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절대간지 대총통무쌍_HD_1.gif|width=100%]]}}} || || 《[[강철의 연금술사]]》 중[* 해당 움짤에 나오는 인물들은 브릭스군 엑스트라와 [[킹 브래드레이]].] || >해치웠나!?(やったか!?) >: '''해치우지 못한 것을 말한다.''' >---- >― [[https://dic.pixiv.net/a/%E3%82%84%E3%81%A3%E3%81%9F%E3%81%8B%21%3F|픽시브 백과사전]] [목차] [clearfix] == 개요 == 주로 일본의 창작물에서 자주 쓰이는 [[클리셰]] 중 하나. 등장인물이 혼자서, 또는 동료와 함께 적을 향해 모든 힘을 동원한 공격을 가하고 그걸로 적이 끝장났나 싶었을 때 외치는 대사다. == 특징 == 보통 공격의 여파로 주변 건물이 완전히 무너졌다든지, 먼지가 자욱하게 일어난다든지 하는 식으로 공격당한 적이 어떻게 됐는지 당장 보여주지 않다가, 누군가가 "해치웠나?"라는 대사를 치면 즉시 잔해가 치워지거나 먼지가 걷히면서 공격을 당했던 적이 여전히 살아있는 채로 모습을 드러낸다. 당연히 공격을 가했던 주인공 측은 경악하거나 절망에 빠지는데, 혼신을 다한 공격을 가했는데도 적이 죽지 않고 건재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적의 강력함, 그리고 주인공 일행이 겪는 절망감을 독자들에게 체감시켜줄 수 있기에 꽤 자주 쓰이는 클리셰다. 적이 상처 하나 없이 "고작 이 정도냐?" 식으로 여유롭게 응수하는 패턴이 많지만, 살아있긴 해도 주인공 측의 공격이 꽤 위협이 됐던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적은 부상을 입은 채 모습을 드러내거나, 숨겨둔 힘을 꺼내는 등 좀 더 적극적으로 전투에 임한다.[* 후자는 이미 한 번 "해치웠나?"란 대사가 나왔던 경우나 [[파워레인저]]처럼 언제나 비슷한 필살기로 최후를 장식할 때 나오는 편.] 적이 부상을 입은 경우라면 도망치거나 얼마 버티지 못하고 쓰러지는 등[* 심각한 부상을 입었더라도 "아직 끝나지 않았다!"라고 외치며 반격하는 경우도 있다.] 주인공 측이 거의 승리한 상황이 되지만, 후자의 경우는 얄짤없이 2페이즈 전투 시작이라 주인공 측에게 매우 암울한 상황이 된다.[* 이때 상대는 주인공을 상대로 감탄을 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여기서 가까스로 전투를 끝내면 "해치웠나?"라는 말이 안 나올 정도로 적의 몸이 완전히 산산조각 나거나, 다른 시공간으로 빨려들어가는 등 부활의 여지를 남기지 않거나 적이 스스로 패배를 인정하고 유언을 남기며 최후를 맞는 경우가 많다.] 혹은 정말 죽이는 것까지도 성공했지만 다시 되살아나는 경우도 있다. [[다중 목숨|여러 개의 목숨]]을 가지고 있거나, 물리적인 수단 외에 다른 수단을 동원해야 죽는 인물이 이에 해당한다. 대사를 다르게 해서 "이런 걸 당하고도 살아있진 못하겠지…", "이걸 맞고 살아남은 놈은 [[한 번도 없었다]]!", "뭐야, 별것도 아니잖아."[* 이 대사에선 맞은 적이 살아나기보단 새로운 적이 출현한다. 방금 해치운 건 적의 수많은 졸개 중 하나였다는 식으로.], "정통으로 맞았군." 식으로 바리에이션을 주기도 하지만 결과는 대개 비슷하다. 당사자들이 "해치웠나"를 쓰기도 하지만, 구경하고 있던 해설역들이 "이 공격이 먹힌다면 XXX가 패배야!" 하는 식으로 플래그를 세워주기도 한다. 다른 패턴으로는 잔해나 먼지가 사라지고 거기에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은 걸 확인한 주인공 측이 끝났다고 여기고 긴장을 풀었을 때, 갑자기 뒤에서 적이 나타나 기습을 가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간혹 가다가 적 측에서 주인공 측을 상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효과는 동일하다. 주인공 측이 강해지는 후반으로 갈수록 적이 사용하는 빈도가 더 많아진다. 이 말을 한 자는 대개 [[사망 플래그]]가 꽂혀서 죽지 않은 적에게 가장 먼저 당한다. == 변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kaoTalk_20210208_092347625.jpg|width=100%]]}}} || || 네이버 웹툰 [[일렉시드]] 111화 中 || 워낙 자주 쓰인 클리셰이다 보니 이런 계열에 빠삭한 사람들은 창작물에서 "해치웠나?"라는 말이 나오면 '''"아 저 놈 안 죽었구나"'''라고 생각하게 된다. 때문에 독자들 사이에선 "저런 피래미는 저에게 맡겨 주십시오", "왜 그러나, 네 실력은 이게 아닐 텐데?" 등과 함께 전투 중에 절대 입에 담아선 안 되는 금기어로 여겨진다. 오죽하면 이 대사가 최고의 [[생존 플래그]] 내지는 부활 주문이라는 농담이 나올 정도이니⋯. 