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 [목차] == 1자 한자어 == === 향([[香]]), 좋은 [[냄새]] === 향은 꽃, 향, 향수 따위에서 나는 좋은 냄새를 뜻한다([[표준국어대사전]]). '[[향기]]'(香氣)라고도 한다. '향기롭다'라는 형용사도 있다. === [[향]]([[香]]), 태워서 향을 내는 물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향)] 태워서 향이 나는 물건은 여럿 있지만 '향'이라고 하면 보통 [[제사]] 때 쓰는 길다란 것을 지칭한다. 근래에는 영어로 [[인센스]](incense)라고도 한다. === -향([[向]]), === 일본어 ~[ruby(向,ruby=む)]け에서 유래한 말로, 사전적 의미는 행선지나 보낼 곳 또는 대상이 되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다. [[남성향]], [[여성향]]과 같은 경우 어떤 계층을 지향하는 뜻으로, 쉽게 풀어 말하자면 특정 소비자를 대상으로 해서 만든 상품을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이외에도 '(국가/지역)향'은 해당 국가나 지역 사정에 맞게 커스텀하여 해당 국가에서 출시하거나 해당 국가로 수출하는 제품에 쓰이고 '(기업)향', '(제품명)향' 등으로 부품사에서 해당 기업이나 그 제품에 맞춘 부품에도 쓰인다. === 향([[鄕]]), [[행정구역]] === ==== 한국 ==== 오늘날 [[군(행정구역)|군]], [[현(행정구역)|현]]과 같이 지역을 나타내는 행정구역이었다. 고려시대에 행정구역으로 향, [[소]](所), [[부곡#s-2|부곡]](部曲)이 있었으며, 다른 지역의 양민들에 비해 차별받는 생활을 했다. ==== 중화권 ==== [[진나라|진]][[한나라|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온 행정구역 단위다. 현 산하에 설치해 왔다. [[중국/행정구역]], [[대만/행정구역]] 참고. ==== 일본 ==== 전근대 일본의 행정구역 단위다. 715년에 향리제(鄕里制)를 도입할 때에 종전 [[리(행정구역)|리]]를 개칭하여 설치하였다. 당시 향은 현재 정·촌(町·村)에 해당한다. 중세 이후부터 유명무실해졋고 촌 몇개를 관습적으로 통칭하는 명칭으로만 사용한다. == 한자 == [include(틀:주요 한국 한자음/107~308)] [[교육용 한자]]에서 '향'이라 읽는 글자는 아래 5자이다. * [[向]] (향할 향) * [[鄕]] (시골 향) * [[香]] (향기 향) * [[享]] (누릴 향) * [[響]] (울림 향) 그밖에 [[향연]](饗宴), [[향응]](饗應)의 [[饗]](잔치할 향)이 있다. [[珦]](옥이름 향)은 사람 이름으로 종종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