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Renaissance)] ||<-2> '''{{{+1 행복하길}}}[br]I Wish You Happiness ''' || ||<-2>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uUZETXa6nwk)]}}} || ||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2001년 12월 12일 || || '''아티스트''' || [[김종국]] || || '''수록 앨범''' || [[Renaissance]] || || '''장르''' || [[발라드]] || || '''재생시간''' || 4분 22초 || || '''작사''' ||<|3> [[양정승]] || || '''작곡''' || || '''편곡'''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1년 12월 12일에 발매한 [[김종국]]의 정규 1집 앨범 [[Renaissance]] 5번 트랙에 수록된 후속곡이다. [[권소영(가수)|권소영]]의 '지상에서 가장 슬픈 약속'을 리메이크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_GPI7E9eaaY|#]]) 김종국 솔로곡들 중에서도 최상위권의 난이도와 매우 높은 음역대를 자랑하며, 김종국 솔로곡들 뿐 아니라 발라드 통틀어서 '''난도가 제일 어렵다.'''[* 솔로곡들 중에선 행복하길이 제일 어렵지만, 터보 시절 노래까지 통틀어 고려하면 터보 4집 타이틀곡 '''[[애인이 생겼어요 (True Love)]]'''가 제일 어렵다.] 오죽하면 김종국 본인조차도 부르기 버거워할 정도면 말 다했다. 최고음: '''3옥타브 파(F5)''' == 가사 == || '''{{{+4 {{{#ffffff 행복하길}}}}}}''' || || 가지마 아직은 아니야 내가 없이도 괜찮겠니 니 앞에 내 눈을 바라봐 울고있니 너 역시도 가슴이 메어와 나를 버리려는 널 두고 아직도 난 사랑을 기대하나봐 알고있어 이젠 내가 할 수 '''{{{#skyblue 있}}}{{{#gold 는}}} {{{#skyblue 건}}}'''ㅡ 널 보내야 하는 네'''{{{#gold 게 줄}}} {{{#skyblue 수 있}}}'''는 마지막 선물'''{{{#skyblue 인}}}{{{#gold 걸}}}{{{#skyblue ㅡ}}}{{{#gold ㅡ}}}''' 그'''{{{#skyblue ㅡ래}}} {{{#gold 사}}}{{{#yellowgreen 랑}}}{{{#gold 했}}}{{{#yellowgreen 다}}}{{{#gold 는}}}''' 그 '''{{{#red 말 하}}}{{{#darkorange 지 않}}}{{{#gold 아}}}{{{#skyblue 도}}} {{{#gold 알}}}{{{#red 아}}}''' '''{{{#skyblue 나}}}{{{#blue,#dodgerblue 의}}} {{{#skyblue 모}}}{{{#blue,#dodgerblue 습이}}}{{{#skyblue ㅡ}}}''' 초라'''{{{#skyblue 해}}}{{{#darkorange 질}}}{{{#red 까}}}{{{#gold ㅡ}}}{{{#darkorange 봐}}}{{{#gold ㅡ}}}''' 부'''{{{#skyblue 디}}} {{{#gold 행}}}{{{#yellowgreen 복}}}{{{#gold 하}}}{{{#yellowgreen 라}}}{{{#gold 는}}}''' 이 '''{{{#red 말 기}}}{{{#darkviolet 억}}}{{{#darkorange ㅡ해}}}''' '''{{{#darkorange 힘}}}{{{#gold 들}}}{{{#skyblue 겠}}}{{{#gold 지 날}}} {{{#yellowgreen 떠}}}'''나 보내는 '''{{{#skyblue 너}}}'''도 나처럼 내가 사는 이유 오직 그건 바로 너였어 니가 없인 하루도 의미가 없어 듣고 있니 이젠 마지막 일'''{{{#skyblue 테}}}{{{#gold 지}}}{{{#skyblue 만}}}'''ㅡ 널 잊고 살기엔 너'''{{{#gold 무}}} {{{#skyblue 멀리}}}'''까지 온 거야 날 용'''{{{#skyblue 서}}}{{{#gold 해}}}{{{#skyblue ㅡ}}}{{{#gold ㅡ}}}''' 그'''{{{#skyblue ㅡ래}}} {{{#gold 사}}}{{{#yellowgreen 랑}}}{{{#gold 했}}}{{{#yellowgreen 다}}}{{{#gold 는}}}''' 그 '''{{{#red 말 하}}}{{{#darkorange 지 않}}}{{{#gold 아}}}{{{#skyblue 도}}} {{{#gold 알}}}{{{#red 아}}}''' '''{{{#skyblue 나}}}{{{#blue,#dodgerblue 의}}} {{{#skyblue 모}}}{{{#blue,#dodgerblue 습이}}}{{{#skyblue ㅡ}}}''' 초라'''{{{#skyblue 해}}}{{{#darkorange 질}}}{{{#red 까}}}{{{#gold ㅡ}}}{{{#red 봐}}}{{{#gold ㅡ}}}''' 너'''{{{#skyblue 를}}} {{{#gold 보}}}{{{#yellowgreen 낼}}} {{{#gold 