그래서 2010년대 들어서는 작중에서 누군가 이 말을 하면 주위 사람에게 한소리 듣거나 아예 말을 끊고 못하게 막는[* 주로 "그만!", "왜 그런 말을 하는 건데?!"라며 [[제4의 벽]]을 건드리는 대사를 친다.] [[메타발언]]적인 패턴도 많아졌다. 또한 그런 패턴없이 정석대로 적이 다시 되살아나는 전개로 진행되면 웹툰 같이 댓글로 의견을 바로 표출하는 공간에서 그런 발언을 한 사람은 반드시 독자들에게 지적받고 무더기로 욕을 먹는다. 그래서 이 클리셰를 뒤집어 적이 진짜로 쓰러지는 식으로 독자를 통수치는 패턴도 간혹 나오고 있다. 심한 경우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해치웠나?'라고 해야'''지만''' 죽는 케이스]]도 있는데[* 사실 해치웠나라는 말을 하는 건 아니고 가까이서 처치 확인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정황상 해치웠나와 비슷할…지도?] 물론 이런 패턴 역시 자주 쓰일수록 [[클리셰 파괴를 위한 클리셰|"해치웠나?"라는 말]]이 나오자마자 "아, 저놈은 분명 죽었구나…"라고 반응하게 될 것이다. 애초에 사람이 패턴을 못 익히는 것도 아닌데 역으로만 계속 한다고 계속 신선할 리가 없다. 혹은 연막이 자욱할 때 주인공 동료가 성급하게 해치웠나를 외쳐도 주인공은 연막 속을 노려보며 긴장을 풀지 않고 싸울 준비를 하고,[* 여기서 주인공이나 혹은 일행 중 촉이 좋은 동료(주로 히로인이나 주인공의 연인)가 '''"아니! 아직 안 끝났어!"'''라고 외치는 패턴도 나온다.] 예상대로 적이 등장해 계속 싸우는 식의 연출도 있다. 이런 경우도 있다. 확실히 치명상을 주고 적이 쓰러지자, '해치웠다'고 여기고 몸을 돌린 순간, '''갑자기 쓰러진 적이 일어나서''' 주인공한테 역습 먹이는 패턴도 존재한다. 여기서 주인공의 동료들이 "위험해!", "뒤를 조심해!"라고 경고를 날려도 뒤를 돌아본 순간, 이미 때는 늦은 상황이라 주인공은 치명상을 입고 리타이어하고 만다. 주로 스토리 초입이나 중반부에 중간 보스와 만나고 대결했을 때 보이는 패턴이다. 주인공이 무력or지력적으로 매우 뛰어나거나 많은 경험을 쌓았을 경우 적의 반격을 그대로 카운터쳐서 완전히 끝장내버리기도 한다. == 유사 클리셰 == * 일본어로는 「やったか(얏타카)」로 굳어져 자주 쓰인다. 'やる(야루)'는 기본적으로는 'する(스루; 하다)'와 같은 말로서 직역하면 "해냈나?" 정도이나, 조금 더 파고들면 일본어에서 'やる'로 읽는 한자 중 '(무언가를 어딘가로) 보내다'라는 의미의 '遣る'가 있으며, 이 말이 속어로 쓰일 때는 '(사람을) 죽이다'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https://www.fleapedia.com/%E4%BA%94%E5%8D%81%E9%9F%B3%E3%82%A4%E3%83%B3%E3%83%87%E3%83%83%E3%82%AF%E3%82%B9/%E3%82%84/%E3%82%84%E3%82%8B-%E6%AE%BA%E3%82%8B%E3%81%A8%E3%81%AF-%E6%84%8F%E5%91%B3/|(fleapedia 「やる、殺る」참조)]]. 따라서 'やったか?'라는 말을 상황에 따라서 '해치웠나?'라고 의역하는 것은 적절하다.[* 사실 한국어로도 '작업을 해치우다' 같은 식의 용법이 있어서 '해치웠나'가 잘 어울리는 번역인 경우가 많다.] * 자매품으로 "끝났군(おわったな)"이 있다. 효과는 동일하나 말의 분위기상 악당들이 더 자주 쓰는 편. 다른 자매품으로 "하핫, 꼴좋다!"도 있다. 또 다른 자매품으론 "물리쳤나?, 해낸건가?, 됐다!, 죽였나?, 없앤건가?, 제거했나?, 이겼다!, 우리의(혹은 나의) 승리다!, 우리가(혹은 내가) 해치운 거야!!"도 있다. * 일본 창작물이 아니더라도 비슷한 연출은 많이 볼 수 있다. 다만 해치웠나! 대사를 하지 않고 그냥 적이 죽은 듯한 분위기만 연출하는 경우가 많다. * [[TV Tropes]]에 이 대사에 해당하는 항목은 없는 듯하나, 아예 [[말이 씨가 된다|말이 씨가 되는]] 사례를 전부 [[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Main/TemptingFate|정리]]해 놨다. * 다만 비슷한 말로 [[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Main/NoOneCouldSurviveThat|No One Could Survive That]]은 있다. 이 쪽은 [[오버킬]]이나 [[추락사]] 등 도저히 살아남을 수 없을 것 같은 상황에 기어코 살아나오는 것을 뜻하는 더 좁은 의미. * 영미권 작품에서는 '군대라도 데리고 왔나? [[토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겨우 이거냐?]] 뭘 믿고 까부는 거냐?' 정도의 함의를 품고 있는 "[[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Main/YouAndWhatArmy|You And What Army?]]"