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해리 포터 시리즈)] [include(틀:해리 포터 시리즈)] [목차] == 개요 == [[해리 포터 시리즈]]의 세계관에 등장하는 책들. 이 책들은 내용 전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 책들은 대부분 [[다이애건 앨리]]에 있는 플러리시 앤 블러츠 서점에서 판다. == 목록 == 가나다순 === ㄱ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가장 어두운 마법의 비밀[* 구판: 가장 사악한 어둠의 마법의 비밀] || Secrets of the Darkest Art || 아울 불럭 ||7권에서 등장. 빛바랜 검은 가죽 정장의 형태를 띤 커다란 책. [[볼드모트]]가 [[호크룩스]] 만드는 법을 알아낸 걸로 추정되는 책이다. [[알버스 덤블도어]]가 교장이 된후 즉시 도서관에서 빼내서 보관 중이었는데, [[헤르미온느 그레인저]]가 소환 마법으로 불러내서 호크룩스와 영혼을 되돌리는 방법과 호크룩스를 파괴하는 방법등을 알아보았다. 이런 위험한 내용이 있는 책이 왜 학교 도서관에 있었는지는 모를 일. || || 고급 룬문자 번역[* 구판: 상급 룬 문자 번역] || Advanced Rune Translation || 유리 블리셴||6권에서 등장. [[N.E.W.T.]] 과정 고대 룬문자 연구 교과서로 추정된다. || || 고급 마법약 제조[* 구판: 상급 마법약 만들기] || Advanced Potion-Making || 리바티우스 보리지 ||6권에서 등장. N.E.W.T. 과정 마법약 교과서이자 [[세베루스 스네이프|혼혈 왕자와 그의 정체]]를 알게해주는 책이다. 7권에서 필요의 방이 악마의 화염에 휩싸였으니 이 책 또한 전소되었을 것이다. || || 고급 변환 마법 지침서[* 구판: 고급 변신술 입문서] || A Guide to Advanced Transfiguration || ||4권에서 등장. [[해리 포터|해리]]가 [[세드릭 디고리]]에게 첫 번째 과제를 알려 주려고 그의 가방에 마법을 걸었을 때 가방에서 쏟아져 나온 책 중 한 권이다. N.E.W.T. 과정 변환 마법 교과서로 추정된다. || || 괴물들에 관한 괴물책[* 구판: 괴물들을 위한 괴물책] || The monster Book of Monsters || 에드워더스 리마 ||3권에서 등장. 괴물책이라는 이름답게 책 자체가 '''살아있는 괴물'''이다. 마법 생명체 돌보기 수업 교과서로 쓰였다.-- 학생들이 불쌍하다-- 이따위 책을 교과서로 채택한 장본인은 바로 [[해그리드]]. 책들이 서로를 마구 공격하여 갈기갈기 찢어놔서 플러리시와 블러트 서점 직원이 거의 울어버릴 지경이 되기도 했다. 사람을 물어뜯으려 드는 등 꽤 난폭한 편이나, 책의 등을 쓰다듬어 주면 얌전하게 되어 펼칠수 있다[* 영화판 한정으로 해리가 위를 못 보는 책의 특징을 이용해서 자신의 신발을 미끼로 삼아 바닥에 떨어뜨리고, 책이 침대 밑에서 기어나와 신발을 공격하자 두 발로 밟아서 제압한다.]. || || [[구울|굴]]과 굴러다니기[* 구판: 굴 귀신과 돌아다니기] || Gadding with Ghouls || [[길더로이 록하트]] ||2권에서 등장. 해리가 2학년일 때 [[어둠의 마법 방어법]] 교과서였다. 길더로이 록하트가 찻잎 거르개로 굴을 잡은 모험담이 나온다. [[론 위즐리]]의 어머니 [[몰리 위즐리]]도 읽었고, 헤르미온느도 꽤나 감명깊게 읽었다고 한다. || || 권력을 손에 넣은 반장들[* 구판: 힘을 얻은 반장들] || Prefects Who Gained Power || ||2권에서 등장. 다이애건 앨리의 고물상에 있다. [[호그와트]] 반장들과 그들의 진로에 관하여 적혀 있으며 [[퍼시 위즐리]]가 읽었다. 퍼시가 마법 정부에서 성공한 후[* 물론 퍼지 총리나 스크림저 총리의 비서였던 시절에 관한 얘기는 뺐을 수도 있다.], 퍼시의 이야기가 덧붙여져 개정판이 나왔다고 한다. || || 그는 미친 듯이 날았다 || He Flew Like a Madman || 케닐워디 위스프 ||퀴디치의 역사에서 언급. "데인저러스" 데이 르웰린 전기. || || 극도로 사악한 마법들[* 구판: 사악한 마법] || Magick Moste Evile || 고들롯 ||6권에서 등장. 서문에 "마법적 발명 중 가장 사악한 [[호크룩스]]에 관해서는 입에 담아서도, 안내를 제공해서도 안 된다."라는 문장 '''딱 한 줄'''만 적혀 있어, 당시 호크룩스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도서관을 들쑤시고 있던 헤르미온느를 빡치게 만들었다. || || 급하고 곤란한 사람들을 위한 기초 공격 마법[* 구판: 바쁘고 짜증난 사람들을 위한 기본 주문] || Basic Hexes for the Busy and Vexed || 케닐워디 위스프 ||4권에서 등장. [[트라이위저드]] 시합의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찾아본 책 중 한 권이다. 