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뉴럴 클라우드/등장인물]]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인형)] ||<-2>
{{{#ffffff,#dddddd '''프로필'''}}}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PNC_인형획득_BG.jpg|width=100%]]{{{#!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100%;padding:1em; margin-left:-100%;" ## 기본 투영 이미지 [[파일:lpic_hubble.png|width=100%]]}}}}}} || || '''이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허블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赫波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ハッブル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Hubble || || '''성별''' ||여성 || || '''직업''' ||천문학 연구원 || || '''모델''' ||PSRA || || '''기업'''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42LAB)] [[42LAB]] || || '''생일''' ||[[11월 20일|{{{#373a3c,#dddddd 11월 20일}}}]] || || '''레어도''' ||★3 || || '''클래스'''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클래스, 클래스=사수)] 사수 |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태그, 태그=공격)] 공격 || || '''일러스트''' ||pORAfree ||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히다카 리나]]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5FOjO105ubg)] >"과거 인류는 우주망원경을 눈으로 삼아 우주를 바라봤어. 어떤 의미로는, 그들은 또 인형을 거울 삼아 자신을 바라보지." 모바일 게임 [[뉴럴 클라우드]]에 등장하는 인형. == 프로필 == ||
{{{#!wiki style="margin: 0 0 -4px"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피험 인형 프로필 {{{#!wiki style="float:right" PROJECT.NEURAL.CLOUD}}}}}}}}} || ||{{{#!wiki style="margin:0 -10px;" ## 이름, 직업 ## {{{#!wiki style="display:inline-flex; width:calc(50% - 4px);margin:4px 8px 9px 0;" {{{#!wiki style="width:51px;padding:2px 13px;background:#444445;color:white;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이름'''}}}}}}{{{#!wiki style="width:calc(100% - 51px);padding:2px 12px;background:#e2e2e3;color:#333333;border-radius:2px;" {{{-1 '''허블'''}}}}}}}}}{{{#!wiki style="display:inline-flex; width:calc(50% - 4px);margin:0 0 9px 0;" {{{#!wiki style="width:51px;padding:2px 13px;background:#444445;color:white;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직업'''}}}}}}{{{#!wiki style="width:calc(100% - 51px);background:#e2e2e3;color:#333333;padding:2px 12px;border-radius:2px;" {{{-1 '''천문학 연구원'''}}}}}}}}} ## 모델, 기업 ## {{{#!wiki style="display:inline-flex;width:calc(50% - 4px);margin:0 8px 9px 0;" {{{#!wiki style="width:51px;padding:2px 13px;background:#444445;color:white;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모델'''}}}}}}{{{#!wiki style="width:calc(100% - 51px);background:#e2e2e3;color:#333333;padding:2px 12px;border-radius:2px;word-break: keep-all;" {{{-1 '''PSRA'''}}}}}}}}}{{{#!wiki style="display:inline-flex; width:calc(50% - 4px);margin:0 0 9px 0;" {{{#!wiki style="width:51px;padding:2px 13px;background:#444445;color:white;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기업'''}}}}}}{{{#!wiki style="width:calc(100% - 51px);background:#e2e2e3;color:#333333;padding:2px 12px;border-radius:2px;" {{{-1 '''42LAB'''}}}}}}}}} ## 생일, 클래스 ## {{{#!wiki style="display:inline-flex; width:calc(50% - 4px);margin:0 8px 9px 0;" {{{#!wiki style="width:51px;padding:2px 13px;background:#444445;color:white;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생일'''}}}}}}{{{#!wiki style="width:calc(100% - 51px);background:#e2e2e3;color:#333333;padding:2px 12px;border-radius:2px;" {{{-1 '''6월 14일'''}}}}}}}}}{{{#!wiki style="display:inline-flex; width:calc(50% - 4px);margin:0 0 9px 0;" {{{#!wiki style="background:#444445;width:51px;color:white;padding:2px 0;border-radius:2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1 '''클래스'''}}}}}}{{{#!wiki style="width:calc(100% - 51px);background:#e2e2e3;color:#333333;padding:2px 12px;border-radius:2px;" {{{-1 '''사수'''}}}}}}}}} ## 이력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100%;margin:0 0 4px;background:#444445;color:white;padding:2px 13px;border-radius:2px;" {{{-1 '''이력'''}}}}}} PSRA 시리즈는 국제 천문학 연구 협회(WAU)의 요청에 응한 42LAB이 개발을 주도하고, WAU에서 파견된 천문학자 벨라 박사가 테스트 보조로 참여해 제작된 천문학 우주진화론 및 천체물리학 전문 연구 인형입니다. 허블은 2057년, PSRA 시리즈 1호기로 탄생했습니다. 다만 시대적 배경과 국제 정세의 영향으로 천문학의 사회적 지위가 다소 낮은 편이었기에 바로 클라우드 마인드맵 프로젝트의 선발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는 못했고, 친구 프레넬의 추천으로 추가 선발 테스트에 참여할 기회를 얻어 이를 통과해 마그라세아에 오게 되었습니다.}}}|| }}}|| == 성능 == === 기본 === ==== 능력치 ==== ||