가 이 대사급의 효과를 발휘한다. 이 대사를 입에 올린 캐릭터는 [[울트론(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어디선가 나타난 군대]]에게 역관광을 당하는 것이 관례다. [[https://youtu.be/S_Yf7L6miLc|대사씬 모음]] 반대로 먼저 [[로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자신의 군세를 자랑하는 캐릭터]]는 더 큰 군대나 [[헐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군대에 맞먹는 강자]]와 맞붙는 것이 정해진 운명이다. * 현실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목표를 거의 달성한 듯 할 때 '성공했나?'와 같은 반응을 보이면 이를 못하게 하는 모습이 있다. 물론 이는 '완전히 끝날 때까지 방심하지 말자'라는 오래된 격언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 사례 == [include(틀:스포일러)] === 클리셰를 일반적으로 사용한 경우 === *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드라이브&가이무 MOVIE 대전 풀 스로틀]] 가이무 파트 초반부에 [[카즈라바 코우타]]가 지구를 침략한 [[메가 헥스]]와 한 차례 싸우다 라이더 킥으로 폭사시키고 이 말을 했더니, [[쿠우라|동형의 다른 개체]]에게 뒤치기를 당했다. 결국 코우타는 패배해서 사망했지만 사전에 키와미 록 시드에 백업을 해둔 덕분에 [[쿠레시마 타카토라]], [[쿠레시마 미츠자네]] 형제의 분투로 되살아났다.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영화)|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에서 [[로난(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로난]]의 함선 중심부로 침입한 [[스타로드(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스타로드]] 일행이 '하드론 인포서'라는 강한 화기로 로난을 근거리에서 쏴버리고 자욱한 연기가 일자 [[드랙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드랙스]]가 스타로드에게 "네가 해냈어!"라고 외치는데, [[오브(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오브]] 안에 들어 있던 파워 스톤을 접수한 로난은 끄떡없었다. * [[검풍전기 베르세르크]] 5화에서 [[가츠]]를 구하기 위해 달려와 [[불사신 조드]]를 만난 [[매의 단]] 단원들이 조드에게 석궁으로 화살을 쏴서 맞히고 난 후, "해치웠나?"라고 하자 싸움을 더럽혔다며 분노한 조드에게 단체로 끔살당한다. * [[게게게의 키타로]]의 [[게게게의 키타로(애니메이션 6기)|6기 애니판]] 80화에서 [[키타로]]가 [[온모라키]]에 손가락 포를 명중 시킨 후 "해치웠나?"를 말했다가 바로 회복한 온모라키에 그대로 역습을 당했다. * [[기동전사 Z 건담]] 19화에서 [[포우 무라사메]]를 구하기 위해 [[아무로 레이|아무로]]가 [[사이코 건담]]을 쐈는데 "해낸건가?"를 말했다가 [[하이잭]]의 공격에 [[릭 디아스]]의 오른팔이 부서졌다. 그리고 그 하이잭은 분노한 [[카미유 비단|카미유]]에게 끔살 * [[고스트 게임: 디지몬]] 7화에서 [[야타가라몬]]이 [[카우스감마몬]]에 의해 땅에 쳐박혔을때 "해치웠나?" 한마디를 듣고 바로 날아오른다. 역시 [[완전체]]는 완전체다. * [[귀멸의 칼날]] 123화에서 상현 4 [[한텐구]]의 분신 조하쿠텐이 [[칸로지 미츠리]]와 [[카마도 탄지로|카마도]] [[카마도 네즈코|남매]], [[시나즈가와 겐야]]에게 광범위한 번개 공격을 가하며 해치웠나 생각하는데, 미츠리가 공격을 전부 베어낸 뒤 살아났으며, 이후 미츠리는 조하쿠텐을 막고, 3인방은 본체를 추격한다. * [[기동전사 건담 00]] 1기 2화에서 티에렌 장거리 포격형에 탑승한 포수가 [[건담 엑시아]]한테 포격을 날리고 적중하자 "해치운 건가?"라고 말하자, 먼지가 걷히고 되려 멀쩡한 엑시아의 모습에 당황하다 듀나메스의 저격에 당한다. 1기 8화 [[라 이덴라]]의 테러리스트가 모빌아머인 [[슈웨자이]]를 끌고 나타나 엑시아를 붙잡은 뒤 미사일을 퍼붓고[* 엑시아는 집게를 자르고 빠져나오지만 미사일은 맞았다.] 실드가 가라앉는 장면과 "해치운 건가?"라고 말하자마자 돌진하는 엑시아에 썰려 사망. 이 외에도 가끔 "해치웠나?" 와 "이걸로 끝이다"하는 표현이 가끔 보인다. * [[더 투모로우 워]] 극후반부 최종보스(외계인 암컷)전에서 그 최종보스가 댄 일행의 공격을 받고 눈보라속으로 사라지자 댄이 "우리가 해치운 거야!"