즉석 탈모, 후추 입김, 뿔 혓바닥[* 구판에서는 각 차례가 책 제목인 것처럼 오역되었다. 각각 즉석에서 머리가죽 벗기기, 후추 불어넣기, 뿔 혓바닥.] 등 용을 물리치는 데 아무 도움 안 되는 정보만 포함되어 있었다. || || 길더로이 록하트의 가정 유해 생물 안내서[* 구판: 질데로이 록허트가 말하는 집안의 골칫거리 퇴치법] || Gilderoy Lockhart's Guide to Household Pests || 길더로이 록하트 ||2권에서 [[버로]]의 땅요정을 제거할 때 처음 나온다. 록하트 몰락 이후에도 몰리가 종종 보는 걸 보면 책 자체는 쓸모 있는 모양. 그러나 록하트의 성향으로 미루어볼 때 이 책에 나온 비법들도 훔친 것일 가능성이 높다. || || 깨진 구슬: 운수가 나빠질 때[* 구판: 행운이 악운으로 변할 때] || Broken Balls: When Fortunes Turn Foul || ||3권에서 등장. 해리가 플러리시 앤 블러츠 서점에서 점술 교과서를 살 때 발견한 책이다. || || 꿈의 신탁 || The Dream Oracle || 이니고 이마고 ||5권에서 등장. [[O.W.L.]] 과정의 점술 교과서이다.|| === ㄴ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나는 누구인가? || Who Am I? || 길더로이 록하트 ||영화판 한정으로, 2편 쿠키 영상에 나온다. 길더로이 록하트의-- 자뻑으로 채워졌을-- 마지막 저서. || || 늑대인간과 나돌아 다니기[* 구판: 늑대인간과 돌아다니기] || Wandering with Werewolves || 길더로이 록하트 ||2권에서 등장. 해리가 2학년일 때 어둠의 마법 방어법 교과서였다. 실제로 마을을 늑대인간으로부터 구한 사람은 아르메니아의 못생긴 고위 마법사였다. || || 나이트셰이드 마법 입문서 || The Nightshade Guide to Necromancy ||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에서 등장. [[알버스 세베루스 포터|알버스]]와 [[스코피어스 말포이|스코피어스]]가 헤르미온느의 책장을 뒤질 때 언급되는 책 중 한 권이다. || || 나의 눈 그리고 그 너머를 보는 법 || My Eyes and How to See Past Them || [[시빌 트릴로니]]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에서 등장. 헤르미온느의 책장에 있는 책 중 한 권이다. || || 내 손으로 직접 하는 빗자루 관리 안내서[* 구판: 빗자루 관리 방법] || Handbook of Do-It-Yourself Broomcare || ||3권에서 등장. 헤르미온느가 해리에게 생일 선물로 준 '빗자루 손질 용품 세트'에 포함된 책으로, 빗자루 관리 방법이 나와 있다. 해리는 [[마지 더즐리|마지 고모]]가 해리에게 막말을 할 때마다 생각을 돌리기 위해 이 책의 내용을 떠올렸다. || === ㄷ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당신의 치즈에 마법을 걸어요[* 구판: 치즈에 마법을] || Charm Your Own Cheese || 그레타 캐치러브[br]게르다 커드 ||2권에서 등장. 해리가 처음 버로우에 방문했을 때, 벽난로 위 선반에서 발견한 책이다. || || 독버섯 백과사전 || Encyclopedia of Toadstools || ||2권에서 등장. 플러리시 앤 블러츠에서 [[아서 위즐리]]와 [[루시우스 말포이]]가 싸울 때 루시우스 말포이가 눈에 맞은 책. || === ㄹ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룬문자 사전 || Rune Dictionary || ||3권에서 등장. [[룬 문자]]를 해석할 때 보는 책.|| === ㅁ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마귀할멈과의 휴일[* 구판: 마녀와 보내는 휴일] || Holidays with Hags || 길더로이 록하트 ||2권에서 등장. 해리가 2학년일 때 어둠의 마법 방어법 교과서였다. || || 마법사의 고상한 운동 || The Noble Sport of Warlocks || 퀸티우스 엄프라빌 ||퀴디치의 역사에서 언급. [[1620년]]에 쓰였다. || || 마법약 제조의 명장[* 구판: 실용 마법약] || The Practical Potioneer || ||7권에서 언급. 마법 세계의 학술지. || || 마법의 문제들[* 구판: 마법의 난제들] || Challenges in Charming || ||7권에서 언급. 마법 세계의 학술지. || || 마법의 성과들[* 구판: 마법의 업적]|| Achievements in Charming || ||5권에서 등장. 해리가 이 책으로 헤르미온느에게 문제를 내 주다가 모서리에 맞았다. || || 마법의 약[* 구판: 마법과 마법의 약] || Magical Draughts and Potion || 아시니어스 지거 ||1권에서 등장. 마법약 교과서이다. || || 마법의 역사 || A History of Magic || 바틸다 백숏 ||1권에서 등장. 