능력치 || 1성 1레벨 || 5성 60레벨 || 5성 70레벨 || ||[[파일:PNC_능력치_최대체력.png|width=18]] 최대체력 || 1216|| 10253|| 11671|| ||[[파일:PNC_능력치_공격력.png|width=18]] 공격력 || 86|| 582|| 662|| ||[[파일:PNC_능력치_연산력.png|width=18]] 연산력 || 79|| 529|| 602|| ||[[파일:PNC_능력치_물리방어.png|width=18]] 물리방어 || 21|| 168|| 193|| ||[[파일:PNC_능력치_연산방어.png|width=18]] 연산방어 || 21|| 168|| 193|| ||[[파일:PNC_능력치_공격속도.png|width=18]] 공격속도 || 80|| 120|| 120|| ||[[파일:PNC_능력치_치명률.png|width=18]] 치명률 || 0.5%|| 10%|| 10%|| ||[[파일:PNC_능력치_물리관통.png|width=18]] 물리관통 || 67|| 438|| 500|| ||[[파일:PNC_능력치_연산관통.png|width=18]] 연산관통 || 56|| 397|| 455|| ||[[파일:PNC_능력치_회피율.png|width=18]] 회피율 || 0%|| 0%|| 0%|| ||[[파일:PNC_능력치_전투 후 회복.png|width=18]] 전투 후 회복 || 163|| 364|| 364|| ==== 스킬 ==== ## 패시브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0;" [[파일:PNC_Skill_Passive_BG.png|width=72]]{{{#!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8px" [[파일:hubble_passive.png|height=44&width=44]]}}}}}} ||<(>{{{#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474950; margin-right:3px; padding: 1px 5px;" 패시브}}}}}}}}} '''행성정렬''' || ||<(> 일정 횟수 일반공격 후마다 주는 피해량이 상승한다. || ||<^|1><-2>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모든 레벨 효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패시브 레벨 효과 ||
레벨 || 효과 || || 1 ||<(> 일반공격 4회마다, 허블이 주는 피해량이 3.3% 상승한다, 최대 5중첩. || || 2 ||<(> 일반공격 4회마다, 허블이 주는 피해량이 3.6% 상승한다, 최대 5중첩. || || 3 ||<(> 일반공격 4회마다, 허블이 주는 피해량이 3.9% 상승한다, 최대 5중첩. || || 4 ||<(> 일반공격 4회마다, 허블이 주는 피해량이 4.2% 상승한다, 최대 5중첩. || || 5 ||<(> 일반공격 4회마다, 허블이 주는 피해량이 4.5% 상승한다, 최대 5중첩. || || 6 ||<(> 일반공격 4회마다, 허블이 주는 피해량이 4.8% 상승한다, 최대 5중첩. || || 7 ||<(> 일반공격 4회마다, 허블이 주는 피해량이 5.1% 상승한다, 최대 5중첩. || || 8 ||<(> 일반공격 4회마다, 허블이 주는 피해량이 5.4% 상승한다, 최대 5중첩. || || 9 ||<(> 일반공격 4회마다, 허블이 주는 피해량이 5.7% 상승한다, 최대 5중첩. || || 10 ||<(> 일반공격 4회마다, 허블이 주는 피해량이 6% 상승한다, 최대 5중첩. ||}}}}}}}}} || ## 액티브 ||
<|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0;" [[파일:PNC_Skill_Active_BG.png|width=72]]{{{#!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8px" [[파일:hubble_skill.png|height=44&width=44]]}}}}}} ||{{{#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b8fff; margin-right:3px; padding: 1px 5px;" 액티브}}}}}}}}} '''천체 추락''' (쿨타임 10초) || ||<(> 대상에게 높은 {{{#2ba8c4 연산피해}}}를 주고 그 주변 적에게 낮은 {{{#b99534 순수피해}}}[*순수피해 피해량이 물리/연산 방어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피해반사, 체력흡수 등 피해량에 연관된 효과를 발동하지 않고, 함수 또는 스킬의 조건도 되지 않는다. 대신 받는 피해량 상승과 피해차감의 효과를 받는다.]를 준다. || ||<(> 예충전 5초 → 6초(★5) || ||<^|1><-2>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모든 레벨 효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액티브 레벨 효과 ||
레벨 || 효과 || || 1 ||<(> 약간 지연 시간 후, 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에게 {{{#2ba8c4 연산력 200% 연산피해}}}를 주고, 그 주변 2칸 안의 모든 적에게 이 피해량의 {{{#b99534 30% 순수피해}}}를 준다. || || 2 ||<(> 약간 지연 시간 후, 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에게 {{{#2ba8c4 연산력 216% 연산피해}}}를 주고, 그 주변 2칸 안의 모든 적에게 이 피해량의 {{{#b99534 30% 순수피해}}}를 준다. || || 3 ||<(> 약간 지연 시간 후, 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에게 {{{#2ba8c4 연산력 232% 연산피해}}}를 주고, 그 주변 2칸 안의 모든 적에게 이 피해량의 {{{#b99534 30% 순수피해}}}를 준다. || || 4 ||<(> 약간 지연 시간 후, 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에게 {{{#2ba8c4 연산력 248% 연산피해}}}를 주고, 그 주변 2칸 안의 모든 적에게 이 피해량의 {{{#b99534 30% 순수피해}}}를 준다. || || 5 ||<(> 약간 지연 시간 후, 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에게 {{{#2ba8c4 연산력 268% 연산피해}}}를 주고, 그 주변 2칸 안의 모든 적에게 이 피해량의 {{{#b99534 30% 순수피해}}}를 준다. || || 6 ||<(> 약간 지연 시간 후, 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에게 {{{#2ba8c4 연산력 292% 연산피해}}}를 주고, 그 주변 2칸 안의 모든 적에게 이 