라며 설레발을 쳤는데, 갑자기 그 최종보스가 댄 일행 앞에 재등장하여 덤벼온다. 결국 댄이 소지하고 있던 독소을 그 최종보스에게 먹이고 나서는 "[[시누가요이|죽어라!!]]"라는 대사와 함께 물리공격으로 그 최종보스를 절벽 밑으로 떨어뜨리고 나서야 겨우 상황을 종결할 수 있었다. * [[던전앤파이터]]의 [[무형의 시로코 레이드]]의 던전 중 하나인 [[지성의 관문#환영의 경계|환영의 경계]]의 보스 트라 & 타나의 흡수하는 타나가 "해치웠나?" 라는 패턴 대사를 한다. * [[데이트 어 라이브]] 원작 9권, 애니메이션 3기에서 [[이츠카 코토리|코토리]]가 폭발 술식이 걸린 인공위성에[* 지상은 물론이고 지하 쉘터까지 다 쓸어버릴 정도의 위력을 가졌다고 한다.] 한 번 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일격을 날린 후 주위가 빛에 휩싸여 보이지 않자, 상황을 보고 있던 [[무라사메 레이네|레이네]]가 "해치웠나!"고 외쳤다. 실제로 그 인공위성은 파괴되었지만 그 뒤에는 [[DEM사]]에서 이런 상황을 고려해 준비해놓은 두 번째 인공위성이 있었다. 두 번째 인공위성은 [[이츠카 시도|시도]], [[야토가미 토카|토카]], [[나츠미(데이트 어 라이브)|나츠미]]가 3단 합체기까지 써 가며 어찌저찌 없애긴 했으나 그걸로 끝이 아니었고,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남겨져 있었던 폭탄까지 준비되어 있었다.[* 이 폭탄은 DEM사의 새로운 장비를 장착한 [[토비이치 오리가미|오리가미]]가 막아낸다. '''그것도 일격에 말이다.'''] *[[파일:긍지 높은 엘리트 사이어인 전사 베지터.gif]] [[드래곤볼]]에서 [[셀(드래곤볼)|셀]]에게 발악하던 [[베지터]]도 당했다. * [[디지몬 어드벤처]]에서 [[메탈그레이몬]]과 [[워가루몬]]이 막 부활한 [[베놈묘티스몬]]에게 필살기를 쓰자 [[신태일(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신태일]]이 이 대사를 시전한다. * [[록맨 에그제 시리즈]] 애니메이션에서 나열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주 나온다. * [[마법진 구루구루]] 3기에서는 정반대로 라이벌 [[레이드(마법진 구루구루)|레이드]]가 주인공 [[니케(마법진 구루구루)|니케]]한테 이 대사를 시전한다. 3기 작중에서 레이드는 니케를 한 번도 이긴 적이 없다⋯.[* [[마법진 구루구루/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판]] 1기에서는 한 번 이긴 적이 있으며, [[쿠쿠리]]가 몸을 던져 막아서 목숨만은 건졌다.] * [[명량]]: [[https://youtu.be/xO_EFD_DQo4?t=1050|#]] * [[블랙 클로버]]에서는 [[아스타(블랙 클로버)|아스타]]가 [[히스 그라이스]]에게 각혈할 정도의 타격을 입히자 전투를 지켜보는 [[노엘 실버]]가 말했다. * [[블리치]]에서도 [[뭐...라고?]]와 함께 잊을만하면 꼭 등장하는 단골대사중 하나며, 당연히 이 대사가 나오면 십중팔구 적에게 역관광을 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성수전대 긴가맨]]에서 마수 다이타닉스의 새로운 형태인 지구 마수를 상대로 [[히카루(성수전대 긴가맨)|히카루]]가 무의식적으로 이 대사를 시전했다. * [[소울워커]]의 레이드 [[바이올런트 선]]의 보스인 [[플레마]]를 처치하면 "해치웠다고 생각했나?"라는 대사와 함께 2페이즈가 시작된다. 또한 플레이어블 캐릭터인 [[이나비]]의 데자이어워커 이퀄라이저 사용 시 부활 대사로 [[https://youtu.be/SdXCNOPOHWc?t=89|동일한 대사]]가 출력된다. * [[신 고지라]]에서 고지라를 제거하기 위해 타바 작전에 투입된 자위대가 온갖 화력을 쏟아부어 고지라의 몸체가 폭격 연기에 가려지자 지켜보던 각료 중 하나가 이 소릴 한다. 그러나 연기가 걷히자 고지라가 멀쩡함이 드러나고, 도저히 안 되겠다고 판단한 미 공군이 벙커버스터 폭격에 나서 상당한 피해를 주는데 성공한다. 이때 아까 그 각료가 이 소릴 또 하는데(…) 인간의 무기에 대한 위험성을 느낀 고지라가 각성해버려 방사능 화염과 빔을 내뿜어 미군 [[B-2]] 폭격기를 격추하며 [[도쿄]]를 쑥대밭으로 만들어놓고, 급기야 그 각료를 포함한 [[일본]] 정부 수반들이 탄 헬기까지 격추 당한다. *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에서 2호기를 처리하던 전략자위대원이 호수에서의 대규모 폭발을 보고 이 대사를 하자마자 2호기가 호수의 함선을 부수며 등장해버린다, * [[에반게리온: 서]]의 [[야시마 작전]]에서 [[라미엘(신세기 에반게리온)|라미엘]]이 포지트론 라이플에 맞고 피를 뿜자 [[카츠라기 미사토]]가 이 말을 했고 바로 부활해서 반격타를 맞았다.