마법의 역사 수업의 교과서이다. || || 마법의 유적지 || || || || || 마법학의 최근 발전상에 관한 연구[* 구판: 현대 마법의 발달 연구] || A Study of Recent Developments in Wizardry || ||1권에서 등장. 3총사가 [[니콜라 플라멜]]에 대해 알아내기 위해 찾아본 책이다. 니콜라 플라멜은 최근 인물이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이 책에 언급이 없었다. || || 마법 같은 나[* 구판: 신비한 나] || Magical Me || 길더로이 록하트 ||2권에서 등장. 길더로이 록하트의 자서전이다. || || 마법 상형문자와 기호 || Magical Hieroglyphs and Logograms || ||5권에서 등장. 고대 룬문자 연구 교과서이다. || || 마법 이론 || Magical Theory || 애덜버트 워플링 ||1권에서 등장. 1학년용 교과서. || || 마법 주문에 관한 표준 교과서[* 구판: 표준 마법서] || The Standard Book of Spells || 미란다 고스호크[* 구판에서는 고시오크라고 번역되어 있었는데, 역시 오역이었다. Goshawk를 Go/sh/ark로 나눠서 읽은 모양. 원래 음절은 Gos/hawk로 나눠서 읽어야 한다.]||1학년부터 7학년 과정까지 일반 마법 수업의 교과서다. || || 마볼로: 진실 || Marvolo: The Truth ||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에서 등장. 헤르미온느의 책장에 있는 책 중 한 권이다. 책 제목으로 봐서 볼드모트가 자신의 [[마볼로 곤트|출생의 비밀]]을 알아내려고 찾아본 책으로 추정된다. || || 몰이꾼의 성서 || The Beaters' Bible || 브루터스 스크림저[* [[루퍼스 스크림저]]의 조상일 수도 있다.] ||퀴디치의 역사에서 언급. || || 묘한 마법의 딜레마와 그 해결법[* 구판: 불가사의한 마법의 딜레마와 해결책] || Weird Wizarding Dilemmas and Their Solutions || ||4권에서 등장. 트라이위저드 시합의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찾아본 책 중 한 권이다. 곱슬곱슬한 코털을 기르는 방법이 나온다. || || 미래의 안개 걷어내기[* 구판: 미래 들여다보기] || Unfogging the Future || 카산드라 바블라츠키[* 카산드라라는 이름은 [[시빌 트릴로니]]의 선조이자 유명한 예언자였다는 '카산드라 트릴로니'의 이름과 마찬가지로 그리스 신화 속의 예언자 [[카산드라]]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며, 성인 바블라츠키는 러시아의 오컬티스트 [[엘레나 블라바츠키]]한테서 따온것으로 보인다. 작중 세계관에서 혈연이나 후손이 확실한 사람은 일반적으로 성이 같기 때문에 성이 다른 바블라츠키가 트릴로니의 선조라고 확신하기는 어렵지만, 후손이 외가로 이어지거나 결혼 때문에 성이 달라지는 경우도 많이 있고 마법사 집안에서는 조상이나 가족의 이름을 따서 짓는 경우가 많이 있어서 카산드라 바블라츠키와 카산드라 트릴로니-시빌 트릴로니 사이에 혈연관계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3권에서 등장. 점술 교과서이다. || || 미친 마법사들을 위한 무분별한 마법[* 구판: 괴짜 마법사를 위한 정신 나간 마법] || Madcap Magic for Wacky Warlocks || ||4권에서 등장. 트라이위저드 시합의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찾아본 책 중 한 권이다. || === ㅂ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방어 마법 이론[* 개정판에서는 대체로 고유 명사에 대한 번역이 일정하지만, 이 책은 7권에서는 마법 방어 이론이라 번역되었다.] || Defensive Magical Theory || 윌버트 슬링크하드 ||5권에서 등장. 해리가 5학년일 때 어둠의 마법 방어법 교과서였다. 그러나 방어법 주문은 추호도 적혀 있지 않다. 해리의 감상으로는 지루하기 그지 없는 책이라 한다. 애초에 이 책은 코닐리어스 퍼지의 미친 정책을 위해서 채택된거라 불쏘시개 그 자체라 보는게 맞는다. 이 책은 7권에서 헤르미온느가 책을 분류할 때 쓰레기통에 버려진다. || || [[밴시]]와의 휴식 시간[* 구판: 밴시와 보내는 휴식시간] || Break with a Banshee || 길더로이 록하트 ||2권에서 등장. 해리가 2학년일 때 어둠의 마법 방어법 교과서였다. 이 책에 나온 업적은, 실제로는 턱에 턱수염이 난[* 구판에서는 [[언청이]]라고 오역되었다.] 여자 마법사가 이룬 것이다. 7권에서 헤르미온느가 책을 분류할 때 이 책을 들고 고민했다.|| || [[뱀파이어]]와 항해하기[* 구판: 흡혈귀와의 여행] || Voyages with Vampires || 길더로이 록하트 ||2권에서 등장. 