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클래시 오브 클랜의 해골 통, rd1=해골 통(클래시 오브 클랜))] [include(틀:클래시 로얄/카드)] [목차] ||[youtube(JKe6BY38Z9U, width=360, height=320)]||[youtube(U3io23q-Gk8, width=360, height=320)]|| || 글로벌 || 영미권[* 10초 쯤에 골렘, 삼총사, 바바리안 오두막이 해골 통과 같이 있다. 더불어 다음 카드에 페카도 있다. 이런 덱을 쓴다는 것은 아마 이 모드가 트리플 또는 더블 엘릭서라는 것을 추측해볼 수 있다.] || ||<-5> '''{{{#fff 모던 로얄}}}''' || || [[치유 마법(클래시 로얄)|† 치유 마법]][br][[암흑 마녀]][br][[박쥐(클래시 로얄)|박쥐]][br][[도둑(클래시 로얄)|도둑]] ||<|2> → || [[대포 카트(클래시 로얄)|대포 카트]][br][[메가 나이트]][br] [[플라잉 머신(클래시 로얄)|플라잉 머신]][br]'''{{{#000,#e5e5e5 해골 통}}}''' ||<|2> → || [[감전돌이]][br][[사냥꾼(클래시 로얄)|사냥꾼]][br][[로얄 고스트]] || == 개요 == ||<-2> {{{#fff '''{{{+2 해골 통}}}[br]Skeleton Barrel'''[br]^^'''骷髅气球[* 해골 풍선]/スケルトンバレル'''^^ }}} || ||<-2> [[파일:clash royale-skeleton barrel.png|width=125]] || || 이 카드가[br]잠금 해제되는 [[클래시 로얄/아레나| {{{#000 아레나}}}]]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Jungle_Arena.png|width=100]] || || 아레나 9 || 정글 아레나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하늘에서 해골 파티가 열립니다! 풍선이 모두 터지면 이제 땅 위에서 해골 파티를 열 차례죠! >---- >It's a Skeleton party in the sky, until all the ballons pop... then it's a Skeleton party on the ground!}}} || 해골 수[br][[파일:external/ad4c6cd307bb9c6e1f742e510216117d40e099258ad8a368efe01b47ce817abb.png|width=40&height=40]] || 공격 대상[br][[파일:클래시 로얄 공격 대상.png|width=40&height=40]] || 속도[br][[파일:external/8ddd15b94f75b0dc7e3c914385323411781c75dff7c3710fb48c5aae98824acc.png|width=40&height=40]] || 엘릭서 비용[br][[파일:클래시 로얄 엘릭서.png|width=40&height=40]] || 희귀도[br][[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RarityIcon.png|width=40&height=40]] || 유형[br][[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ardTypeIcon.png|width=40&height=40]] || || x7 || 건물 || 빠름 || 3 || 일반 || 유닛 || 해골 병사들이 들어있는 통으로, 고블린 통처럼 통 자체를 던지는 마법이 아닌 유닛이다. 자체 공격력은 없지만 건물에 도달하거나 체력이 0이 되면 데스 데미지와 함께 해골 병사들이 투하된다. == 레벨별 스탯 == || 레벨[br][[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LevelIcon.png|width=30&height=30]] || 체력[br][[파일:external/4060f7343758ccdcad3dcb1dfe716461c7841e4d9e66d0aaba611395157335ca.png|width=30&height=30]] || 데스 피해량[br][[파일:crdeathdamage.png|width=30&height=30]] || 