[* TV판에선 서로 마주쏜 빔이 간섭해서 빗나갔다.] * [[에이스 컴뱃 7 Skies Unknown]] - [[예거(에이스 컴뱃 7)|예거]], [[롱 캐스터]] 20화 〈[[Dark Blue]]〉에서 [[ADF-11F]] 두 대를 모두 격추하고 거기서 분리해 나온 ADF-11 한 대도 격추한 뒤 예거는 믿을 수 없는 싸움이었다며 아들에게 자랑하겠다고 말하고 바로 뒤에 [[롱 캐스터]]가 들고 왔던 특별한 와인을 따겠다고 말하자 나머지 한 대의 ADF-11가 나타난다. * [[원펀맨]]에서 [[사이타마(원펀맨)|사이타마]]가 화분에 물을 주고 있는 중 모기가 날아오자 사이타마는 모기를 잡으려고 고군분투하다가 양손바닥으로 잡았을 때 "해치웠나?"라고 말한 뒤 손바닥 사이에서 모기가 살아 나왔다. * [[용자 시리즈]]에서 나열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주 나온다. * [[이누야샤]]에서도 허구한 날 나오는 단골 대사로, 당연히 진짜로 해치운 경우는 거의 없다. 주로 시전하는 사람은 [[히구라시 카고메]]. * [[이나즈마 일레븐]] 무인편 3기의 축구프론티어 결승전에서 로코코의 [[영혼 더 핸드]]가 [[제트 스트림]]을 막아낸 찰나 맥시가 "해냈다! 막았다고!"라고 외치자 이 말이 끝나기가 무섭게 제트 스트림의 기세가 상승해서 영혼 더 핸드를 뚫고 골대로 들어갔다. * [[죠죠의 기묘한 모험]] 3부의 [[DIO]]는 [[쿠죠 죠타로]]가 죽었는지 몇 번이고 확인했고[* 나이프, 총, 호흡확인, 심장박동 확인], 확인사살을 위해 사거리로 들어온 순간 스타 플라티나의 공격을 받아 두개골이 박살났다. * [[죠죠의 기묘한 모험]] 5부에서 [[귀도 미스타|미스타]]가 화이트 앨범의 갑주로 무장한 [[기아초]]의 면상에 볼트를 총으로 꽂아 물 속으로 빠뜨리며 이 대사를 말했다. 이후 [[죠르노 죠바나|죠르노]]가 얕았다며 그가 깨어나기 전에 먼저 디스크를 회수 하는 게 먼저라고 말했다. * [[주술회전]] [[고죠 사토루/작중 행적]] . VS 사상 최강의 주술사 문단 참고. * [[진격의 거인]] 2기에서 [[나나바]]가 우트가르드 성 주변 일대의 거인들을 해치우며 "해치웠나!" 하고 말한다. 그러나 그녀는 가스와 칼날을 모두 써버리고 짐승거인으로 인해 모여든 거인들에 의해 [[게르거]]와 함께 사망한다. 더 파이널 시즌에서 [[테오 마가트]]의 대 거인포 포격으로 지크 예거가 치명상을 입고 떨어져 쓰러지는 것을 본 피크가 "죽였나요?" 라고 말한다.[* 이는 클리셰적 발언이라기보단 상황이 급박해서 성공여부를 묻는 장면에 가깝다. 이에 각도가 안 나와서 못 죽였으니 재정비하라고 하고 잠시 뒤에 마무리 일격을 집어넣었으나 일격을 넣기 전에 지크가 미리 거인의 몸에서 나온 바람에 죽이지 못하고 결국 에렌과의 접촉을 막지 못한다.] *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폭발! 온천 부글부글 대작전]]에서는 [[거대 로봇(크레용 신짱)|거대 로봇]]을 막으려는 자위대가 공격하자 지휘관이 이 대사를 시전했다. * [[클로저스]] * 애니메이션판인 [[클로저스 SIDE BLACKLAMBS]] 5화에서 쓰였다. [[송은이(클로저스)|송은이]]와 특경대가 [[칼바크 턱스]]에게 총을 난사하는데, 연기에 가려지자 송은이가 "해치웠나?"라고 말한다. 연기가 걷히자 칼바크 턱스는 멀쩡하게 모습을 드러내고 자리를 떠난다. * [[김철수(클로저스)|김철수]]가 서피드를 상대할 때 이 대사를 쓴다. * [[하트캐치 프리큐어!]] 45화에서 [[듄(하트캐치 프리큐어!)|듄]]에게 프리큐어들이 일제히 공세를 퍼붓고 나서 [[쿠루미 에리카|큐어 마린]]이 "혹시 해치웠나?"라고 자신 있게 말한다. 물론 듄은 별 것도 아니라는 말과 함께 멀쩡히 서 있었고 프리큐어들을 단숨에 관광보낸다. * [[환경전사 젠타포스]] 4화 후반부에서도 현열(젠타 파이어)과 현풍(젠타 윈드)이 아르고스에게 동시에 빔을 쏴 아르고스가 공격을 당해 몸을 뒤로 돌리고 행동을 멈추는데 현열(젠타 파이어)이 기뻐하며 '맞았다! 성공이야!' 라고 말하는데 말이 끝나기 무섭게 아르고스가 다시 젠타포스 앞을 보며 괴음을 내며 다시 살아난다. * [[환성신 저스티라이저]] 최종화에서 저스티라이저 일행이 본작의 최종보스인 [[마신 다르가|쿠로가네]]에게 일격을 날리고 "해치웠나?"라고 한다. 그러자 쿠로가네는 일격을 맞기 직전에 회피했고 회피 직후 거대화한다. * [[Fate/stay night]]에서 [[버서커(5차)|버서커]]의 [[갓 핸드(Fate 시리즈)|보구]] 덕에 이런 상황이 자주 연출된다. B랭크 이하의 공격 무효화로 공격이 아예 안 통하는 경우와 11회 생명 스톡으로 죽어도 다시 부활하는 경우로 나뉜다. 