해리가 2학년일 때 어둠의 마법 방어법 교과서였다. || || 변신술 이론 || || ||퀴디치의 역사 서론에서, 덤블도어가 낙서했다가 머리를 얻어맞은 책이라고 나온다. || || 보편적 저주와 그 반격법[* 구판: 일반적인 저주와 대응법에 대한 개론서] || A Compendium of Common Curses and Their Counter-Actions || ||5권에서 등장. [[D.A.]] 모임을 위해 처음 [[필요의 방]] 에 들어갔을 때 구비되어 있던 책 중 한 권이다. || || 블러저 쳐내기 - 퀴디치 수비 전략에 대한 연구 || Beating the Bludgers - A Study of Defensive Strategies in Quidditch || 케닐워디 위스프 ||퀴디치의 역사에서 언급. || === ㅅ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설인]]과 보낸 365일[* 구판: 설인과 보낸 1년] || Year with the Yeti || 길더로이 록하트 ||2권에서 등장. 해리가 2학년일 때 어둠의 마법 방어법 교과서였다. || || 세계의 육식 나무들[* 구판: 세계의 식육 나무] || Flesh-Eating Trees of the World || ||6권에서 등장. N.E.W.T. 과정 약초학 교과서로 추정된다. || || 세속철학: 왜 [[머글]]들은 알고 싶어 하지 않는가 || The Philosophy of the Mundane: Why the Muggles Prefer Not to Know || 몰디커스 에그 ||영화 2편과 신비한 동물 사전에서 언급. [[1963년]]에 먼지&곰팡이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 || 숙제 알림장[* 구판: 숙제 계획서] || Homework planner || ||5권에서 등장. 헤르미온느가 해리와 론에게 준 크리스마스 선물. '나중으로 미루지 마, 이 2류 인간아!' 등 사용자를 까는 대사를 말하기도 한다. 해리는 빡친 상태에서 이 물건을 벽난로에 던져 버려야겠다고 다짐하기도 했다(…). --나 같아도 던지겠다-- || || 수비학과 문법[* 구판: 산술점] || Numerology and Grammatica || ||3권에서 등장. 숫자점 교과서이다. 헤르미온느가 책을 찾자, 론이 잘 때 읽으려고 빌렸다며 디스한다. 이 책은 7권에서 헤르미온느가 책을 분류할 때 두고 갈 책으로 분류된다. || || 숫자점의 새로운 이론[* 구판: 수비학의 새로운 이론] || New Theory of Numerology || 루카스 캐러조스 ||5권에서 등장. 해리가 헤르미온느에게 준 크리스마스 선물. || || 쉽게 익히는 고대 룬문자[* 구판: 고대 문자는 쉽게 만들어졌다. 이것은 오역이다. made easy 부분이 runes를 수식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대충 번역한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그냥 고대 문자가 아니라 고대 '''룬''' 문자라는 것도 무시했다. 번역명대로라면 원문이 "Ancient Runes '''Were''' Made Easy" 정도로 되어야 한다.] || Ancient Runes Made Easy || 로렌주 ||2권에 처음 나온다. 헤르미온느가 고대 룬 문자 연구 수업을 듣기 위해 예습용으로 읽은 듯. || || 스네이프: 악당인가 성자인가? || Snape: Scoundrel or Saint? || [[리타 스키터]] ||블룸즈베리 라이브 채팅에서 롤링이 언급했다. [[세베루스 스네이프]]의 전기로, 악당 쪽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것이다. || || 스펠먼의 룬문자 읽기[* 구판: 주술사의 문자표] || Spellman's Syllabary || 로재너 어모림[br]스펠먼 ||5권에서 등장. 5학년용 고대 룬문자 연구 교과서로 보인다. 이 책은 7권에서 헤르미온느가 책을 분류할 때 가지고 갈 책으로 분류된다. 나중에는 음유시인 비들 이야기를 번역할 때 사용된다. || || '''[[신비한 동물사전]]'''[* 구판: 기이한 짐승들과 그것들을 찾을 수 있는 장소] || Fantastic Beasts and Where to Find Them || [[뉴트 스캐맨더]] ||1권에서 등장. 1학년용 교과서. 옵스큐러스북스에서 1927년 출간되었다. 머글 세계에서도 출판되었다. 영국에서는 2017년, 한국에서는 2018년 개정판이 출간되었는데, 내용은 더 추가됐을지 모르지만 기존의 웃음 포인트였던 3총사의 낙서가 모두 삭제되었다. || || 실용적 방어 마법과 어둠의 마법에 대항한 그 활용법[* 구판: 실용 방어 마법과 사용법] || Practical Defensive Magic and Its Use Against the Dark Arts || ||5권에서 등장. [[시리우스 블랙]]과 [[리무스 루핀]]이 [[해리 포터|해리]]에게 준 크리스마스 선물. 움직이는 컬러 삽화가 들어가 있어서, 해리는 D.A. 