피해량의 {{{#b99534 30% 순수피해}}}를 준다. || || 7 ||<(> 약간 지연 시간 후, 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에게 {{{#2ba8c4 연산력 316% 연산피해}}}를 주고, 그 주변 2칸 안의 모든 적에게 이 피해량의 {{{#b99534 30% 순수피해}}}를 준다. || || 8 ||<(> 약간 지연 시간 후, 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에게 {{{#2ba8c4 연산력 340% 연산피해}}}를 주고, 그 주변 2칸 안의 모든 적에게 이 피해량의 {{{#b99534 30% 순수피해}}}를 준다. || || 9 ||<(> 약간 지연 시간 후, 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에게 {{{#2ba8c4 연산력 370% 연산피해}}}를 주고, 그 주변 2칸 안의 모든 적에게 이 피해량의 {{{#b99534 30% 순수피해}}}를 준다. || || 10 ||<(> 약간 지연 시간 후, 공격력이 가장 높은 적에게 {{{#2ba8c4 연산력 400% 연산피해}}}를 주고, 그 주변 2칸 안의 모든 적에게 이 피해량의 {{{#b99534 30% 순수피해}}}를 준다. ||}}}}}}}}} || ## 궁극기 ||
<|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0;" [[파일:PNC_Skill_Ultimate_BG.png|width=72]]{{{#!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8px" [[파일:hubble_ultimate.png|height=44&width=44]]}}}}}} ||{{{#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b7600; margin-right:3px; padding: 1px 5px;" 궁극기}}}}}}}}} '''초신성 붕괴''' (쿨타임 30초) || ||<(> 지정한 위치로 모든 적을 끌어모아 치명타가 가능한 {{{#2ba8c4 연산피해}}}를 주고 {{{#ed372e 기절}}}[*기절 행동할 수 없다, 스킬 발동을 도중에 끊고 자동 충전 스킬이 멈춘다, 제어 효과, 디버프]시킨다. || ||<^|1><(> {{{#!folding [ 궁극기 컷씬 ] [[파일:뉴럴 허블 궁극기 애니메이션.gif|width=100%]]}}} || ||<^|1><-2>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모든 레벨 효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궁극기 레벨 효과 ||
레벨 || 효과 || || 1 ||<(> 지정한 위치에 블랙홀을 소환해 모든 적을 끌어모아, 치명타가 가능한 {{{#2ba8c4 연산력 200% 연산피해}}}를 주고, 2초간 {{{#ed372e 기절}}}시킨다. || || 2 ||<(> 지정한 위치에 블랙홀을 소환해 모든 적을 끌어모아, 치명타가 가능한 {{{#2ba8c4 연산력 225% 연산피해}}}를 주고, 2.3초간 {{{#ed372e 기절}}}시킨다. || || 3 ||<(> 지정한 위치에 블랙홀을 소환해 모든 적을 끌어모아, 치명타가 가능한 {{{#2ba8c4 연산력 250% 연산피해}}}를 주고, 2.5초간 {{{#ed372e 기절}}}시킨다. || || 4 ||<(> 지정한 위치에 블랙홀을 소환해 모든 적을 끌어모아, 치명타가 가능한 {{{#2ba8c4 연산력 275% 연산피해}}}를 주고, 2.8초간 {{{#ed372e 기절}}}시킨다. || || 5 ||<(> 지정한 위치에 블랙홀을 소환해 모든 적을 끌어모아, 치명타가 가능한 {{{#2ba8c4 연산력 300% 연산피해}}}를 주고, 3.1초간 {{{#ed372e 기절}}}시킨다. ||}}}}}}}}} || ==== 평가 ==== 광역딜 특화 연산 사수. 액티브의 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적의 딜러를 저격하기 때문에 스킬 한 방에 적 딜러진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스킬 시전 속도가 전 사수 중 최상급이라 연산 사수임에도 평타 관련 함수와 역시너지가 없고, 충전속도 관련 환경이나 알고리즘 효율을 100% 발휘할 수 있다. 공격력 스텟이 전 사수 최상위급이라 물리피해나 치명타 같은 함수도 나름대로 잘 써먹을 수 있다. 거의 완벽에 가까운 함수 적합도 덕분에 조합과 환경을 잘 타지 않아 어디에서나 무난하게 활약할 수 있는 인형. 무엇보다 허블의 궁극기는 뉴럴 클라우드의 전 캐릭터 중 최강의 CC 성능을 자랑하는데, 모든 적을 한 점으로 예쁘게 모아주고 기절까지 걸어주는데다 피해량도 낮지 않다. 적이 뭉치기 때문에 아군의 광역기가 효과적으로 들어갈 수 있고 애초에 허블의 액티브 스킬이 준수한 성능의 광역기이다보니 혼자서 궁극기+액티브 한 방에 전투를 끝내버리는 경우도 많다. 단점으로는 딜량 총합 자체가 그다지 뛰어나지는 못하다. 액티브의 광역 피해는 주 대상에게만 온전히 들어가고 범위 내에는 30%의 순수피해만 입히기 때문에 생각보다 딜량이 적고, 패시브의 최대 중첩 30% 추가 피해량을 감안하더라도 타 딜러들을 압도할 만한 수준은 아닌데 평타를 총합 20번을 쳐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따르기 때문에 예열 시간도 길다. 인플레가 진행될수록 상식 밖의 광역딜을 뽑아내는 인형들이 등장함에 따라 부각된 단점. 단일 대상 전투에서도 액티브의 단일 화력이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라 저평가를 받는다. 종합하자면 어디에나 어울리는 무난한 성능과 강력한 파괴력을 가진 궁극기가 장점이지만, 인플레가 진행됨에 따라 딜러로서 가장 중요한 DPS 경쟁력이 떨어져 평가가 낮아진 인형. 딜량의 편차가 적지만 그만큼 고점도 높지 않은, 무난함이 장점이자 단점인 인형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사수 덱에서 단일 화력 딜러와 조합하여 사용하며, 강력한 CC가 필요할 경우 벤치에서 종종 꺼내 쓰기도 한다. ||
<-2> '''추천 함수''' || || [[파일:구조 약화.webp|width=100px]] ||<|2>압도적인 양의 연산력을 제공하는 함수 세트이니만큼 연산 딜러인 허블에게 잘 어울린다. 고속 재장전의 재충전 효과도 최대 효율로 사용할 수 있고 피해증폭 효과로 데미지 증가 효과도 뛰어나다. || || [[뉴럴 클라우드/함수#s-2.2.4|{{{#ffffff 구조 약화}}}]] |||| || [[파일:회심의 협공.webp|width=100px]] ||<|2>평타 로스가 거의 없는 허블에게 초월살상 효과가 잘 어울린다. 고양 사격으로 인한 연산력 증가 효과도 쏠쏠하다. || || [[뉴럴 클라우드/함수#s-2.6.1|{{{#ffffff 회심의 협공}}}]] |||| || [[파일:결빙 탄환.webp|width=100px]] ||<|2>4세트의 연산력 증폭 효과를 볼 수 있고 2세트 효과도 허블의 광역딜 능력과 시너지가 괜찮다. 상단의 두 함수 세트를 갖추었을 경우 더블배럴의 평타 대상 증가 효과로 시너지를 볼 수 있다. || || [[뉴럴 클라우드/함수#s-2.2.2|{{{#ffffff 결빙 탄환}}}]] || === 무장각인 === [[파일:Hubble_Arma_Inscripta.jpg ]] ||
[[파일:허블 무장각인 로고.gif|width=100%]] || || 무장각인 로고 || ==== 각인돌파 ==== ||