대표적으로 [[Fate/stay night [Unlimited Blade Works\]]] 3화가 있다. * [[Fate/Grand Order/스토리/바빌로니아|페그오 1부 7장]]에서 [[티아마트(Fate 시리즈)|티아마트]]가 연속으로 무려 세 번이나 이 패턴을 쓴다. [[이슈타르(Fate/Grand Order)|이슈타르]], [[케찰코아틀(Fate 시리즈)|케찰코아틀]], [[에레쉬키갈(Fate 시리즈)|에레쉬키갈]]을 상대로 각각 한 번씩. === 클리셰를 뒤집거나 역이용한 경우 === * '''주인공이 이 대사를 시전하면 얼마 안가서 데미지를 입으나, 그래도 [[주인공 보정]]으로 살아남는다.''' * [[갑철성의 카바네리]]에서 이 클리셰를 [[http://bbs.ruliweb.com/hobby/board/300075/read/30157956|깨버렸다]]. * [[길티기어 STRIVE]]에서는 [[솔 배드가이]]와 [[나고리유키]]의 결전 중 결국 솔이 쓰러트리자 옆에 있던 버논이 "해치웠나?"고 하자 확실히 이겼다고 못 박았다. 클리셰를 날리나 싶었는데⋯[* 사실 최후반부에 다시 등장하나 이때는 [[해피 케이오스]]의 속박에 벗어났으니 오히려 솔을 비롯한 주인공 일행을 돕는다. 클리셰가 순기능으로 발동된 사례.] * [[격기3반]]에서는 [[이현걸(격기3반)|이현걸]]을 붙잡고 유리 조각으로 협박하는 [[주지태]]를 뒤에서 강철 의수로 때려 쓰러뜨린 제철공단의 대장 강두가 이 대사를 말한다. 하지만 네타성 발언이었기에 주지태는 진짜 기절했고, 강두의 부하들은 '해치웠다'며 신나 한다. * [[나이츠 & 매직]]에서는 마수 중 하나인 퀸 셀 케이스를 상대할 때 [[아키드 오르타|키드]]가 "해치웠나?"를 했는데 그 직후, 옆에 [[아델투르트 오르타|아디]]가 텀 따윈 안주고 그냥 해치웠다고 대답해버림으로써 깔끔하게 시체가 되어 죽어버린 모습으로 나오고 아무런 일도 없이 요새로 돌아간다. 클리셰를 완벽하게 비틀어 버린 사례 중 하나. * [[라스트오리진]] 멸망 전의 어느 기록 11화에서도 [[CT-103 포트리스]]를 아머드 메이든 소대가 격파할때 이렇게 외쳤으나 진짜로 파괴되었다. * [[블리치]]에서 주인공 [[쿠로사키 이치고|이치고]]가 쓰러뜨린 [[폐병원의 데미 호로]]에 대고 [[돈 칸온지]]가 시전했지만, 되살아나거나 그러지 않고 성공적으로 퇴치되었다. * [[빙탕후루(웹툰)|빙탕후루]]에선 분운이 비두만에게 해치웠나라고 [[클리셰 파괴를 위한 클리셰|했음에도 일어나지 못했다]]. *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 챕터 3의 마지막 미션에서 챕터 보스 [[IA-02: 아이스 웜|아이스 웜]]에게 [[V.IV 러스티]]가 '해치웠나?'를 시전하지만 아이스 웜은 그대로 쓰러져 완전히 작동 정지된다. *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에서는 해치웠나라고 해야지만 죽는다. 아니면 '해치웠나?'라고 하면 저승에서 만담을 갖고 죽는다든가.. * [[이터널 리턴]]에서 [[아이솔(이터널 리턴)|아이솔]]이 1명 처치할때 "해치웠나."라고 한다. 물론 정말 처리되어있으니 솔로거나 누가 오지 않으면 안심하자. * [[팝 팀 에픽]]에서 포푸코가 외쳤다. 그리고 맞은 피피미가 [해치웠음] 팻말을 들고 있는 것 보고 해치웠다고 판단한다. === 클리셰를 작중에서 언급하면서 쓰는 경우 === * [[닥터 프로스트]]에서 [[프로스트 교수]]가 문성준을 전기충격기로 지진 뒤 "해치웠"까지 말했으나 [[김창규(닥터 프로스트)|김창규]] 기자가 막았다. * [[던전 속 사정]]에서 청과 귀두라이와의 전투 도중 귀두라이가 보이지 않자 책에서 본 악당불러내는 주문인 "해치웠나?"를 말했다. 그리고 예상대로 진짜 귀두라이가 튀어나왔다. * [[블루 아카이브]]에서는 두 번 나왔는데 두 번 모두 시전한 쪽의 아군이 클리셰를 언급한다. * 메인 스토리 2편에서 [[텐도 아리스]]가 [[미카모 네루]]와 대치했을 때 네루를 향해 레일건을 발사하고 나서 말하자 [[게임개발부]] 동료 멤버 [[사이바 미도리]]가 '''"그런 말 하면 안 돼!"'''라면서 언급한다. 선배한테 반말하지 말라는 걸로 알아듣고 "해치워지셨나?"로 [[확인사살|공손하게 다시 말하는 건 덤.]] * [[카스가 츠바키]]의 인연 스토리에서 츠바키에게 폭탄을 날린 불량배들이 이 클리셰를 언급하며 사용하고, 당연히 츠바키는 멀쩡히 '''자고''' 있다. * [[산나비]]에서는 [[주인공(산나비)|주인공]]이 [[집행명령]]과 대치할 때 "끝난 건가?" "해치웠나?" 등 플래그 대사를 연발하자 [[금마리]]가 '''"미쳤어요? 그런 말 하면 절대 안 끝난다고요!!!"'''라며 클리셰를 언급하고, 곧바로 집행명령의 추가 공격이 어어지게 된다. * [[서북의 저승사자]] 154화에서 [[신조(서북의 저승사자)|신조]]가 쓰러졌을 때 [[진교(서북의 저승사자)|진교]]가 "쓰러뜨렸…"까지 말하다가 [[제롬(서북의 저승사자)|제롬]]이 말을 끊고 역정을 내면서 [[사망 플래그|전쟁터에서 애인 사진 보여줄 놈]]이라는 드립까지 했다. * [[스위트홈]] 108화에서는 현수가 전기창으로 박쥐괴물을 제압하자 "해… 해치웠나…?" 라고 하였고, 옆에 있던 지수가 "살아있을걸, 방금 니 망할 멘트 때문에."