해골 레벨[br][[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LevelIcon.png|width=30&height=30]] || || 1 || 208 || 52 || 1 || || 2 || 228 || 57 || 2 || || 3 || 251 || 62 || 3 || || 4 || 276 || 69 || 4 || || 5 || 303 || 75 || 5 || || 6 || 332 || 83 || 6 || || 7 || 366 || 91 || 7 || || 8 || 401 || 100 || 8 || || 9 || 440 || 110 || 9 || || 10 || 484 || 121 || 10 || || '''11''' || '''532''' || '''133''' || '''11''' || || 12 || 584 || 146 || 12 || || 13 || 642 || 160 || 13 || || 14 || 705 || 176 || 14 || || 15(반사경) || 773 || 193 || 15 || 해골 병사의 능력치는 [[해골 병사#s-2|이 문서로.]] == 성능 == 건물에 도달하거나 체력이 모두 떨어지면 통이 떨어지는 효과와 동시에 데스 데미지와 함께 1초 후 그 자리에서 해골 군대의 절반 정도의 해골들이 나온다. 데스 피해량이 동렙 창 고블린의 체력과 같기 때문에 창 고블린, 해골 병사, 박쥐를 한방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해골 비행선처럼 건물 바로 위에서 통이 떨어지지는 않고 가장자리에서 떨어진다. 순환덱에서는 어차피 터지면 끝인지라 해골 통을 탱킹용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또한, 난전 속에 보내서 유닛들의 발을 잠시 묶거나 전진을 늦추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반사경, 복제 마법과의 궁합이 좋다. 보통 해골 통이 터져 해골이 나온 직후 마법을 써서 막는데, 반사경과 복제 마법을 사용하면 2개의 해골 통이 연속으로 떨어져 대응하기 매우 어렵다. 미리 터뜨리면 해골들을 처리하기 어렵고, 모두 터진 후에 처리하자니 그 사이에 타워에 엄청난 피해가 들어간다. 광부와의 시너지 또한 좋다. 해골 통이 탱킹을 하는 동안 광부가 타워를 공격하고 해골 통이 터지면 타워의 어그로가 광부에 끌려 해골들이 타워를 공격하거나 해골 통이 터지는 타이밍에 광부를 보내서 탱킹을 하는 식으로 많이 쓰인다. 그 외에도 상대방이 광역 원딜러로 해골 통을 수비할 경우 광부를 해골 통이 터지는 타이밍에 원딜러 쪽으로 보내서 상대방의 유닛의 어그로를 광부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 장단점 === ||<:> '''{{{#white 장점}}}''' || || * '''높은 건물 공격 능력''' 해골 병사의 DPS가 상당히 높아 공격을 허용하면 상대방의 프린세스 타워나 아레나 중앙의 건물의 체력을 많이 깎을 수 있다. 게다가 해골이 나오자마자 곧바로 공격에 돌입하기 때문에 막을 타이밍을 맞추기가 여간 쉽지만은 않으며, 넉백 때문에 근접 유닛으로 막으려 해도 한 번은 공격하게 된다. 마법으로만 막는다고 해도 데스 데미지는 무조건 허용해야 한다. ---- * '''좋은 자체 수비 능력''' 상대방의 유닛들이 몰려올 때 해골 통을 놓아서 발을 묶을 수도, 데스 데미지를 입혀 물량 유닛을 견제할 수도 있다. ---- * '''뛰어난 마법 유도성''' 3코스트로 저렴한데다 해골들이 타워 바로 앞에 모이면 고블린 통 이상으로 타워의 체력을 깎는다. 따라서 사실상 상대방의 마법 사용을 강요할 수 있다. ---- * '''보조 공격 카드로서의 활용성''' 보통은 공격 카드(적의 타워 공격을 위한 핵심 카드)는 1장에서 많으면 2장까지 넣지만 해골 통은 부담 없이 두 번째 공격 카드로 넣기 쉽다. 다른 공격 카드는 수비 기여도가 낮지만 해골 통은 수비 시 탱킹도 할 수 있으며, 터지면서 나오는 해골로 수비할 수도 있다. 공격 시 탱킹용으로 쓰거나 탱커 뒤에 배치해 타워를 공격하는 용도로 써도 좋다. 