단계 || 스킬 || 설명 || || I || 천체 추락+ [br](액티브) ||치명타가 가능해지며 대상 주위 2칸 안의 적 하나마다 피해 배율이 40%씩, 최대 5회 상승한다 || || II || 천체 추락++ [br](액티브) ||범위 안의 무작위 적 하나에게 작은 운석을 떨어뜨려 첫번째 피해의 70%만큼의 피해를 준다. || || III || 행성정렬+ [br](패시브) ||패시브 발동 시 궁극기 게이지가 10% 상승한다. 전투마다 궁극기 게이지를 100% 소모하여 자신의 궁극기 액티브 함수를 1회 사용할 수 있다(대기석에서도 적용). 궁극기 또는 액티브 함수 사용 후에도 패시브가 1회 발동한다. || ==== 각인강화 ==== ||
레벨 || 최대체력 || 공격력 || 연산력 || 물리방어 || 연산방어 || 물리관통 || 연산관통 || || 1 || 0 || 0 || 0 || 3 || 3 || 0 || 0 || || 2 || 0 || 0 || 0 || 3 || 3 || 8 || 21 || || 3 || 0 || 10 || 12 || 3 || 3 || 8 || 21 || || 4 || 187 || 10 || 12 || 6 || 3 || 8 || 21 || || 5 || 187 || 10 || 12 || 6 || 3 || 16 || 41 || || 6 || 187 || 19 || 25 || 6 || 3 || 16 || 41 || || 7 || 375 || 19 || 25 || 6 || 6 || 16 || 41 || || 8 || 375 || 19 || 25 || 6 || 6 || 25 || 64 || || 9 || 375 || 30 || 38 || 6 || 6 || 25 || 64 || || 10 || 577 || 30 || 38 || 10 || 10 || 25 || 64 || ||<-99> || || 11 || 577 || 30 || 38 || 13 || 13 || 25 || 64 || || 12 || 577 || 30 || 38 || 13 || 13 || 34 || 87 || || 13 || 577 || 41 || 52 || 13 || 13 || 34 || 87 || || 14 || 792 || 41 || 52 || 17 || 13 || 34 || 87 || || 15 || 792 || 41 || 52 || 17 || 13 || 44 || 113 || || 16 || 792 || 53 || 68 || 17 || 13 || 44 || 113 || || 17 || 1022 || 53 || 68 || 17 || 17 || 44 || 113 || || 18 || 1022 || 53 || 68 || 17 || 17 || 54 || 140 || || 19 || 1022 || 65 || 84 || 17 || 17 || 54 || 140 || || 20 || 1266 || 65 || 84 || 21 || 21 || 54 || 140 || ||<-99> || || 21 || 1266 || 65 || 84 || 25 || 25 || 54 || 140 || || 22 || 1266 || 65 || 84 || 25 || 25 || 65 || 168 || || 23 || 1266 || 79 || 101 || 25 || 25 || 65 || 168 || || 24 || 1523 || 79 || 101 || 30 || 25 || 65 || 168 || || 25 || 1523 || 79 || 101 || 30 || 25 || 77 || 198 || || 26 || 1523 || 83 || 119 || 30 || 25 || 77 || 198 || || 27 || 1795 || 83 || 119 || 30 || 30 || 77 || 198 || || 28 || 1795 || 83 || 119 || 30 || 30 || 90 || 232 || || 29 || 1795 || 98 || 139 || 30 || 30 || 90 || 232 || || 30 || 2101 || 98 || 139 || 35 || 35 || 90 || 232 || ==== 평가 ==== 무장각인 이후 천체추락에 치명타가 발생하고, 범위 내 적 수에 따라 추가 계수가 붙는데다 액티브 피해의 70%를 한번 더 줄 수 있게되어 액티브가 매우 강력해졌다. 또한 3단계 시 궁극기 게이지를 소모하기는 하지만 대기석에서도 허블의 궁극기를 액티브 함수형태로 1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밴치에서 발판버프용으로 쓰면서도 언제나 아쉬웠던 몹몰이능력을 체리피킹하는 활용도 가능. 또한 기존에는 일반공격을 20회 해야만 패시브 스택을 채웠다면, 무장각인 3단계 개방 시 궁극기와 3단계시 지급되는 궁극기 카드를 사용할 때에도 패시브 스택이 쌓여 더 빠르게 풀 스택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범위형 딜러임에도 액티브 자체가 워낙 강력해 보스전에서도 충분히 활약하는 등 기존 허블의 약점이 사라지면서 강력한 딜링에 CC기, 몹몰이까지 전부 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사수. 중국 서버에서는 허블의 무장각인이 이격 캐릭터인 다크스타 허블이 나오는 시기였던 중섭 2주년에 추가되었던 것과 다르게 글로벌 서버에서는 '''[[린드(뉴럴 클라우드)|린드]]가 나오는 대형 이벤트인 [[벼랑끝 승격]] 이벤트에 앞당겨져서 도입되었는데.''' 블루실드로 스펙이 뻥튀기된 적들을 상대로 기절과 치명타가 붙은 천체추락 스킬로 매우 좋은 효율을 보여 린드와 함께 이벤트 맵을 미는데 일등공신이 되었다. == 추천 알고리즘 == ||<-3> '''공격성'''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역치초과 반응|[[파일:PNC_역치초과 반응.png]]]]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이질 회귀|[[파일:PNC_이질 회귀.png]]]]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연산자 중첩|[[파일:PNC_연산자 중첩.png]]]]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역치초과 반응|{{{#fff 역치초과 반응}}}]]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이질 회귀|{{{#fff 이질 회귀}}}]]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연산자 중첩|{{{#fff 연산자 중첩}}}]] || ||<-3>{{{#!wiki style="margin:-16px -11px" || 주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연산력.png|height=30px>]] 12% || 부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주는 피해량 증폭.png|height=30px>]]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타 피해.png|height=30px>]] ||}}}|| 무장각인 이후 액티브에 치명타가 터지면서 딜링을 더욱 끌어올리기 위해 역치초과 반응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누킹으로 한 명을 눕히고 시작할 수 있고, 최근에는 인플레가 꽤나 진행되어서 잡몹도 강해지는 추세라 이질회귀도 추천된다. '''무장각인을 하지 않았을 경우''', 신규 알고리즘인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s-5.4.1|증압 관통]] 또한 추천되며, 이 때는 연산력 부옵을 우선시 한다. ||<-3> '''안정성'''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코드 