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남도의 시외버스 회사)] || [[파일:해운대고속완행.jpg|width=100%]] || [[파일:해포.jpg|width=100%]] || || 강남고속관광 시절 구 도색 || 현재 사용중인 도색 || --[[거제현대고속]]에 태나무체가 있다면 여기에는 HY크리스탈 체가 있다.-- [목차] == 개요 == [[경상남도]]의 시외버스 회사로, 회사 명칭에 걸맞게 본사도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가 소재하고 있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641 ([[우동(부산)|우동]])에 위치하고 있다.[* 다만, 본점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1로20번길 77 (우동)에 있으며 우일종합시장 맞은 편에 있다.] 그러나 [[시외버스]] 면허 소재지의 경우 [[고속버스]]처럼 대도시에 차적을 둘 수 없어서[* 명목상으로는 특별시나 광역시에 시외버스 차적을 둘 수 없다고 못박은 법률은 없다. 하지만 [[시외버스]]의 면허 인, 허가권은 특별시청 및 광역시청은 없고, 각 도청에만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상 차적을 도 지역으로 두는 것이 강제된다. 참고로 [[고속버스]]는 [[국토교통부]]에서 관할한다.] [[창원시]] 면허를 사용 중이다. 차적지는 [[경상남도]] [[창원시]] [[창원대로]] 371(팔용동, [[창원종합버스터미널]])이다. 모기업은 [[거제현대고속]]. == 특징 == 이 회사의 전신은 동부여객으로, 이후 [[동부강남고속]]-가야강남고속-오렌지고속을 거쳐 지금에 이른다. 다만 오렌지고속에서 관광부가 분리되고, 시외부가 해운대고속으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관광부 출신 똥차들이 많이 들어왔다. 기존에 쓸 만한 차들은 모두 관광부로 이관. 동시에 [[의정부버스터미널|의정부]]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2022년 현재는 노포동터미널로 단축되었고 금호고속이 운행중이다]같은 장거리 노선도 타 회사로 넘겼다. 하지만 구형 차량이나 중고차가 많아서 겉으로는 우습게 보일 지도 모르는 업체지만, 현직들의 말에 의하면 임금 체불은 예사였고 1~2년 정도밖에 안 된 신차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정비도 제대로 안 되었던 [[흑역사]]인 가야강남 시절에 비하면, 근무 여건은 비교가 안되게 좋아졌고 임금도 제때 잘 나온다고 한다. 비록 가야강남 시절에 비하면 [[금남고속]]처럼 중고차가 많긴 하지만, 무턱대고 중고차를 들여오기보다 연식이 얼마 안 된 쓸 만한 중고차를 들여오는 경우가 많고 그 중고차의 관리 상태는 [[부산교통|모 향토없체]] 못지않게 좋다. 2015년 들어서 자체 출고도 중고차 도입과 번갈아가면서 하고 있는데, 대부분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유니시티 등으로 주로 완행 차량에 쓸 차량을 투입한다.]와 [[기아]][* 주로 그랜버드 그린필드, 파크웨이 차량을 들여온다.] 차량을 들여오지만 [[자일대우버스]]의 FXⅡ116을 자체출고하거나 중고차량으로 들여왔고 유로6 그랜버드 그린필드를 자체출고했다. 고로 서부경남에는 [[거창고속]]이 있으면, 동부경남에는 해운대고속이 있다고 할 정도로 행보가 똑같다. 이 회사의 차량 대부분은 한 노선에만 고정 운행하고, 그렇지 않은 차량도 대부분 직통과 완통만 바꾸기 때문에 (한 차량으로 여러 노선에 굴리는 일이 드물다) 차량 앞유리에 행선판 스티킹을 붙인다.[* 예를 들어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 노선은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양산, 언양을 붙이고 그 노선에만 고정 운행.] 그렇지 않은 노선에는 차량 주재지만 붙이는 방식.[* 그 차량이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주재 차량이고 여러 노선에 돌려 쓴다면 앞유리에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만 붙인다.] 다만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사상 - 마산 계통은 지입차량으로 해운대고속 이름만 걸고 그 노선만 운행한다고 한다. 참고로 관광부는 회사가 조각조각 갈라져서, 기존 지입차주들이 '강남고속' 사명을 그대로 가져와 동부강남고속, 유니트강남고속 등의 회사를 차려서 영업하고 있다. 덕분에 아직 도색은 남아서 이 회사의 구형차와 타 회사에서 써먹고 있다. 가야강남 시절에는 열악한 근무 여건과 맞아떨어졌는지 과속운행이 성행했지만,[* 고속도로에서 140~150km/h 정도로 날아다녔다고 한다.] 현재는 110km/h에 리밋이 걸려 있으나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기준으로) 실제로는 그보다 살짝 느리게 달린다. 실제로는 107~108km/h쯤에 걸려 있다 최근 장거리 노선들이 꾸준히 생겼지만 무슨 이유인지 고속버스 조건을 만족함에도 불구하고 고속버스 노선이 아닌 시외버스 노선으로 신설하거나, 나중에 계통 변경을 통해 고속버스 조건을 만족함에도 불구하고 [[전환고속|고속버스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운행 노선 == 주력 노선은 [[시외버스 해운대-울산]] 노선. 