라고 했다. * [[심심한 마왕]]에선 [[라미엘(심심한 마왕)|라미엘]]이 "해치웠나"라고 하자 옆에서 라구엘이 그 대사는 하면 안 된다고 했다. 그리고 그걸 지적한 라구엘 본인은 이후 상대를 쓰러트리고는 "해치웠나"를 말하면 안 되지만, 그냥 그대로 뒤돌아 가버려도 다시 일어난 적에게 등 뒤를 당한다는 클리셰가 있을 터이기에 잠시 고민하다 '승리의 기쁨을 주먹을 꽉 쥐며 말없이 짧고 간결하게 표현'한 뒤(…) 망설임 없이 자리를 뜨는 것으로 플래그를 회피했다. * [[아카메가 벤다!]]에선 [[브라트]]가 공격을 맞았을 때 [[리바(아카메가 벤다!)|상대방]]이 해치웠나? 라고 하자 "그런 대사를 칠 때는 보통, 해치우지 못했을 때다!"하는 일갈과 함께 일격을 날렸다.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에서 울트론 본체만이 남아 나타나자 토르가 “겨우 이게 다냐!(Is that the best you can do!)”라고 하자마자 숨어있던 울트론 센트리 잔당들이 우르르 몰려나온다. “하여간 입이 방정이야(You had to ask)”라는 캡틴의 반응은 덤. * [[언덕 위의 제임스]] 384화에서 천설공주가 황순옥을 상대로 시전하자 옆에있던 지자스 민이 바로 "안돼 썅년아-!!!!"하며 저지했으나 예상대로 이후 둘은 황순옥에게 탈탈 털렸다. * [[얼어붙은 플레이어의 귀환]]에서는 포트레인 전투 당시 마인 둘이 [[스카야 키릴랜드]]를 공격, 한 명이 "해치…"라고 하자 동료가 입 찢어버리기 전에 그 말을 완성하지 말라고 했지만 처치에 실패하고 역으로 털렸으며, 7층 추방자의 미로에서는 플루투스가 쓰러지자 조사단 한 명이 이 말을 꺼내자 옆 인물들이 부정탄다며 말하지 말라고 언급한다. * [[에이스 컴뱃 시리즈]] * [[에이스 컴뱃 제로 The Belkan War]] - [[패트릭 제임스]] 일명 20초 3단 [[사망 플래그]]. 가름 편대의 마지막 임무인 [[The Valley of Kings|영거리 작전]]이 끝날 기미가 보이자 “'''이걸로 전쟁도 끝났네요.''' 저 사실 기지에 애인이 있어요. 돌아가면 청혼하려고 합니다. 꽃다발도 사놨죠.”라는 말을 하자마자 적의 마지막 병력인 [[래리 폴크]]가 나타나면서 쏜 레이저에 맞고 죽는다. 그리고 주인공 입장에서 [[Zero(에이스 컴뱃 제로)|진짜 마지막 싸움]]이 시작된다. * [[에이스 컴뱃 7 Skies Unknown]] - [[롱 캐스터]] [[Battle for Farbanti|파반티 전투]]에서 [[파반티]]를 점령하기 직전 “전기, 잘 들어라. 여기는 롱 캐스터. 전황은 우리 군이 우세. '''적 사령부도 함락 직전이다.''' (중략) '''앞으로 조금만 더 하면 전쟁이 끝난다.''' 모두, 먹고 싶은 것이 있으면 생각해두도록. 배불리 먹게 해주지.”라는 말을 한다. 이에 [[와이즈먼(에이스 컴뱃 7)|와이즈먼]]이 “에이, 불길한 소리 하지 마.(Man, don't [[징크스|jinx]] us.)”라고 말하자마자 [[미하이 A. 실라지]] 휘하의 [[솔 편대]]가 나타나고 이들과 싸우는 과정에서 미끼를 자처한 와이즈먼이 죽고 전쟁은 장기전으로 이어진다. * [[열렙전사]] 2부 63화에서 마족 마법사들이 다크 일행에게 마법을 퍼붓자 한 명이 "해치웠나?"라고 했고, 다른 마법사가 "바보야!! 그 말은… 하면 안 돼!"라는 말을 했는데 실제로 그 직후 상당수가 끔살당했다. * [[오버워치 시리즈]] * 기간 한정 아케이드 [[오버워치/아케이드/난투/응징의 날|응징의 날]]의 [[응징의 날(아케이드)|스토리 모드]] 도중 [[리퍼(오버워치)|레예스 사령관]]이 "여기서부턴 별 일 없겠지."라고 안심하는 찰나, '''이 아케이드에서 가장 강한 적 유닛'''인 중화기병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에 레예스 휘하의 전투 요원 [[캐서디]]는 '''"아까 그런 말은 왜 하신 겁니까?"'''라고 한다. * [[해방(오버워치 2)|'해방' 이야기 임무]]에서 널 섹터의 공세를 두어 차례 막아낸 후, 임의의 공격 영웅[* 픽한 영웅에 따라 다르다.]이 '일이 의외로 잘 풀린다'는 투로 혼잣말하자 이에 [[소전(오버워치)|소전]]이 '''"제발 재수 없는 소리 좀 하지 마."'''라고 핀잔을 준다. 아니나 다를까 이 직후 공세가 시작되며 '''이 임무에서 두 번째로 강한 유닛'''인 포격기가 등장한다. * [[외모지상주의(웹툰)|외모지상주의]] 243화에서 [[박종건]]이 선 채로 기절한 줄 알고 [[채원석]]이 시전하였다. 이에 조응구와 강탱구가 "그 말은 금지 대사야!"라며 기겁. *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에서 [[사토 카즈마]]가 "그 플래그는 세우지 마!"라고 외친다. * [[장삐쭈]]의 봉팔맨에선 [[https://youtu.be/9mbybnfPa8U|깨버릴 뻔했다]].