캡슐화|[[파일:PNC_코드 캡슐화.png]]]]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낮은값 저항|[[파일:PNC_낮은값 저항.png]]]]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이성|[[파일:PNC_이성.png]]]]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코드 캡슐화|{{{#fff 코드 캡슐화}}}]]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낮은값 저항|{{{#fff 낮은값 저항}}}]]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이성|{{{#fff 이성}}}]] || ||<-3>{{{#!wiki style="margin:-16px -11px" || 주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최대체력.png|height=30px>]] 1800 || 부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률.png|height=30px>]]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타 피해.png|height=30px>]] ||}}}|| 주로 피해차감 옵션이 있는 코드 캡슐화나 낮은값 저항을 사용한다. 없을 경우 이성 등 다른 안정성 알고리즘을 사용해도 된다. 피해차감 3세트 알고리즘이 있으면 좋지만 안정성 칸은 부옵이 훨씬 중요하므로 세트보다는 부옵이 잘 붙은 알고리즘을 우선 착용하면 된다. ||<-3> '''특이성'''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합성곱|[[파일:PNC_합성곱.png]]]]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집속|[[파일:PNC_집속.png]]]]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행렬 구조|[[파일:PNC_행렬 구조.png]]]] ||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합성곱|{{{#fff 합성곱}}}]]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집속|{{{#fff 집속}}}]]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행렬 구조|{{{#fff 행렬 구조}}}]] || ||<-3>{{{#!wiki style="margin:-16px -11px" || 주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률.png|height=30px>]][[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타 피해.png|height=30px>]] || 부 옵션 ||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률.png|height=30px>]] [[파일:뉴럴알고리즘_치명타 피해.png|height=30px>]] ||}}}|| 무장각인으로 액티브에 치명타가 터지기에 강력한 한방을 위해 합성곱 혹은 집속을 사용한다. 스킬로 인한 평타 딜로스가 거의 없는 허블 특성상 행렬 구조또한 유용하다. 빠른 공속으로 패시브 중첩을 더 빨리 쌓을 수 있기 때문. 무장각인을 하지 않았을 경우 우선적으로 주옵과 부옵을 충전속도로 사용한다. == 친밀도 == ## 친밀도 스킬 : 순서에 맞게 3가지 스킬만 남긴 후, 맨 왼쪽의 번호를 1, 2, 3으로 변경. ||<-99>
친밀도 스킬 || ## 출력강화 ||<|1> 1 ||<|1> [[파일:PNC_Skill_Base.png|width=60]]{{{#!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60px;margin-left:-60px;" [[파일:PNC_아이콘_출력강화.png|width=60]]}}} '''출력강화'''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1}}}}}} 공격력 {{{#orange 7}}}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2}}}}}} 공격력 {{{#orange 16}}}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3}}}}}} 공격력 {{{#orange 27}}}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4}}}}}} 공격력 {{{#orange 40}}}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5}}}}}} 공격력 {{{#orange 55}}} 상승. || ## 멘탈활성 ||<|1> 2 ||<|1> [[파일:PNC_Skill_Base.png|width=60]]{{{#!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60px;margin-left:-60px;" [[파일:PNC_아이콘_멘탈활성.png|width=60]]}}} '''멘탈활성'''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1}}}}}} 연산력 {{{#orange 7}}}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2}}}}}} 연산력 {{{#orange 16}}}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3}}}}}} 연산력 {{{#orange 27}}}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4}}}}}} 연산력 {{{#orange 40}}}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5}}}}}} 연산력 {{{#orange 55}}} 상승. || ## 협력강타 ||<|1> 3 ||<|1> [[파일:PNC_Skill_Base.png|width=60]]{{{#!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60px;margin-left:-60px;" [[파일:PNC_아이콘_협력강타.png|width=60]]}}} '''협력강타'''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1}}}}}} 치명률 {{{#orange 1%}}}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2}}}}}} 치명률 {{{#orange 2.5%}}}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3}}}}}} 치명률 {{{#orange 4%}}}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4}}}}}} 치명률 {{{#orange 6%}}} 상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eight:16px;margin-right:5px;padding:0 7px;background-color:#202128;color:#ffffff;border-radius:3px;letter-spacing:-0.5px;word-break:keep-all;text-align: center" Lv5}}}}}} 치명률 {{{#orange 8%}}} 상승. || ||<-3> 좋아하는 선물 || ||<-3>{{{#!wiki style="margin:0px -5px; padding: 0;" ## 좋아하는 선물 시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5.