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팔달구의 법정동)]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행궁동}}}'''[br]行宮洞 | Haenggu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행궁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3770040 || || '''관할 법정동'''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팔달로1~3가, 남창동, 영동,[br] 중동, 구천동, 남수동, 매향동,[br] 북수동, 신풍동, 장안동}}} || || '''하위 행정구역''' || 35통 164반 || || '''면적''' || 1.57㎢ || || '''인구''' || 9,866명[*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6,284.0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수원시 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영진(1967)|김영진]] ,,(재선),, || ||<-2> '''경기도의원 | 제6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한원찬]] ,,(초선),, || ||<-2> '''수원시의원 | 사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영태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유준숙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종윤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신풍로23번길 40 (신풍동 100) || || [[https://paldal.suwon.go.kr/submain_view.asp?TopID=sub20&menuid=sub200201|행궁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 ||<:>[[파일:행궁동주민센터.jpg|width=100%]][br]행궁동 행정복지센터. 본래 신안동 주민센터였다.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96348|기사]] || [clearfix] == 개요 == [[수원시]] [[팔달구]]의 행정동. 동명은 [[화성행궁]]에서 따왔다. 2007년까지는 팔달동(팔달로에서 따옴), 신안동('''신'''풍동+장'''안'''동), 남향동('''남'''수동+매'''향'''동)[* 팔달동과 남향동은 수원에 구가 생긴 이후 계속 같은 구에 속했었으나 신안동은 혼자 장안구에 속해있었다(영통구가 생길 때 팔달구로 이관). 팔달동 주민센터는 현재 수원시에서 '청개구리연못'이라는 청소년 시설로 사용하고 있으며, 남향동 주민센터는 화성박물관 건설로 철거되었다.]이라는 세 개의 행정동으로 나뉘었으나, 인구가 적은 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세 동을 하나로 합쳐 행궁동이 출범하게 되었다. [[http://www.suwon.com/news/articleView.html?idxno=26535|역사 속으로…행궁동으로 새출발]] [[수원화성]] 성곽의 상당 부분이 행궁동의 영역에 들어 있으며, 팔달문·화서문·창룡문 등이 위치해 있다. 또한 팔달문을 중심으로 한 남문상권의 상당 부분이 행궁동에 위치해 있다. [[경기도청]]과 [[수원역]]이 소재한 [[매산동(수원)|매산동]]과 가까우며 [[교동(수원)|교동]][* 여담으로 시청은 행궁동이 아니라 교동에 있었다. 그 건물은 권선구청으로 사용하다가 현재는 수원시가족여성회관 건물로 사용 중.]과 더불어 수원의 도심 노릇을 톡톡히 해 왔다. 그러나 수원천 복개도로가 철거되며 주차공간이 줄어들자 [[남문시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줄어들었고, 교동에 있는 수원시청이 인계동으로 이전하며 도심은 인계동 박스로 이전하게 되었다. 현재는 행리단길 개발 사업으로 [[팔달문]] 일대가 교통이 편리하여 부도심 노릇을 하는 중이다. 여담으로 행궁동대 [[상근예비역]]의 경우 12개 법정동 전체(!)를 전부 돌며 예비군 통지서를 전달해야 한다. 실제 면적이야 그리 넓지 않은데 평지가 별로 없다는 점이 문제. [[전인화]] 소유의 빌딩이 팔달문 근처에 있다. 행궁동도 팔달구 [[뉴타운]] [[재개발]] 계획에 당당히 포함되어 있으나(6-8구역), [[수원화성]] 성역화 사업으로 언제 실행될지는 미지수이다. == 관할 법정동 == === 팔달로1가, 팔달로2가, 팔달로3가(八達路1·2·3街)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팔달로1가}}}'''[br]八達路一街 | Paldallo 1(il)-g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팔달로1가,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20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05㎢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팔달로2가}}}'''[br]八達路二街 | Paldallo 2(i)-g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팔달로2가,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21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05㎢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팔달로3가}}}'''[br]八達路三街 | Paldallo 3(sam)-g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팔달로3가,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22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10㎢ || [[팔달문]]과 [[남문시장]]이 있다. [clearfix] === 남창동(南昌洞)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남창동}}}'''[br]南昌洞 | Namch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23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27㎢ || [[화성행궁]]이 있으며, 대부분이 이곳에 위치해있다. 현재 별주 터를 발굴하고 복원 중에 있다. [clearfix] === 영동(榮洞)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영동}}}'''[br]榮洞 | Yeo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영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24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04㎢ || 영동시장과 문화유적으로 지정된 거북산당이 있다. [clearfix] === 중동(中洞)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중동}}}'''[br]中洞 | Ju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중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25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04㎢ || 애완동물 가게가 많다. 