공격 능력이 애매한 덱에 넣어서 공격을 보조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 ||<:> '''{{{#white 단점}}}''' || || * '''낮은 체력''' 체력이 도전 레벨 기준 532로 낮아서 대공 유닛 하나만으로도 해골 통과 해골 병사를 처리할 수 있다. ---- * '''마법에 취약''' 해골 병사는 웬만한 공격에 한방이기 때문에 해골 통에서 해골들이 나오자마자 감전 마법 같은 라이트 스펠을 사용하면 해골들을 깔끔하게 처리한다. 물론 마법은 최소 2코스트이므로 최소 1코스트 손해밖에 보지 않지만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전투에 매우 치명적이다. ---- * '''불안정한 공격''' 마법과 대공 유닛 이외에도 해골 통이 상당히 가볍고 어그로가 잘 끌리기 때문에 건물 카드, 토네이도, 거대 눈덩이로도 카운터칠 수 있다. 고블린 통은 마법을 제외하고는 거의 막기가 어려운 편이지만 해골 통은 자신의 진영에서 적 진영으로 실어서 오기 때문에 공격을 하기 전에 쉽게 없어진다. || == 변천사 == 2017년 6월 12일 패치로 [[플라잉 머신(클래시 로얄)|플라잉 머신]], [[대포 카트(클래시 로얄)|대포 카트]], [[메가 나이트]]와 함께 공개되었으며, 이후 출시가 계속 미뤄지다가 할로윈 날 딱 맞추어 할로윈 도전으로 선공개되었다. 정식 출시일은 11월 17일로 늦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감전돌이, 사냥꾼과 같이 나온 카드라고 봐도 괜찮을 정도다. 마찬가지로 위의 두 유닛과 같이 공개된 로얄 고스트 역시 앞서 말한 카드보다 더 늦게 나왔으므로 마법 아처와 함께 출시된 카드라고 봐도 상관없다. 처음 출시되었을 때는 평가가 별로 좋지 않았다. 해골이 나와도 광역 마법으로 정리당하는 것은 둘째치고 공격 속도가 빠른 대공 유닛에도 쉽사리 처리당했던 것이 문제다. 특히 그 당시 여기저기에 널려있던 박쥐가 가장 거슬렸다. 이 때문에 안정성 면에서 고블린 통의 하위호환이라는 소리까지 들었다. 하지만 2017년 12월 11일 패치로 데스 데미지가 추가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데스 데미지는 얼음 골렘 정도의 소량이지만 하드 카운터인 박쥐를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고, 고블린, 미니언 등의 위니 유닛도 감전 마법 등을 쓰면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해골 통을 최소한의 피해로 수비하려면 마법을 써야 하게 되고, 당시에는 박쥐 때문에 감전 마법을 들고 다니는지라 창 고블린, 박쥐 등 감전 마법을 써야 할 곳이 상당히 많았기에 공격 성공률이 대폭 올라가고 엘릭서 이득을 쉽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이 패치 이후로 OP 카드 내지는 그 이하로 평가받고 있으며, 광부와의 조합이 개발되며 광부 + 해골 통 덱이 메타권에 들었다. 결국 2018년 2월 12일 패치로 해골이 6기로 줄어드는 너프를 먹었다. 딜량이 줄어들었을 뿐더러 해골이 더욱 뭉쳐서 소환되기에 광역 공격 유닛에 카운터당하기 더욱 쉬어졌다. 이 때문에 같은 날 다크 프린스의 상향으로 다크 프린스의 채용률이 많이 높아지자 메타에서 모습을 감췄다. 2018년 4월 25일 패치로 소환되는 해골이 1기 증가했는데, 그 덕에 떨어졌던 입지를 어느 정도 다시 되찾았다. 이후로도 메타 카드는 아니지만 꾸준히 적당한 사용률을 자랑하고 있다. 2020년 4월 패치로 체력이 약간 감소하는 대신 이동속도가 빨라져서 프린세스 타워에 도달하기 쉬워졌으며, 이 패치 이후로 랭커들도 자주 쓰게 되었다. 예전과 마찬가지로 광부와의 조합이 많이 쓰이고 있다. == 업데이트 내역 == 해골 병사의 [[해골 병사#s-5|업데이트 내역]]도 참조. * 2017/12/11 패치로 데스 데미지가 추가되었다. (버프) * 2018/2/12 패치로 터졌을 때 나오는 해골의 수가 기존 8기에서 6기로 감소하였다. (너프) * 2018/4/24 패치로 터졌을 때 나오는 해골이 6기에서 7기로 증가하였다. (버프) * 2018/11/2 패치로 데스 피해량이 62% 증가하였다.