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백제의 제후 및 비정통 국왕)] ||<-2> '''{{{#white 무위장군(武威將軍) 불중후(弗中侯) 해예곤}}}''' || || '''{{{#white 작위}}}''' ||불중후(弗中侯) || || '''{{{#white 직위}}}''' ||무위장군(武威將軍) || || '''{{{#white 가문}}}''' ||[[대성팔족]] 중 해씨(解氏) || || '''{{{#white 성씨}}}''' ||해(解) || || '''{{{#white 이름}}}''' ||예곤(禮昆) || || '''{{{#white 생몰연도}}}''' ||? ~ ? || [목차] == 개요 == [[백제]] 왕조의 제후. 백제 불중(弗中) 지역을 분봉 받았다. 제 24대 [[동성왕]] 시대의 [[후작]]이다. 백제의 대귀족 가문인 [[대성팔족]] 해(解)씨 출신. 해씨는 한성백제 시기부터 대귀족이었으며 [[웅진성]]으로 천도한 이후에도 여전히 위세를 떨쳤다. == 생애 == === 남제서 기록 === 해예곤은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 한국의 사서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 중국 사서 《남제서》에 등장한다. 해예곤은 해씨 귀족이고 분명히 백제의 뛰어난 장수였을 것이다. 또한 불중의 후작이었던 만큼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을 줬겠지만 아쉽게도 매우 단편적 기록 밖에 없다. === 북위를 무찌르다 === 서기 [[490년]] [[북위]]가 백제를 침공하자[* 이에 대해선 [[동성왕]] 항목 참조.] 해예곤은 동성왕의 명을 받아 [[사법명]], [[찬수류]], [[목간나]]와 함께 북위군을 대파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겼는지는 알 수 없다. === [[제후]]에 봉해지다 === 백제의 [[동성왕]]은 [[천자]](天子)처럼 종실 및 [[공신]]에게 작위를 하사해 분봉(分封)을 실시했다. 하지만 [[남제]] 등 중국 왕조들에겐 제후국을 자처했음으로 그들에게 백제가 내린 [[작위]]를 인정해달라는 제스처를 취했다. 즉 '내가 내린건 임시로 한거니까 님이 허락 해주셈!' 같이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작위를 봉했다. 그리하여 해예곤은 ''''무위장군 불중후(武威將軍 弗中侯)''''의 관작을 제수받았다. ==== 관작의 의미 ==== 무위(武威)은 '무력이 위엄을 떨치다'란 의미. 불중은 구 마한 지역의 땅 이름으로 현 [[전라남도]] [[보성군]] 일대로 추정된다. 무위장군은 중국의 잡호장군 중 하나이다. [[대성팔족|사씨 귀족]] 사법명, 구 마한 지역 토착 귀족으로 보이는 찬수류에 비해 관작이 낮은데, 이는 한성지역에 기반을 둔 해씨가 웅진-사비 지역 토착세력인 사씨 등에 밀린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웅진시기 [[해구]]의 전횡을 생각하면 한성출신 귀족들이 웅진-사비 토착세력에게 완전히 밀려났다고 보기도 어렵다. 해씨 세력이 이전만 못해진건 사실이지만. [[분류:백제의 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