활동에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7권에서 해리가 [[엘파이어스 도지]]가 쓴 추도문을 보관하는 데 사용된다. || || 심연에 서식하는 섬뜩한 생물들[* 구판: 깊은 바다에 사는 무시무시한 생물들] || Dreadful Denizens of the Deep || ||4권에서 등장. 트라이위저드 시합의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찾아본 책 중 한 권이다. || === ㅇ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아만도 디핏: 천재인가 천치인가?[* 구판: 아르만도 디펫 : 대가? 혹은 바보?] || Armando Dippet: Master or Moron? || 리타 스키터 ||7권에서 언급. 호그와트의 전임교장이었던 [[아만도 디핏]]의 전기로, 알버스 덤블도어의 삶과 사기들 표지에서 저자를 소개하며 언급된 책이다. 스키터의 다른 전기와 마찬가지로 천치 쪽에 무게를 둔 책일 것이다.|| || 알버스 덤블도어의 삶과 사기들[* 구판: 알버스 덤블도어의 삶과 거짓말] || The Life and Lies of Albus Dumbledore || 리타 스키터 ||7권에서 등장. 7편에서 새로 밝혀진 덤블도어의 삶을 생각하면 묘한 제목이다. || || 알에서부터 불지옥까지: 용 사육을 위한 안내서[* 구판: 알에서부터 지옥까지, 용 파수꾼의 안내서] || From Egg to Inferno: a Dragon-Keeper's Guide || 이그니스 내기 ||1권에서 등장. [[해그리드]]가 용을 기르기 위해 읽고 있던 책이다. || || 어느 마법사의 소네트[* 구판,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 어느 마법사의 시] || Sonnets of a Sorcerer || ||2권에서 언급. 론이 '읽는 것을 그만둘 수 없는 책'과 함께 '위험한 마법책'의 예로 이 책을 언급했다. 이 책을 읽은 사람은 죽을 때까지 모든 말을 리머릭(5행 시구의 일종) 형식으로밖에 말할 수 없다고 한다.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에서 헤르미온느의 책장에도 꽂혀 있었다. || || 어둠의 마법, 그 흥망성쇠[* 구판: 어둠의 마법의 번영과 몰락] || The Rise and Fall of the Dark Arts || ||1권에서 등장. 헤르미온느가 해리와 볼드모트 사이의 일을 이 책에서 읽었다고 말한다. 이 책은 7권에서 헤르미온느가 책을 분류할 때 가지고 갈 책으로 분류된다. || || 어둠의 마법 뒤통수 치기[* 구판: 어둠의 마법 허점 찌르기] || The Dark Arts Outsmarted || ||5권에서 등장. D.A. 모임을 위해 처음 필요의 방 에 들어갔을 때 구비되어 있던 책 중 한 권이다.|| || 어둠의 힘 : 자기 방어를 위한 안내서 || The Dark Forces: A Guide to Self-Protection || 퀜틴 트림블 ||1권에서 등장. 어둠의 마법 방어법 교과서이다. || || 어떤 빗자루?[* 구판: 빗자루의 모든 것/어느 빗자루?/빗자루 고르기] || Which Broomstick? || ||3권에서 등장. 패션 잡지와 같이 빗자루를 광고 및 소개하는 잡지. 맨 뒤에 주문서가 동봉되어 있다고 한다. 퀴디치의 역사에서도 언급된다. || || 얼굴 없는 자들과 대결하는 법[* 구판: 정체불명인 것들과의 대면] || Confronting the Faceless || ||6권에서 등장. 해리가 6학년일 때 어둠의 마법 방어법 교과서였다.|| || 여자 마법사들을 매혹시키는 열두 가지 확실한 방법[* 구판: 마녀를 유혹하는 12가지 확실한 방법] || Twelve Fail-Safe Ways to Charm Witches || ||7권에서 등장. 론이 해리에게 17번째 생일 선물로 주었다. 론 본인이 여기 나온 방법들을 통해 헤르미온느의 마음을 확실히 얻을 수 있었으며, 여자에 대해 예전보다 많이 이해하게 된 듯하다. || || [[영국]]과 [[아일랜드]]의 용[* 구판: 영국과 아일랜드의 용 종류] || Dragon Specie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 ||1권에서 등장. 해그리드가 용을 기르기 위해 읽고 있던 책이다. || || 영국과 아일랜드의 퀴디치 팀들[* 구판: 영국과 아일랜드의 퀴디치 팀] || Quidditch Teams of Britain and Ireland || 미로 리머스[br]루카스 카러서스 ||5권에서 등장. 헤르미온느가 해리에게 준 크리스마스 선물. 7권에서 헤르미온느가 책을 분류할 때 이 책을 들고 고민했다.|| || 영국 머글들의 가정생활과 사회적 관습[* 구판: 영국 머글들의 가정생활과 사회적 습관] || Home Life and Social Habits of British Muggles || 윌헬름 위그워디 ||3권에서 등장. 