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마구치 류스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000000 '''{{{+2 해피 아워}}}''' (2015) [br] ''Happy Hour''[br]''ハッピーアワー''}}}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해피아워(2015).jpg|width=100%]]}}} || ||<-2> {{{#!folding [일본 포스터] [[파일:ハッピーアワー(2015).jpg|width=100%]][br][[일본]]판 포스터}}} || || '''{{{#000000 장르}}}''' ||[[드라마]] || || '''{{{#000000 연출}}}''' ||[[하마구치 류스케]] || || '''{{{#000000 각본}}}''' ||하마구치 류스케, 노하라 다다시, 다카하시 도모유키 || || '''{{{#000000 촬영}}}''' ||기타가와 요시오 || || '''{{{#000000 제작}}}''' ||오가모토 히데유키, 노하라 다다시, 다나카 사토시 || || '''{{{#000000 주연}}}''' ||다나카 사치에, 기쿠치 하즈키, 미하라 마이코, 가와무라 리라|| || '''{{{#000000 음악}}}''' ||아베 우미타 || || '''{{{#000000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3]] Fictive LLC, Neopa INC, 고베 워크숍 시네마 프로젝트|| || '''{{{#000000 수입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KimStim[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3]] ART HOUSE FILMS[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영화사조아, (주)[[트리플픽쳐스]][*공동수입] || || '''{{{#000000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3]] Fictive LLC, Neopa INC, 고베 워크숍 시네마 프로젝트[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KimStim[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3]] ART HOUSE FILMS[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트리플픽쳐스]] || || '''{{{#000000 개봉일}}}''' ||[[로카르노 영화제|[[파일:The.Festival.del.film.Locarno_logo.png|width=23]]]] [[2015년]] [[8월 14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2015년]] [[11월 10일]][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3]] [[2015년]] [[11월 26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3]] [[2015년]] [[12월 5일]][br] [[전주국제영화제|[[파일:JeonjuFilmFestival_logo.png|width=23]]]] [[2016년]] [[4월 2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3]] [[2021년]] [[12월 9일]] || || '''{{{#000000 화면비}}}''' ||1.78:1 || || '''{{{#000000 상영시간}}}''' ||317분 / 328분[*국내 [[https://www.kmrb.or.kr/kor/CMS/GradeSearch/movie/ResultView.do?mCode=MN143&rcv_no=2285187&gubun=OMV&destinationGubun=M&use_title=%ED%95%B4%ED%94%BC+%EC%95%84%EC%9B%8C|한국 등급분류 정보]] 인터미션 11분 포함] || || '''{{{#000000 제작비}}}''' ||-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 ||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수}}}''' ||3,818명 || || '''{{{#000000 공식홈페이지}}}''' ||[[http://hh.fictive.jp/| 홈페이지]] || || '''{{{#000000 상영등급}}}'''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하마구치 류스케]] 연출 및 공동각본의 [[2015년]] 일본 영화. 이 영화는 [[2013년]] 9월부터 진행된 [[고베시]]의 KIITO(Design and Creative Center Kobe)라는 곳에서 [[http://kiito.jp/schedule/workshop/articles/23111/|하마구치 류스케 즉흥연기 워크숍 in Kobe]]가 시초였고, 그 이듬해에 각본 작업을 거쳐 촬영이 진행되었다. [[로카르노 영화제|제68회 로카르노 영화제]][* [[홍상수]]가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로 황금표범상을, [[정재영]]이 남자배우상을 받게된 해이기도 하다.]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네 명의 주연인 다나카 사치에, 기쿠치 하즈키, 미하라 마이코, 가와무라 리라가 공동으로 여자배우상을 수상하게되었다. 한국에서는 [[전주국제영화제|2016년 제17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고, 이후 [[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대전아트시네마, [[한국영상자료원]], [[영화의전당]], [[서울아트시네마]], [[광주극장]]에서 상영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2021년]] 하반기에 국내 수입 및 [[12월 9일]] 개봉 소식이 알려졌으며 수입 후 첫 상영은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boTas5Yd2k)]}}}|| || {{{#ffffff '''▲ 메인 예고편'''}}} || == 등장인물 == * 아카리 - 타나카 사치에 분 * 이바 사쿠라코 - 기쿠치 하즈키 분 * 츠카모토 후미 - 미하라 마이코 분 * 준 - 카와무라 리라 분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happy-hour-2016, critic=87, user=없음)]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happy_hour_2016, tomato=100, popcorn=86)] [include(틀:평가/IMDb, code=tt4780662, user=7.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happy-hour-2015-1, user=4.2, rank=215)] |||| [[알로시네|[[파일:Allociné_Logo.png|width=100]]]][* 1&2, 3&4, 5로 나뉘어 있다. 다만 언론점수는 전부 4.0라 그냥 적었고 관객점수는 3.7, 3.8, 3.9라서 평균값인 3.8을 적었다.] || || '''[[https://allocine.fr/film/fichefilm-@code@/critiques/presse/|전문가 평점 4.0 / 5.0]]''' ||<:> '''[[https://allocine.fr/film/fichefilm-@code@/critiques/spectateurs/|관람객 평점 3.8 / 5.0]]''' ||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921485,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53562, user=3.29)]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62888, user=4.3)]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26500,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550176, user=8.6)]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RL9yy, user=)]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410, light=)]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42855,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95676, expert=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CGV, code=85442, egg=<지수>)]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 코드>, critic=<크리틱 평점>,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 기타 == * [[하마구치 류스케]]의 [[드라이브 마이 카(영화)|드라이브 마이 카]]에서와 마찬가지로 '''극중 인물의 심리, 욕망 등을 투영하고, 감독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극중 창작물'''은 이 작품에서도 드러난다.[* 하마구치 류스케가 각본을 쓴 [[스파이의 아내]]에서도 이러한 요소는 있다. 바로 고바야시 치요코의 노래 '덧없는 사랑'.] 이 작품에서는 우카이의 워크숍 그리고 극중 소설가 노세 코즈에의 소설 '수증기'라는 가제의 원고 낭독에서 그러한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 봉준호감독이 2021년 즐겁게 본영화중 한편이다. [[https://www.worldofreel.com/blog/2022/2/fiyboqfj28pk2jg0iks1iid6tepggh|#]] [[분류:하마구치 류스케]][[분류:2015년 영화]][[분류:일본의 드라마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