하지만 [[2021년]] [[동해선 광역전철]] 울산 구간(일광 ~ 태화강) 개통 후 해운대 - 울산 직통의 수익 감소를 예상했는지, 2010년도 후반 들어 타 지역 방면 신규 노선 개통에 적극적인 모습을 드러내는 중이다. 게다가 해운대고속은 경부선, 거제현대고속은 남해선이라는 공식이 있었는데, 원래 공식대로라면 거제현대고속에서 운행했어야 할 해운대 ~ 전주, [[시외버스 해운대-여수|해운대 ~ 여수]] 노선을 해운대고속이 뚫음으로서 그 공식이 깨졌다. * [[시외버스 해운대-김해장유]] * [[시외버스 해운대-울산]] * [[시외버스 해운대-경주]]: [[금아여행]], [[아성고속]]과 [[공동 배차]] * [[시외버스 해운대-포항]]: [[금아여행]], [[아성고속]], [[천마고속]]과 [[공동 배차]] * [[시외버스 해운대-구미]]: 일부는 해운대-동대구 구간만 운행한다. * [[시외버스 부산서부-창원·마산|시외버스 부산서부-마산]]: [[천일여객]], [[고려여객]],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과 [[공동 배차]]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 운촌 - 수비삼거리 - 해운대경찰서 - 동래역 - 광혜병원 - [[남해고속도로]] - 김해소방서 - 김해시청 - [[김해여객터미널|김해]][* 해운대에서 김해갈려면 시내버스 [[부산 버스 200|200번]], [[부산 버스 307|307번]] 타고 구포역/구포시장에서 [[부산 버스 127|127번]], [[부산 버스 123|123번]], [[부산 버스 1004|1004번]], [[김해 버스 8|8번]], [[김해 버스 8-1|8-1번]]으로 환승할 수 있다. 하지만 빙빙 둘러가는 시간과 환승대기 시간은덤. 차량은 15~16년식 유니시티를 투입한다.] * [[시외버스 해운대-여수]]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 [[동래시외버스정류소|동래]] - [[순천종합버스터미널|순천]] - [[여수종합버스터미널|여수]]: 금호고속과 공동 배차 == 과거 운행 노선 == 2011년 3월에는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에서 양산, 통도사,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을 경유해서 [[북부정류장|대구북부]]로 가는 노선도 운행했었으나,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으로 인해 4개월을 못 넘기고 폐선되었다.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에서 대구로 가기에는 중간 경유지가 많아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양산, 통도사, 언양 등 [[35번 국도]] 라인에서 대구로 갈 경우 [[KTX]]가 있으니... 특히 언양의 경우 그나마 완행인 [[남부정류장|대구남부]]행 보다는 빨랐을 지 몰라도 [[울산역]]이 바로 근처다. 거기다가 대구로 들어가는 것도 거리상으로도 가깝고 지하철 연계도 되는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로 가는 것도 아니고 빙 돌아서 가는 데다가 지하철 연계도 안 되는 [[북부정류장]]으로 갔으니 승객이 있을 리가... 그냥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에서 [[35번 국도]] 라인으로 가는 소수의 승객들만 이용하는 정도였다. 그러다가 2015년 들어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까지 단축하고 재개통했으며, 2015년 7월 15일에는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 [[동부정류장|대구동부]] 경유 [[북부정류장|대구북부]]행이 별도로 개통된다. 시외직행 노선이며,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와 [[용계역]]에서 중간 승하차한 후 [[북부정류장]]으로 간다. 차량은 본래 유로6 그린필드를 투입하다가 한동안 유로6 파크웨이 우등으로 바꿔 운행했다. 하지만 2016년 7월부터 다시 그린필드를 투입하여 운행 중이며, 2017년 2월 10일부터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로 단축됐다. 이후 [[전환고속|고속버스 전환 요건에 맞아떨어졌지만]], 우등형 시외직행을 넣는 데 그쳤다.[* 원래라면 시내 1개 정류장에서만 서고 ([[용계역]]), 운행거리가 100km가 넘기 때문에 [[전환고속]] 대상이 된다.] 해운대 ~ 청주 노선 및 해운대 ~ 전주 노선도 고속버스 조건에 맞아서 마음만 먹으면 고속버스 노선으로 개통 가능하지만 시외로 개통되었다.(첫차는 무주.2회차는 소양 3회차는 김해를 경유한다.)향후 수요도가 좋으면 전북고속, 경남고속도 같이 참여할 예정이다 (해운대고속 혼자하기엔 힘듬)[* 그래서 직통으로 변경되었음에도 [[광안대교]] 혹은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하지 않는 이유이다.] 2015년 3월에 [[금아리무진]]의 [[동부정류장|대구동부]] ~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시외)]] (~ [[방어진시외버스정류장|방어진]]) 노선을 인수받았으나 2018년 4월 14일 [[대원고속]]에 넘겼다.~~[[아웃 ○○ 노선|아웃경기]] 하나 더 추가요[* [[금아리무진]]에서 차량을 받아 온 뒤에도 좌석 개조가 되지 않아 스페셜 리무진(35석)으로 운행했고, [[방어진시외버스정류장|방어진]]조 차량은 41석 일반을 투입했다. 그리고 [[대원고속]]은 41석 FX116 하모니 신차를 이 노선에 투입해서 운행을 시작했다. 