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디럭스_케익.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좋아함.png|width=12]] {{{-1 디럭스 케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4.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보틀셔틀.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좋아함.png|width=12]] {{{-1 보틀셔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3.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봉제_열쇠고리.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좋아함.png|width=12]] {{{-1 봉제 열쇠고리}}}}}}}}} ## 좋아하는 선물 끝 }}}|| ||<-3> 싫어하는 선물 || ||<-3>{{{#!wiki style="margin:0px -5px; padding: 0;" ## 싫어하는 선물 시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5.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찐빵_한박스.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싫어함.png|width=12]] {{{-1 찐빵 한박스}}}}}}}}}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4.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찐빵_찜통.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싫어함.png|width=12]] {{{-1 찐빵 찜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color:#eeeeee;margin:3px 1px;" {{{#!wiki style="padding:10px" [[파일:PNC_선물_BG3.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80px;padding:2px;" [[파일:PNC_선물_찐빵.png|width=76]]}}} }}}{{{#!wiki style="width:100px;height:23px;background-color:#202028;color:white;letter-spacing: -0.5px;text-align:center;" [[파일:PNC_선물_싫어함.png|width=12]] {{{-1 찐빵}}}}}}}}} ## 싫어하는 선물 끝 }}}|| == 스토리 == ||
'''{{{#ffffff,#dddddd 인형 스토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프로필 1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2에 개방}}} ---- 연구 분야에 영향받은 탓인지, 허블은 각종 판타지와 공상과학 작품을 좋아합니다. 그 탓에 우주와 별에 관한 수많은, 그리고 인간조차도 해본 적 없을 상상도 자주 하는데, 대표적으로는 과학과 완전히 대척점에 선 고전적이고 미신적인 학문, "점성술"에 매우 큰 관심을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단어 선정도 깐깐하고 묘사도 간결명료하게 하는 과학 연구자들과는 달리, 허블은 일상에서도 업무 중에도 꽤나 추상적인 묘사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길 선호합니다. 그리고 그녀의 그 공상적이고 아름다운 말들이 이렇다 할 변화 없는 연구소의 풍경에 색다른 풍미를 더해 준 덕분에, 허블은 42LAB에서 많은 인형 친구들을 사귈 수 있었습니다. 절친한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들 모두 허블과의 대화를 즐겼지만, 그녀의 표현이 너무나도 추상적이어서 잘 이해하지 못할 때도 종종 있었다고 합니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프로필 2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3에 개방}}} ---- 허블의 직속 관리자인 천문학자 벨라 박사는 허블을 무척이나 마음에 들어해서 자주 자신이 개인적으로 창작한 공상과학 소설을 그녀에게 보여 주곤 했는데, 허블은 그때마다 독특한 시점으로 재미있고 놀라운 의견을 제시했기에 이는 과학자의 관점으로도 흔치 않은 경험이었습니다. 그렇게 조촐한 감상회를 가지던 둘이 한 번은 힘을 합쳐 단편 소설을 쓴 적이 있습니다. 천체의 탄생과 발전, 소멸 과정을 참고하고 의인화를 거친 이 판타지 이야기는 익명으로 42LAB의 내부 자유게시판에 투고되기가 무섭게 사내 인형들 사이에서 천문학 열풍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허블과 프레넬이 서로 얼굴을 트게 된 것도, 다 이 소설 덕분이었습니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보이스 1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4에 개방}}} ---- 새근... 새근... ......42LAB이든 어디든, 회의 중에 잠이 오는 건 당연하지 않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보이스 2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6에 개방}}} ---- 빛을 발하는 수천수만의 별들 사이에서, 생명의 선율과 맥동이 느껴져. 그리고 저 보이지 않는 암중에 숨어있는, 흔들리지 않는 의지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프로필 3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7에 개방}}} ---- 세간의 보편적인 인식으로도 발산적인 사고방식과 낭만주의적인 성격은 썩 괜찮은 이미지지만, 허블은 그로 인해 종종 말썽을 일으켰습니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허블이 자신의 상상 속 세상에 빠진 채 마치 바이러스에 감염된 컴퓨터마냥 의미불명인 말을 줄줄이 내뱉는 광경으로, 의미불명을 넘어 소름끼치는 발언까지 튀어나올 때마저 있지만 그녀는 그것에 대한 자각이 전혀 없습니다. 또한 허블은 그 특유의 발산적인 사고방식 때문에 연구소의 온갖 "틀에 박힌" 규칙을 매우 불편해했습니다. 특히 한번 시작되면 최소 몇 시간은 꼼짝 않고 앉아있어야 하는 발표회는 아주 질색하기에, 잊을 만하면 웃지 못할 해프닝이 벌어졌습니다. "먼저 견학의 안내를 맡아 주신 허블 씨에게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인내심 많고 상냥한 그분에게 정말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그분과 함께 정기 발표회에도 참석했는데, 엄숙한 분위기에 저도 모르게 엄청 긴장돼서 뒤를 슬쩍 돌아봤더니 허블 씨가 세상 모르게 곯아떨어져 계셔서, 바로 맥이 풀려버렸습니다. ... (중략) ... 