffff00 관할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해관총서|[[파일:1024px-Flag_of_the_Customs_of_the_People's_Republic_of_China.svg.png|height=15]]]] 쿤밍해관[br][[중국 국가이민관리국| [[파일:Flag_of_the_National_Immigration_Administration_of_PR_China.jpg|height=15]]]] 윈난 출입경변방검사총참 || ||<-2> '''{{{#ffff00 운영시간}}}''' || 매일 08:00 ~ 20:00 || ||<-2> '''{{{#ffff00 주소}}}''' || {{{-1 [[윈난성]]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허커우야오족자치현}}}[br]{{{-1 云南省红河哈尼族彝族自治州河口瑶族自治县}}} || ||<-2> '''{{{#ffff00 설치년도}}}''' || 1897년 7월 1일(남쪽) [br]2012년 8월 8일(북쪽) || ||[[파일:河口口岸南.webp|width=450]]|| || 남쪽 보행자 전용 통로 베트남측 명칭 Cầu Hồ Kiều Ii[* 허커우 2교라는 뜻으로 두번째 다리라고 붙은 이유는 지금은 흔적만 남아 있지만 미터궤철교 옆에 Cầu Hồ Kiều(허커우교)라는 다리가 있었기 때문이다.][br]중국측 명칭 허커우난시허중월대교(河口南溪河中越公路大桥)[* 2001년 1월 8일에 개통되었다. [[https://kknews.cc/zh-cn/travel/53n2e2l.html|#]]] || ||[[파일:河口口岸.jpg|width=450]]|| || 2012년 8월 8일에 개통한 북쪽 화물전용 통상구 베트남쪽에서는 이곳을 킴탄 통상구 [ruby(𨷶口, ruby=Cửakhẩu)] [ruby(金城, ruby=Kim Thành)]라고 부른다. || [clearfix] [목차] == 개요 == 허커우 통상구(河口口岸)는 윈난성 훙허하니족이족자치주 허커우야오족자치현에 위치한 윈난성 최대 베트남 국경통상구로 [[홍강]]을 경계로 베트남 라오까이성 라오까이시와 맞대고 있다. 두 개의 통상구가 있는데 중국측은 모두 '''허커우 통상구(河口口岸)'''로 명칭을 통일했지만 베트남측은 [[노이바이 라오까이 고속도로|고속도로 끝]]과 연결된 화물전용 통상구를 킴탄 통상구([ruby(𨷶口, ruby=Cửakhẩu)] [ruby(金城, ruby=Kim Thành)])[* 남쪽 라오까이 통상구에서 4km 북서쪽에 위치하며 중월홍강공로대교(中越红河公路大桥)라는 다리를 넘어 허커우 통상구와 맞대고 있다.], 도보와 소형차량으로 통행할 수 있는곳을 라오까이 통상구([ruby(𨷶口, ruby=Cửakhẩu)] [ruby(老街, ruby=Lào Cai)])[* [[홍강]]과 난시허(南溪河:Sông Nậm Thi)와 만나는곳에 위치하며 이곳에 설치된 다리를 중국측에서는 허커우난시허공로대교(南溪河公路大桥)라고 부른다. 바로 옆에 베트남과 중국을 연결하는 미터궤 철교가 있어서 하루에 몇 번 양국을 오가는 화물열차가 지나다니는걸 볼 수 있다. ]로 명칭을 구분 해놓았다. == 교통 == === 중국 === 중국측은 2009년에 개통하여 윈난성 성도 [[쿤밍시]]를 잇는 (G8011)카이허고속공로가 시작되며 쓰촨성 옆의 [[충칭시]]를 잇는 [[중국 326번 국도]]가 시작된다. 철도교통으로 고속열차(高铁)가 다니는 [[쿤위허철도]]의 종점이며 [[허커우베이역]]이 있어서 성도 쿤밍까지 연결된다. === 베트남 === 베트남측은 북쪽 허커우 통상구(킴탄 통상구)쪽에서 수도 하노이를 잇는 (CT.05)[[노이바이 라오까이 고속도로]]가 시작된다. 또한 라오스 국경과 가까운 [[라이쩌우성]] 풍토현에서 시작한 베트남 4D번 국도[* 이 도로를 타고 라오까이 통상구에서 서쪽으로 2시간정도 가다보면 라오까이성과 라이쩌우성 경계에 있는 베트남 최고봉 판시판(Phan Xi Păng)이 있다.]가 남쪽 라오까이 통상구를 거처 라오까이성 므엉끄엉(Mường Khương)을 잇는다. 중국과 협궤철도가 연결되어 하노이까지 이어지는 '''하노이-라오까이선''' 이 있는데 [[라오까이역]](Ga Lào Cai)에서는 하노이까지 약 8시간이 걸린다. [[분류:윈난성의 국경통상구]][[분류:중국-베트남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