수}}} {{{#yellowgreen 없}}}{{{#gold 어}}}''' 아'''{{{#red 직 널}}} {{{#darkviolet 원}}}{{{#darkorange ㅡ해}}}''' '''{{{#darkorange 돌}}}{{{#gold 아}}}{{{#yellowgreen 와}}}{{{#gold 줘 날}}} {{{#yellowgreen 떠}}}'''나려고 하'''{{{#skyblue 지}}}'''마 '''{{{#gold 제발ㅡ}}}''' 부'''{{{#skyblue 디}}} {{{#gold 영}}}{{{#yellowgreen 원}}} {{{#gold 하}}}{{{#yellowgreen 자}}}{{{#gold 던}}}''' 그 '''{{{#red 말 잊}}}{{{#darkviolet 지}}} {{{#red 않}}}{{{#gold 을}}}{{{#red 게}}}{{{#red ㅡ}}}''' '''{{{#red 이}}}{{{#gold 별}}}{{{#skyblue 하}}}{{{#gold 는 다}}}{{{#yellowgreen 른}}}''' 이유가 없'''{{{#skyblue 으}}}'''니 '''{{{#gold 행}}}{{{#skyblue 복}}}'''하길 나보다 더 || || '''{{{#blue,#dodgerblue 2옥타브 라(A4)}}}''' '''{{{#skyblue 2옥타브 라♯(A♯4)}}}''' '''{{{#yellowgreen 2옥타브 시(B4)}}}''' '''{{{#gold 3옥타브 도(C5)}}}''' '''{{{#darkorange 3옥타브 도♯(C♯5)}}}''' '''{{{#red 3옥타브 레♯(D♯5)}}}''' '''{{{#darkviolet 3옥타브 파(F5)}}}''' || == 곡 분석 == * 조성: Fm (바 단조) * '''최고음: 3옥타브 파(F5)''' * '''최저음: 1옥타브 레#(D#3)''' *''' 3옥타브 개수: 총 79개''' '''헬곡들만 있다는 김종국 노래들 중에서도 [[애인이 생겼어요 (True Love)]][* 심지어 댄스곡이라 막 질러도 되고 일부 파트가 랩인 애생보다 전 구간에 중고음~초고음으로 점철되고 지를 수 없는 발라드인 행복하길이 근소하게 더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및 [[Disco(김종국)|Disco]][* '''3옥타브 솔(G5)'''로 '''후렴구에서 나오는 음이 하나도 빠짐없이 3옥타브 대의 고음만 나온다.''' 김종국 솔로곡들 중 [[바다 보러 갈래?]]와 함께 최고의 높은 음역대를 자랑한다. 다만 난이도를 측정하기엔 악보가 없고 인지도가 없는 곡이라 그런지 알려진 옥타브 영상조차 없다. 즉 직접 불러야만 측정이 가능하다.--근데 어떻게 불러 사람 죽이려고--]와 함께 정신 나간 난도를 자랑하며, 록발라드에서도 최악의 헬곡으로 손꼽히는 김태환의 [[백합은 순수를 잃었다]], [[김상민]]의 [[You(김상민)|You]]와 더불어 최고의 난도를 자랑한다. 난도로는 역대 모든 발라드 곡에서 한 손 안에 드는 헬곡.''' 원곡 자체가 여성 곡인데 그걸 '''그대로 가사를 바꿔서 리메이크'''를 한 것이라 음역대가 여성 음역대다. 참고로 일반인 여성이라도 진성 최고음은 '''3옥타브 도~레(C5~D5)''' 정도이기 때문에 '''3옥타브 파(F5)'''는 대개 내기조차 힘든 것을 감안하면, 이 곡이 대한민국 모든 발라드 곡 중 최악의 난도라는 이유를 알 수 있다. 후렴구도 안 들어갔는데 '''2옥타브 라(A4)~3옥타브 도(C5)'''가 여러 번 나온다. 남자들한텐 벌스에서 사실상 입구컷. 후렴구에서는 '''3옥타브 도(C5)~3옥타브 레#(D#5)'''의 3옥타브 초반대가 밥 먹듯이 나오며, 여자 고음곡 혹은 락 샤우팅에서나 볼 수 있는 3옥타브 중반에 해당하는 '''3옥타브 파(F5)'''의 초고음까지 나온다. 게다가 그 초고음 부분 발음이 '''억, 지'''같은 좁은 발음으로 되어 있고 바로 전에 '''3옥타브 레#(D#5)'''로 길게 잇다가 내는 것이라서 지쳐서 삑사리가 날 위험이 크다. 거기다 발라드인지라 '''이 잔인한 고음을 막 질러서 내지도 못한다.''' 역대 최악의 난도를 가진 '''[[비와 외로움]], [[Tonight(이혁)|Tonight]]'''을 제외하고는 그 어떤 발라드 곡도 이 곡을 넘는 난도가 없으며, '''[[Tears(소찬휘)|Tears]], [[She's Gone(스틸하트)|She's Gone]], [[Shout(김경호)|Shout]]보다도 어려운 미친 헬곡이다.''' == 영상 == === 뮤직비디오 === || '''{{{#DE2721 행복하길}}}'''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30hgh00T7Ag)]}}} || === 음악 방송 === || '''{{{#DE2721 행복하길}}}'''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CIhtAE1KU7s)]}}} || == 관련 문서 == * [[김종국]] * [[김종국/음반 목록]] * [[고음/노래 목록]] * [[Renaissance]] * [[남자니까]] [[분류:김종국/노래]][[분류:2001년 노래]][[분류: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