헤르미온느가 머글학 숙제로 읽고 있었다. || || 예측할 수 없는 것 예측하기 : 충격에서 나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 구판: 예측할 수 없는 것들 예측하기 : 충격과 낙담에 대비하세요] || Predicting the Unpredictable: Insulate Yourself Against Shocks || ||3권에서 등장. 해리가 플러리시 앤 블러츠 서점에서 점술 교과서를 살 때 발견한 책이다. || || 용을 지나치게 사랑하는 사람들[* 구판: 너무나 용을 사랑한 사람들] || Men Who Love Dragons Too Much || ||4권에서 등장. 트라이위저드 시합의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찾아본 책 중 한 권이다. || || 우리 시대의 주목할 만한 마법계 인물 백과[* 구판: 우리 시대의 주목할 만한 마법사들] || Notable Magical Names of Our Time || ||1권에서 등장. 3총사가 니콜라 플라멜에 대해 알아내기 위해 찾아본 책이다. || || 유럽 마법 교육의 평가[* 구판: 유럽의 마법 교육 평가서] || An Appraisal of Magical Education in Europe || ||4권에서 등장. [[보바통]]과 [[덤스트랭]] 등 영국이 아닌 다른 [[유럽]]의 마법학교에 대해 나와 있다. 7권에서 헤르미온느가 책을 분류할 때 이 책을 들고 고민했다.|| || '''[[음유시인 비들 이야기]]'''[* 구판: 방랑시인 비들의 이야기] || The Tales of Beedle the Bard || ||7권에서 등장. 덤블도어가 헤르미온느에게 남긴 유품이다. 원문은 룬 문자로 되어있으며 후에 헤르미온느가 영어로 번역하여 머글 세계에서도 출판되었다. 이야기 중 삼 형제 이야기는 중요한 소재가 된다.|| || 일반적인 마법 질병과 통증[* 구판: 일반적인 마법사 질병과 통증] || Common Magical Ailments and Afflictions || ||4권에서 언급. 헤르미온느가 그의 흉터에 관해 할 것 같은 조언에 관한 상상 중 언급된 책이다. 해리는 그 책에 그의 흉터에 대한 치료법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 임페리우스 저주와 그것을 남용하는 방법 || The Imperius Curse and How to Abuse It ||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에서 등장. 헤르미온느의 책장에 있는 책 중 한 권이다. || || 입문자를 위한 변환 마법[* 구판: 초보자를 위한 변신술 지침서] || A Beginner's Guide to Transfiguration || 에머릭 스위치 ||1권에서 등장. 1~2학년용 변환 마법 교과서. 2권에서 루시우스 말포이가 지니의 이 교과서 사이에 [[볼드모트|리들]]의 일기장을 끼워 둔다.|| === ㅈ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자기 방어를 위한 주문 || Self-defensive Spellwork || ||5권에서 등장. D.A. 모임을 위해 처음 필요의 방 에 들어갔을 때 구비되어 있던 책 중 한 권이다. || || 저주당한 사람들을 위한 저주 마법[* 구판: 저주받은 자를 위한 저주] || Jinxes for the Jinxed || ||5권에서 등장. D.A. 모임을 위해 처음 필요의 방 에 들어갔을 때 구비되어 있던 책 중 한 권이다. 여러 권의 책 중 헤르미온느가 선택해 읽은 책이다. || || 저주와 저주 해제[* 구판: 저주 내리기와 저주 풀기] || Curses and Counter-Curses || 빈딕터스 비리디언 ||1권에서 등장. "친구들에게 마법을 걸고, 최신 복수 마법으로 적들의 혼을 빼놓으세요. 탈모, 흐느적 다리, 혀 묶기, 그 밖에도 아주아주 많은 저주 마법이 실려 있습니다"라는 문구로 해리를 사로잡았다.|| || 전에는 몰랐던 능력과 그 능력을 알게 된 지금 당신이 해야 할 일[* 구판: 당신도 모르는 당신의 능력, 그리고 이를 깨달았을 때 할 일] || Powers You Never Knew You Had and What To Do With Them Now You've Wised Up || ||4권에서 등장. 트라이위저드 시합의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찾아본 책 중 한 권이다. || || 제5원소: 어떤 탐구[* 구판: 물질의 정수 : 탐구] || Quintessence: A Quest || ||6권에서 등장. N.E.W.T. 과정 일반 마법 참고서이다. || || 제빵의 마법[* 구판: 빵 구울 때 마법 걸기] || Enchantment in Baking || ||2권에서 등장. 해리가 처음 버로에 방문했을 때, 벽난로 위 선반에서 발견한 책이다. || || 조류인가 오류인가? 히포그리프의 야만성 연구[* 구판: 가금인가 아닌가? 