그러다 허블 씨가 모의천문대로 별 구경 가자면서, 저를 데리고 몰래 밖으로 빠져나왔습니다. 연구하는 사람은 다 진지한 줄 알았는데, 허블 씨 덕분에 그 편견이 깨졌습니다. 견학 안내원이 그분이었어서 대단히 좋았습니다!" - 42LAB 자유 견학 소감문에서 발췌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보이스 3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8에 개방}}} ---- 책장에는 이천오백 권의 서적과 오천 권의 필기장, 그리고 만이천 장의 원고지가 꽂혀 있어. 다 내가 태어나서부터 지금까지 관측하고 연구한 성과지. 저 커다란 망원경은 유럽의 어느 천문학 박물관에게서 받은 건데, 전쟁의 불길을 피해 옮겨진 걸 내가 맡게 된 거야.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프로필 4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10에 개방}}} ---- 사람 사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경쟁이 있는 법. 시대가 시대인 만큼, 사회적 인지도도 떨어지고 연구 성과도 실용화되기 어려운 분야로서, 허블이 소속된 실험실의 예산은 애초부터 많지 않았습니다만, 그럼에도 일말의 학술적 양심마저 없는 인간쓰레기가 꼬일 때가 있었습니다. 물론 그럴 때마다 허블은 관리자인 벨라 박사보다 먼저 나서 용기 있게 목소리를 냈고, 허블의 평판과 인맥 덕에 상황은 보통 그녀의 선에서 정리되었습니다. 아무리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허블의 천문학에 대한 자긍심은 단 한 번도 꺾인 적이 없습니다. 반짝이는 별하늘을 향한 동경에 더해, 허블은 굳게 믿고 있습니다. 저 하늘 너머의 광활한 우주야말로 인류, 그리고 모든 지적생명체가 결국에는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보이스 4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11에 개방}}} ---- 낭만주의와 신비주의야말로 이 세상의 본질일지도 몰라. 일부 현실주의자들이 입을 모아 부정하는데, 어쩌면 정말 그들이 옳을 수도 있겠지. 하지만 그런 사고방식으로 살기에는 너무 지루하지 않을까? 미지의 영역을 향한 호기심과 탐구심이 없었다면, 인류는 이렇게까지 발전하지 못했을 테니까.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프로필 5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13에 개방}}} ---- 마그라세아에 온 허블은 환경의 한계 때문에 오아시스 이외의 지역에서는 천체 관측이 불가능했습니다. 주어진 자원이 한정적이니, 시급하지 않은 사항에 배분될 연산량은 없었으니 말입니다. 결국 허블은 자신만의 천문대를 직접, 말 그대로 "0"부터 만들어야 했고, 다행히 프레넬의 도움을 받아 고생 끝에 그럴 듯한 천문대를 건설해냈습니다. 물론 둘은 거기서 그치지 않고 홀로그램으로 우주를 구현한 방도 만들었는데, 이는 과학 연구용만이 아니라 원정 임무에서 복귀한 인형들에게도 좋은 휴식 공간이 되었습니다. 언제든 구경하러 간다면, 그곳에서 천체를 관측하고 얻은 수치를 기록하거나, 시시각각 변화하는 별자리 앞에 서서 관찰하는 등 연구에 몰두하느라 정신이 없는 허블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허블이 자주 멈춰서는 별자리 앞에는 항상 어디서 났는지 모를, 예쁜 빛으로 반짝이는 보석이 놓여있다는 것입니다. "그날 견학 시간 끝난 줄 모르고 들어갔는데, 마침 프레넬이 한 행성 자리에다 보석을 놓고 있었어." "하하하, 사파이어가 그 행성의 색이랑 정말 잘 어울리더라니까." - 가상 천문대 방문 기록에서 발췌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인형 보이스 5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친밀도 Lv.14에 개방}}} ---- 교수, 혹시 괜찮다면, 여기서 좀 더 있다 갈래? 오늘 밤, 백 년에 한 번 온다는 혜성이 가까이 지나갈 거야. 너와 나, 단둘이서, 그 기적을 조용히 함께 지켜보고 싶어. ||}}}}}}}}} || == 작중 행적 == == 스킨 == === 기본 투영 - 하늘을 바라보는 자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pic_hubble.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pORAfree || || 입수방법 || 기본 투영 || || 적용범위 || || > 인형이 마그라세아에 들어온 후 마인드맵으로 투영한 의상입니다. 가장 익숙하면서도 편안하죠. >---- > "우리는 어두운 파란 점 위에서 먼 하늘을 바라보고 있어. 시간의 틈새에서 벗어나 끝없는 우주를 살피는 거야." === 확장 투영 - 하늘을 바라보는 자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pic_hubble_p2.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pORAfree || || 입수방법 || 마인드 확장 ★★★☆ 달성 || || 적용범위 || || > 인형이 마그라세아에 들어온 후 마인드맵으로 투영한 의상입니다. 가장 익숙하면서도 편안하죠. >---- > "우리는 어두운 파란 점 위에서 먼 하늘을 바라보고 있어. 시간의 틈새에서 벗어나 끝없는 우주를 살피는 거야." === 완벽 투영 - 떨어진 별빛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pic_hubble_p3.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pORAfree || || 입수방법 || 마인드 확장 ★★★★ 달성 || || 적용범위 || || > 마그라세아에 들어온 인형의 마인드맵으로 투영한 의상과 환경으로, 현실 세계에서의 삶을 비춥니다. >---- > "고요하고 기나긴 어둠 속에서, 우리를 비춰 주는 것은 별빛 뿐이야." === [anchor(호랑이 기운)][[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호랑이 기운|호랑이 기운]] - 좋은 밤 좋은 별 (Live2D)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럴 허블 스킨1.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pORAfree || || 입수방법 || 상점 구매 || || 적용범위 || [[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3D모델|[include(틀:뉴럴 클라우드/3D모델)]]] [[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Live2D|[include(틀:뉴럴 클라우드/Live2D)]]] || > "호랑이 기운" 시리즈. 사이버미디어의 자회사가 내놓은 호랑이 테마 코스튬입니다. 고전 요소와 결합하면서도 트렌드를 놓치지 않은 디자인이죠. > ---- > "별빛은 언제 어디서든 사그라지지 않아. 하늘에 별이 안 보인다면 시선을 눈앞에 두도록 해." [youtube(Ex5kiC6YgU0)] === [anchor(눈뜸)][[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눈뜸|눈뜸]] - 별의 장막을 들추고 (출고 스킨)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pic_hubble_open.