[* 또 장삐쭈의 단편선 '주인공'에서는 악역이 해치웠나를 못하게 하고 반대로 살아있나를 시전한다.] * 전생검신에서도 28회차 살 59권에서 백웅이 혼돈의 뱀에게 수요천빙을 가한 후에 해치웠나라고 말을 하나, '''수요의 정령이 신화시대에서부터 느껴온 저주의 언령이니 함부로 말하니 말라고 엄중히 말함으로써 이 클리셰를 직접적으로 언급했다.''' * [[초차원게임 넵튠 THE ANIMATION]] 9화에서 4여신들이 옐로 하트를 협공하고서 바다로 처박힌 그녀를 보고 블루 하트가 "해치웠나?"고 하자 옆에 있던 그린 하트가 "그 대사,해치우지 못했을 때 자주 나오는 대사라구요?"라고 태클을 건다. 시리즈 자체가 패러디 일색이다 보니 이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 [[테일즈런너]]의 [[https://tr.game.onstove.com/news/develop.asp?seq=4764678|개발 핫이슈 웹툰]]에서도 해당 대사가 등장하였다. 옆에서 다른 도깨비가 '그 대사 하지마'라고 반응해주는 건 덤. * [[하이브(웹툰)|하이브]] 3부 141화에서는 [[조영선]]이 인충화된 제너두 본대 팀장이 쓰러지자 "해치웠나?"라고 했다가 [[정민(하이브)|정민]]에게 대놓고 "닥쳐요, 그런 소리하면 다시 일어난다고!"라는 말까지 들었다⋯. * [[함대 컬렉션/애니메이션]]의 마지막화에선 [[나가토(함대 컬렉션)|나가토]]가 최종 보스인 [[중간서희]]를 처치한 후 이 말을 할 때, [[무츠(함대 컬렉션)|무츠]]가 입을 가리면서 그런 말은 하는 게 아니라고 한다. 물론 여기서 중간서희는 부활 없이 그대로 사망. * [[현자의 손자]]에서 [[신 월포드]]가 올리버 슈트롬을 상대로 태양열 광선 마법을 쏟아붓던 도중, 슈트롬이 방어막이 깨지기 직전 폭발 마법을 사용하여 먼지를 일으켜 달아났고, 이 상황을 보고 있던 [[아우구스트 폰 알스하이드]]가 "해치웠나?"라고 하자 신이 "그거 말하면 안 돼!!"라고 클리셰를 언급하였다. * 호랭총각에서 호랭총각이 "해치웠나?"라고 말하자 옆에 있던 노인이 "그런소리하지마, 벌떡일어날것같잖아"라고 딴지를 건다.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애니메이션 3화에서 [[팩(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팩]]과 [[엘자 그란힐테|엘자]]의 전투 중 롬 영감이 "해치운 겐가?!"라고 하자 [[나츠키 스바루|스바루]]가 "그런 플래그는 세우지 마, 영감!!"이라며 이 클리셰를 언급한다. * [[마키시의 이웃들]] 36화에서는 재해 병기인 콧수염을 탈취하기위해 메텔에게 덤빈 헌터들 중 하나가 사용하자 바로 다른 헌터가 주먹을 날리며 저지하며 "그건 우리가 털리는 마법의 주문이라고"한다. 하지만 바로 다음 다시 해치웠나를 연발 한다⋯. 이후 이둘은 85화 커플 대전 애피소드에서 경기를 관람하는 모습으로 다시 등장하며 플래그를 대신 세워준다⋯. * [[카운터사이드]] 메인 스트림 6에서 [[나이엘 블루스틸]]이 침식체를 제압한 후 해치웠나라고 말하자 [[주시윤]]이 난입해서 프로는 그런 말을 쓰지 않는다는 한마디를 말하며 침식체를 확인사살한다. * [[테러대부활]] 83화에서 [[석환]]이 '''"해치웠나 라고는 말하지 마쇼!!"''' 라는 말을 했다. 다만 해치웠나를 시전한 사람은 없었다. == 기타 == * 스트리머나 유튜버가 은근 자주 깨려고 하는 법칙이기도 하다. * [[왈도쿤]]은 실황 중에 "해치웠나? 해치웠다!"라면서 클리셰를 날리는 경우가 다수 있다. * [[텔론]]의 광고 중에 [[https://youtu.be/FCmGftkukag?t=116|이 영상에 해치웠나]]라고 하는데도 부활하지 않자 고양된 투로 "살아남는다!"라고 외친다. * [[퍼런안경]]이 [[폴가이즈]] 실황 중에 "해치웠나?"라고 했지만 그 뒤는 이긴 상태였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소련은 [[Mi-24]]와 [[Su-25]]를 앞세워 산악 곳곳에 숨은 [[무자헤딘]]을 도륙하고 다녔는데, 문제는 압도적인 화력을 퍼부어 다 해치웠다고 착각하고 방심하다가 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 숨어있던 무자헤딘의 MANPADS에 의해 공격헬기는 물론이요, 저고도에서 임무 수행 중이던 전폭기까지 잃는 사례가 빈번했다. 아프가니스탄은 산악 지형이 많아 기갑 부대 투입이 어려워 공격헬기와 전폭기 공습 의존도가 매우 높았는데, 이러한 전력 손실이 곧바로 작전 수행 능력 하락으로 이어져, 소련이 패전하는 단초가 되고 말았다. == 관련 문서 == * [[방심]] * [[설레발]][* 광의적인 의미로는 유사하다. 지레짐작과 더불어 후속으로 경계를 늦추는 등의 안일함도 같이 따라오기 때문.] * [[사망 플래그]] * [[생존 플래그]] * [[추정]] * [[클리셰]] * [[확인사살]] - 여기까지 해야 추정의 영역에서 확신의 영역으로 넘어갈 수 있다. [[분류:클리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