히포그리프의 야만성 연구. '가금'이란 단어가 주 독자층인 어린이들에게는 생소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가금이란 [[닭]]이나 [[오리]]처럼 인간이 기르는 [[새|조류]]를 말한다. '금'이 곧 '금수' 할 때의 금으로 날짐승을 의미. 집에서 키우는 네발 짐승을 가'축'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집에서 키우는 새는 가'금'이라고 부르는 것.] || Fowl or Foul? A Study of Hippogriff Brutality || ||3권에서 등장. 히포그리프 [[벅빅]]의 재판을 위해 론이 도서관에서 찾아본 책 중 한 권이다.|| || 중급 변환 마법[* 구판: 중급 변신술] || Intermediate Transfiguration || ||3권에서 등장. 3~5학년용 변환 마법 교과서. || || 중세 마법 안내서 || A Guide to Medieval Sorcery || ||4권에서 등장. 트라이위저드 시합의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찾아본 책 중 한 권이다. || || 죽음의 징조 : 최악의 상황이 닥쳐온다는 것을 알았을 때 해야 할 일[* 구판: 죽음의 징조 : 최악의 운명이 다가오고 있다는 걸 알 때 어떻게 할 것인가] || Death Omens: What to Do When You Know the Worst is Coming || ||3권에서 등장. 해리가 플러리시 앤 블러츠 서점에서 점술 교과서를 살 때 발견한 책이다. 표지에 죽음의 개가 나와 있어 해리의 시선을 뺏었다. || || 즐거움도 주고 돈벌이도 되는 용 기르기 || Dragon Breeding for Pleasure and Profit || ||1권에서 등장. 해그리드가 용을 기르기 위해 읽고 있던 책이다. 용의 알을 구분하는 방법과 용을 기를 방법이 적혀 있다. 다만 마법사 법률 상 용은 사육이 불법인데 어째서 폐기처분하지 않았는 지가 불명.|| || 지중해의 마법 수생식물과 그 특성[* 구판: 지중해의 신비한 수초들과 그 특성] || Magical Mediterranean Water-Plants and Their Properties || 헤이드리언 휘틀 ||4권에서 등장. [[바티미어스 크라우치 2세|무디 교수]]가 [[네빌 롱보텀|네빌]]에게 빌려 준 책이다. 아가미풀에 관해 적혀 있으므로, 네빌이 해리에게 도움이 되게끔 하려는 의도로 빌려 준 것이다. || === ㅊ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최강의 마법약[* 구판: 모스테 포텐트 마법의 약. Moste Potente는 그냥 Most Potent(가장 강력한)의 고어식 표현이다. 16-17세기 영어는 아직 스펠링이 완전히 정립되지 않았을때라 저렇게 표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다고 '모스테'라고 읽는 건 아니기 때문에 구판에서 모스테 포텐트 마법의 약이라고 번역했던 것은 오역이다. [[포터모어]]에는 Most potent라고 써져 있기도 하다.] || Moste Potente Potions || 피니어스 본 ||2권에서 등장. 도서관 제한구역에 있다. 작중 묘사에 따르면 책에 소개되어 있는 마법약은 너무 끔찍한 효과를 갖고 있었으며, 몸 안팎이 뒤집힌 모습의 남자와 머리에서 팔 몇 개가 돋아난 여자 마법사를 포함해 [[혐짤|아주 기분 나쁜 삽화]]도 몇 장 있는 것으로 나온다. 록하트 교수가 대충 둘러댄 이유를 듣고 서명을 해 줘서 빌릴 수 있었다. || || 치유사의 조력자[* 구판: 치료사의 도우미] || The Healer's Helpmate || H. 폴링토니어스 ||6권에서 등장. 멍, 베인 상처, 찰과상 등의 치료법이 적혀 있다. 몰리 위즐리가 헤르미온느의 멍을 치료하기 위해 봤다. || === ㅋ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캐넌스와의 비행[* 구판: 대포와 함께 날기/처들리 캐논 팀과의 비행] || Flying with the Cannons || 줄리어스 디호프 ||2권에서 등장. 론이 해리에게 준 크리스마스 선물이다. 퀴디치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는 책이라 해리가 즐겨 읽었다. || || '''[[퀴디치의 역사]]'''[* 구판: 오랫동안 이어 온 퀴디치] || Quidditch Through the Ages || 케닐워디 위스프 ||1권에서 등장. 비행을 두려워하던 헤르미온느가 도서관에서 빌려 왔던 책이며, 해리도 읽어 보고 굉장히 재밌다고 생각했다. [[퀴디치]]의 역사와 규칙 등이 매우 상세하게 적혀 있다. 위즈하드북스에서 1952년 출간되었다. 머글 세계에서도 출판되었다.[* 출판본 앞에 빌려간 사람들의 이름과 날짜가 적혀있는데, 작가의 실수인지 7~8월에도 빌려간 사람이 있다(…). 호그와트 도서관은 개방한다는 설정일지도 모르나... --솔찍히 동네 학교도 아니고 누가 책 빌리러 거기까지-- --거기까지 갈 거면 차라리 산다. 만원도 안 하는데...