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pORAfree || || 입수방법 || 제1기[* 글로벌 서버 기준, 중국 서버 기준으로는 6기이다. ] 마그라세아 패스 [멀티 채널 패스] 활성화 후 10레벨 도달 || || 적용범위 || [[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3D모델|[include(틀:뉴럴 클라우드/3D모델)]]] || >인형의 첫 가동은 인간의 탄생처럼 그들에게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 추억이 투영제의 형식으로 마그라세아에 재현됩니다. >---- >"노을이 별들을 깨우니, 해와 달이 지금 교차하네, 마치 나와 그대의 첫만남처럼. 업무라는 궤도를 공전하기 전에 자신의 운명을 담은 별하늘을 보여줄 수 있을까? === [anchor(바보의 이중성)][[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바보의 이중성|바보의 이중성]] - 이중성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pic_hubble_april.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아닌겨]] || || 입수방법 || [[바보의 이중성]] 이벤트 보상 || || 적용범위 || || > 인형들이 무심코 흘린 진심이 신비로운 힘을 통해 형상을 얻었습니다. 진짜인지 가짜인지 모를 바보들의 놀이에 빠지지 않게 조심하세요. >---- > "별은 너무 멀어. 생각의 속도라면 별을 따라잡을 수... 있을까... 쿠울..." [[만우절]] 기념 스킨. === [anchor(별님에게 소원을)][[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별님에게 소원을|별님에게 소원을]] - 별을 쫓는 마녀 (Live2D)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pic_hubble_christmas.png|width=100%]]}}} || || 일러스트레이터 || pORAfree || || 입수방법 || 상점 구매 || || 적용범위 || [[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3D모델|[include(틀:뉴럴 클라우드/3D모델)]]] [[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Live2D|[include(틀:뉴럴 클라우드/Live2D)]]] || > "별님에게 소원을" 시리즈.크리스마스 이브 날 인형들의 모습. 눈 내리는 밤하늘, 반짝이는 별의 바다. 빗자루를 타고 하늘 높이 날아올라 별들에게 선물을 주러 갑니다. >---- > "별들의 소원은 밤하늘에 아름다운 궤적을 그리지. 그리고 나의 사명은 그들에게 크리스마스 이브의 선물을 전달하는 것." [youtube(bIO9SNH39wA)] == 인형 관계 == * '''절친''' - [[프레넬]] * '''친구''' - [[야니(뉴럴 클라우드)|야니]], [[파나케이아]], [[장음(뉴럴 클라우드)|장음]], [[클로토(뉴럴 클라우드)|클로토]] == 대사 == ||<-2>
'''{{{#ffffff,#dddddd 기본 보이스}}}''' || || '''아침 인사'''[br]{{{-1 MORNING}}} ||黎明已经到来。[br]여명이 도래했구나. || || '''낮 인사'''[br]{{{-1 AFTERNOON}}} ||天空的样貌瞬息万变。[br]시시각각 변해 가는 하늘의 모습. || || '''저녁 인사'''[br]{{{-1 EVENING}}} ||天际的银色辉光,就像柳絮一样,飘落在广袤的大地上。[br]저 하늘 너머 반짝이는 은색 빛은, 버들개지 흩날리듯 드넓은 대지에 쏟아지네. || || '''밤 인사'''[br]{{{-1 MIDNIGHT}}} ||人们酣睡入梦之时,万千星辰正从地平线上悄然升起。[br]사람들이 꿈을 꿀 때, 수천의 별들이 지평선 위로 초연히 떠오르나니. || || '''메인화면 대사 1'''[br]{{{-1 DIALOGUE1}}} ||夜色降临,我站在台阶上倾听;星星蜂拥在花园里,而我站在黑暗中。[br]계단 위에서 찾아오는 밤에 귀를 기울이면, 별들은 꽃밭에 모여드는데, 나는 여기 어둠 속에. || || '''메인화면 대사 2'''[br]{{{-1 DIALOGUE2}}} ||仰望那遥远无际的天穹,今宵的群星将归于原位。[br]하늘을 보라. 멀리 저 멀리서, 오늘 밤도 별들은 제자리로 돌아간다. || || '''메인화면 대사 3'''[br]{{{-1 DIALOGUE3}}} ||教授梦到的梦境,一定很奇妙吧。[br]교수가 꾸는 꿈은, 분명 불가사의한 꿈이겠지. || || '''대화 1'''[br]{{{-1 INTERACT1}}} ||嗯?[br]왜? || || '''대화 2'''[br]{{{-1 INTERACT2}}} ||您有何贵干?[br]무슨 일이야? || || '''대화 3'''[br]{{{-1 INTERACT3}}} ||想让我陪您一起看星星吗?[br]같이 별을 보고 싶어? || || '''획득'''[br]{{{-1 GAIN}}} ||辉耀的星辰如心般炽热,跃动在浩瀚无垠的银河间。天文学研究员赫波在此报到。[br]뜨겁게 반짝이고, 용약하며, 그리고 전동하니. 천문학 연구원 허블이 지금 막 도착했어. || || '''재능 돌파'''[br]{{{-1 LEVELUP}}} ||感知到那星辰的脉动了。[br]별의 맥박이 느껴져. || || '''마인드 확장'''[br]{{{-1 RANKUP}}} ||每一颗恒星、每一颗行星都将回归其应有的位置之上。[br]온 우주의 항성과 행성들이여, 각자의 자리로 돌아가라. || || '''부대 편입'''[br]{{{-1 FORMATION}}} ||如您所见,我早已准备好了。[br]보다시피, 이미 준비됐어. || || '''전투 시작'''[br]{{{-1 BATTLE}}} ||隐约地感知到混沌的恶意。[br]혼돈스러운 악의가 느껴져... || || '''궁극기'''[br]{{{-1 SKILL}}} ||星脉颤动![br]은하여, 전동하라! || || '''MVP 1'''[br]{{{-1 MVP1}}} ||暗云永远无法遮蔽光芒。[br]빛은 결코 가려지지 않아. || || '''MVP 2'''[br]{{{-1 MVP2}}} ||作战结束。[br]작전 완료구나. || || '''쓰러짐'''[br]{{{-1 RETREAT}}} ||天空在下坠……[br]하늘이... 무너진다... || || '''서약'''[br]{{{-1 OATH}}} ||宇宙的运动自有其规律,行星围绕着恒星旋转,构成星系存在与运行的基础。如今,我与教授之间的关系,确实与其有着诸多相似之处呢。[br]우주의 움직임엔 독자적인 법칙이 있어. 행성은 항성의 주위를 맴돌면서 성계의 기초를 만들지. 나와 교수를 잇는 관계도, 그것과 많이 비슷한 느낌이 들어... || || '''타이틀 콜'''[br]{{{-1 TITLE}}} ||云图计划[br]뉴럴 클라우드 || == 기타 == * 모티프는 천문학자 [[에드윈 파월 허블]]과 그의 이름을 딴 망원경 [[허블 우주 망원경]]이다. 완벽 투영 일러스트에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그려져 있다. * 페르시카에 이어 두 번째로 이격 캐릭터가 출시된 캐릭터인데, 캐릭터만 분리되어 있을 뿐 인게임 스토리에서는 여전히 한 명 뿐인 페르시카와 달리 이쪽은 아예 인게임 스토리에서 별개의 존재로서 존재할 수 있다는 암시가 주어진 특이 케이스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