애초에 금아 시절도, 해운대고속 시절도 사실상 회사에서 버리다시피 한 노선이었다. [[고속버스 동대구-울산|울산 ~ 동대구 고속버스 노선]]이 [[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시종착했던 특성 상 [[도시철도]] 연계가 더 좋았고, 거기다 운행사인 [[금호고속]]과 [[천일고속]]이 가끔씩 [[우등석|서비스우등]]까지 넣어주는등 서비스를 무기로 승객을 끌어모으고 있었다. [[시외버스 동대구-포항(경주)|동대구 ~ 경주]]도 [[시외버스 동대구-경주(고속)|비슷한 처지]]이긴 했으나 이 쪽은 배차가 시외 쪽이 월등히 많았다. 따라서 대원고속의 경남 지역 노선 확충의 의미를 갖기는 힘들다.]~~ 4월에는 [[경전여객|경전고속]]의 구포 ~ 상동 노선을 인수받았으나 다음 해 12월 운행을 포기했다.[* 과거 [[http://www.gimha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35|경전여객이 운행하였으나]], [[경전여객]]이 운행을 포기하면서 해운대고속이 이 노선을 인수받았다.] *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 감포: 2019년 1월 1일 수요 저조(시외버스 임에도 BS090, BH090로 운행했다.)로 폐선되었으며 [[경주 버스 160|경주 160번]]과 [[울산 버스 701|울산 701번]]이 해당 구간을 대체하고 있다. 단, 701번의 배차가 160번 보다 압도적으로 많아 울산 방면으로는 연계가 잘 되지만 감포 방면으로는 1시간 이상 기다려야 할 수 있다.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 [[장산역]] ~ 신도시시장 ~ 송정해수욕장입구 ~ 기장중학교.기장시장([[기장역|동해선 기장역]]) ~ [[일광역|동해선 일광역]] ~ 좌천삼거리~ 용소삼거리~하근.장안사입구(장안초등학교)~대룡마을~도야마을(명례산단입구)~신명마을(마근마을)~남창 ~ 망양(LG하우시스) ~ 덕하 ~ 공업탑 ~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시외버스 해운대-울산]]의 모태. 2009년 신설된 고속도로 무정차 노선은 살아남았지만, 본선인 완행노선은 적자누적으로 2020년 11월 16일 폐선되었다.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 [[번영로(부산)|도시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지선]] ~ [[양산시외버스터미널|양산]] ~ [[통도사신평버스터미널|통도사신평]] ~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 [[코로나 19]]로 인한 적자누적으로 2021년 1월 1일 폐선되었다.] * [[시외버스 동대구-양산]] [* [[천마고속]]과 공동 배차했었으나 2023.06.12부로 철수하였으며, 동시에 운행횟수도 3회로 감회되었다.] == 면허 체계 == 경남 70 아 '''10XX'''[* [[거제현대고속]]에도 상당수 존재한다. 단, 1003호는 [[태영고속]] [[현대 유니시티|유니시티]]이다.], '''38XX'''[* 단, 3822호는 거제현대고속 [[기아 그랜버드|뉴 그랜버드 파크웨이]]다.]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유니시티|현대 유니시티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디젤]] ==== [[기아]] ==== * [[기아 그랜버드|기아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 디젤]] * [[기아 그랜버드|기아 뉴 그랜버드 파크웨이 디젤]] * [[기아 그랜버드|기아 뉴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파크웨이 디젤]] === 과거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에어로타운|현대 E-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글로벌900 F/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디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D 디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디젤]][* 금호고속 출신.] ==== [[기아]] ==== * [[기아 그랜버드|기아 그랜버드 슈퍼파크웨이 디젤]] * [[기아 그랜버드|기아 그랜버드 파크웨이 디젤]]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3 로얄에이스 디젤]][* 과거 동부여객 시절에 운행했으며 2005년을 전후해서 모두 BH115E로 대차되었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5E 로얄이코노미 디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6 로얄럭셔리 II F/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090 로얄스타 디젤]] * [[자일대우버스 FX|대우 FX II 116 크루징애로우 디젤]] * [[자일대우버스 FX|대우 FX II 212 슈퍼크루저 디젤]][* [[코리아와이드 대성]] 출신.] == 관련 문서 == * [[동부강남고속]] * [[거제현대고속]] [[분류:경상남도의 시외버스 회사]][[분류:2007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