그러나 동네의 반이 도로이다. [clearfix] === 구천동(龜川洞)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구천동}}}'''[br]龜川洞 | Gucheo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구천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26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06㎢ || 공구상가가 있다.[* 보통 철물이나 공구 구하러 '시내' 나간다는 말을 들을 때 시내는 대개 여기를 의미한다.] [clearfix] === 남수동(南水洞)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남수동}}}'''[br]南水洞 | Namsu-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남수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27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19㎢ || 얼마전에 복원된 [[남수문]]이 있다. [clearfix] === 매향동(梅香洞)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매향동}}}'''[br]梅香洞 | Maehy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28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28㎢ || 6개의 학교들과[* 연무초, [[삼일중]], [[매향중]], [[삼일상고]], [[삼일공고]], [[매향여상]] ] 팔달구청, 수원역사박물관이 있다. [clearfix] === 북수동(北水洞)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북수동}}}'''[br]北水洞 | Buksu-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북수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29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16㎢ || [[화홍문]]과 [[천주교 수원교구]] 수원성지와 북수동성당이 있다. [clearfix] === 신풍동(新豊洞)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신풍동}}}'''[br]新豊洞 | Sinpu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신풍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30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23㎢ || [[화성행궁]] 소재지로, 화성행궁의 정문 신풍루에서 딴 것이다.[* 신풍은 [[한고제]]의 고향 패현 풍읍에서 유래한 것으로, 정조가 수원을 새로운 풍으로 삼겠다는 뜻에서 지은 이름이다.] [[선경도서관]]과 그 아래는 행궁동 행정복지센터가 있으며, 바로 옆에는 화령전과 행궁광장이 있다. 과거 역사 깊은 [[신풍초등학교(경기)|신풍초등학교]]가 이곳에 위치해 있었으나 화성행궁 복원 사업으로 부득이하게 광교신도시 쪽으로 이전하게 되어 폐교 및 철거되었다. 현재는 해당 교지에 있는 우화관 터를 발굴하고 복원중에 있다. [clearfix] === 장안동(長安洞) === ||<-2> '''[[수원시|{{{#000000,#dddddd 수원시}}}]] [[팔달구|{{{#000000,#dddddd 팔달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장안동}}}'''[br]長安洞 | Janga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원시 팔달구 장안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수원시 || || '''일반구''' || 팔달구 || || '''행정표준코드''' || 4111513100 || || '''관할 행정동''' || 행궁동 || || '''면적''' || 0.11㎢ || [[장안문]]이 있다. 명칭이 '''장안'''동이기는 하나, [[장안구]]가 아니라 [[팔달구]]에 속해있다는 것이 특징. 사실 2003년 이전까지는 장안구 장안동(행정동은 신풍동과 함께 신안동)이었으나 [[영통구]]가 신설되면서 행정구역이 재조정되어 장안동이 팔달구 소속이 되었다. [clearfix] == 상권 == 한 마디로 표현 하자면 죽은 상권 그 자체였다. 수원 토박이들의 말을 빌리자면, 학생 때 빼고는 갈 일 자체가 거의 없는 곳이라는 말이 있다. 나이가 지긋하신 분들이나 오는 곳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하지만 나름대로의 특색이 있는 곳이다. [[수원역]]-[[팔달문]]-[[장안문]]-[[영화동(수원)|영화동]]-[[파장동]] 상권이 하나로 쭉 이어져 있는 느낌. 과거에는 인근 주민에게 있어 구도심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였으며, 현재는 젊은이들을 위한 행리단길 상권과 [[남문시장]]의 아케이드화로 새로운 특색을 만들어내고 있다.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1811217972e|수원 명소로 떠오른 '행리단길'을 아시나요?]] 또한 최근엔 화성행궁 근처에 행궁동 카페거리(일명 행리단길) 등이 조성되어 데이트 코스로 각광받고 있다. 초반에는 카페 위주였으나 요즘은 카페 뿐만 아니라 식당이나 소품가게도 많이 생기고 있다. 그래서 이 일대에는 남녀 커플들끼리 짝을 지어 화성행궁 일대를 걸으며 데이트를 하는 경우도 많아서 하루종일 붐빈다. 다만 단점이라면 행궁동 내에는 대형마트가 없기 때문에 조원동에 있는 [[홈플러스 북수원점]]이나 수원역에 있는 [[롯데마트]]로 가야 한다. == 교통 == [[수원화성]]의 [[팔달문]]-[[장안문]] 사이를 잇는 [[종로(수원)|종로]]가 지나간다. 현재는 [[정조로]]의 일부 구간으로 포함돼 있으나, 수원과 그 주변에 오래 산 주민들은 여전히 이 일대를 종로라 부른다. 종로 일대가 왕복 4~6차선으로 되어 있는지라 길폭이 상당히 좁다. 그래서 [[버스철]]을 쉽게 관찰할 수 있을 정도다. 거기에 수원화성과 관련된 행사가 열리기라도 하면 쉽게 [[헬게이트]]가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 장기적으로 [[수원 도시철도 1호선]]이 종로를 따라 지나갈 예정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팔달구, version=200)] [[분류:팔달구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