-- ] || === ㅌ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타고난 고귀함 : 마법사 계보학[* 구판: 타고난 고귀함 : 마법사들의 계보학] || Nature's Nobility: A Wizarding Genealogy || ||5권에서 등장. 시리우스가 집안 청소하다 나온 이상한 은제 기구를 짓뭉개버리는데 사용했다. 7권에서 헤르미온느가 페버럴이라는 이름은 이 책에서밖에 보지 못했다고 언급한다.|| || 털투성이 주둥이, 인간의 심장 || Hairy Snout, Human Heart || 익명 ||신비한 동물사전에서 언급. 위즈하드북스에서 1975년 출간되었다. 늑대로 변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한 마법사의 필사적인 싸움이 감동깊게 그려져 있다고 한다. || || 투명에 관한 투명책[* 구판: 눈에 보이지 않는 투명책] || The Invisible Book of Invisibility || ||3권에서 언급. 책이 비싼데 보이지 않아 점원이 고생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도 괴물들에 관한 괴물책보다는 나았다고... 이 책은 투명 마법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는데, 어떻게 읽을 수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한다. || || 트롤과의 일상 탈출[* 구판: 트롤과의 여행] || Travels with Trolls || 길더로이 록하트 ||2권에서 등장. 해리가 2학년일 때 어둠의 마법 방어법 교과서였다. 이 책은 7권에서 헤르미온느가 책을 분류할 때 두고 갈 책으로 분류된다. || === ㅍ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피를 나눈 형제들: 뱀파이어와 함께한 나의 삶[* 구판: 피의 형제들 : [[뱀파이어]]의 함께 한 나의 인생] || Blood Brothers: My Life Amongst the Vampires || 엘드리드 워플 ||6권에서 등장. 슬러그혼 교수의 파티에 참석한 엘드리드가 같이 참석한 상귀니 등의 뱀파이어와 함께한 삶에 대해 적은 책이다. || === ㅎ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현대 마법의 역사 || Modern Magical History || ||1권에서 등장. 헤르미온느가 해리와 볼드모트 사이의 일을 이 책에서 읽었다고 말한다.|| || 현대의 중요한 마법적 발견들[* 구판: 현대의 중요한 마술적인 발견들] || Important Modern Magical Discoveries || ||1권에서 등장. 3총사가 니콜라 플라멜에 대해 알아내기 위해 찾아본 책이다. || || 호그와트의 역사[* 구판: 호그와트, 그 역사] || Hogwarts: A History || 바틸다 백숏 ||호그와트의 역사와 여러 가지 이야기들이 기록되어 있다. 헤르미온느가 해리와 론에게 언제 읽을 거냐고 늘 물어보지만 그 둘은 절대 읽지 않으며, 특히 론은 헤르미온느가 전부 외우고 있기 때문에 읽을 필요가 없다고 대수롭지 않다는 듯 대꾸했다. || || 히포그리프 심리 안내서[* 구판: 히포그리프의 심리학] || The Handbook of Hippogriff Psychology || ||3권에서 등장. 히포그리프 벅빅의 재판을 위해 론이 도서관에서 찾아본 책 중 한 권이다. || === 기타(숫자 등) === || 제목 || 원문 || 저자 || 설명 || || 1분 진수성찬ㅡ그것은 마법이다![* 구판: 1분 안에 만들 수 있는 맛있는 음식들 ㅡ 그게 바로 마법이다!] || One Minute Feasts ㅡ It's Magic! || ||2권에서 등장. 해리가 처음 버로에 방문했을 때, 벽난로 위 선반에서 발견한 책이다. || || 18세기 마법 선집[* 구판: 18세기 마법 모음집] || An Anthology of Eighteenth Century Charms || ||4권에서 등장. 트라이위저드 시합의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찾아본 책 중 한 권이다. || || 1,000가지 마법 약초와 버섯[* 구판: 1,000가지 마법의 약초와 곰팡이] || One Thousand Magical Herbs and Fungi || 필리다 스포어 ||1권에서 등장. 약초학 교과서이다. || || 20세기의 위대한 마법사들[* 구판: 20세기의 위대한 마법사] || Great Wizards of the Twentieth Century || ||1권에서 등장. 3총사가 니콜라 플라멜에 대해 알아내기 위해 찾아본 책이다. || || 20세기 엄청난 마법 사건들 || Great Wizarding Events of the Twentieth Century || ||1권에서 등장. 헤르미온느가 해리와 볼드모트 사이의 일을 이 책에서 읽었다고 말한다. || [[분류:해리 포터 시리즈/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