[* 해골 비행선 데스 피해량 105% 증가와 뇌전탑, 로얄 자이언트 피해량 41,60% 증가 패치와 함께 30%를 넘은 패치 중 하나가 되었다.][* 이 패치로 창 고블린을 한방에 처리할 수 있다.] (버프) * 2020/4/7 패치로 이동속도가 빠름이 되었으며, 체력이 15% 감소하였다. (버프/너프)[* 이제 동렙 파이어 볼에 한방이다. 그 대신 이동속도가 빨라지고 일반적으로 해골 통을 파이어 볼로 수비하는 유저는 없기에 결과적으로는 상향된 셈이다.] * 2021/6/7 패치로 해금 위치가 아레나 6에서 아레나 12로 변경되었다. * 2022/10/26 패치로 해금 위치가 아레나 12에서 아레나 9로 변경되었다. == 같이 사용하면 좋은 카드 == * 광부: 해골 통이 터지기 전에 광부를 보내 해골 통이 터지면 광부가 탱킹을 하고 해골들이 딜을 넣는 식의 운용을 할 수 있다. * 해골 비행선: 해골 비행선 뒤에 소환하면 해골 비행선의 이동 속도를 올릴 수 있고 해골 비행선이 탱킹을 하는 동안 해골통을 터트려 해골들이 딜을 오래 넣을 수 있어 일석이조가 된다. 하지만 엘릭서 비용이 엄청나기 때문에 적이 골렘같은 엘릭서 비용이 큰 유닛을 넣을때 사용하면 좋다. * 고블린 통: 해골 통을 소환하는 동시에 고블린 통을 던지면 해골 통이 탱킹은 하는 동안 고블린이 딜을 넣고 해골 통이 터지면 고블린이 탱킹을 하고 해골들이 딜을 넣는 테크닉을 쓸 수 있다. 잘 들어가면 1크라운 정도는 가뿐히 딸 수 있지만 상대방이 바보가 아닌 이상 무조건 막으므로 평소에는 마법 유도용으로 쓰다가 상대방이 반대쪽 라인으로 공격을 갈 때 보내서 타워에 큰 데미지를 입히거나 최소한 엘릭서를 분산시킬 수 있다. * 복제 마법: 해골 통이 터지기 전에 복제하면 떨어지는 타이밍이 서로 달라서 마법으로 막기 애매해진다. * 토네이도: 데스 데미지와 해골을 활용해 적 진영의 아처나 머스킷병 등 단일 유닛을 끌어들여 타워와 유닛 동시에 딜을 넣을 수 있다. == 카운터 카드 == 해골 통의 경우 통이 터지면서 나오는 해골들이 타워에 큰 피해를 입히므로 해골들을 최대한 신속하게 처리해야 제대로 막아낼 수 있다. 이동속도도 빨라서 공격을 받아 터지기 전에 타워에 도달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해골 통이 타워에 붙지 못하게끔 하거나 타워가 해골들의 공격을 받기 전에 처리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해골 무덤|[[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ombstoneCard.png|height=60]]]][br][[해골 무덤|{{{#fff '''해골 무덤'''}}}]] || || 해골 통의 어그로를 끌어서 동코스트로 최대한 깔끔하게 수비할 수 있다. 비록 데미지가 낮긴 해도 결국 누적 데미지가 되는 데스 데미지를 입을 필요도, 마법을 사용할 필요도 없이 동코스트 교환이 되므로 가장 효율적이다. || || [[토네이도(클래시 로얄)|[[파일:clash royale-tornado.png|height=60]]]][br][[토네이도(클래시 로얄)|{{{#fff '''토네이도'''}}}]] || || 해골 통을 타워로부터 멀리 떨어뜨리면서 통이 터지고 나오는 해골들까지 처리하며, 해골 통 주변에 오는 물량 유닛들도 세트로 견제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통이 아레나 안쪽으로 올 경우 위치와 타이밍을 잘 맞추면 킹 타워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 || [[감전 마법|[[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ZapCard.png|height=60]]]][br][[감전 마법|{{{#fff '''감전 마법'''}}}]] || [[거대 눈덩이|[[파일:clash royale snow ball.png|height=60]]]][br][[거대 눈덩이|{{{#fff '''거대 눈덩이'''}}}]] || [[바바리안 통|[[파일:clash royale-barbarian barrel.png|height=60]]]][br][[바바리안 통|{{{#fff '''바바리안 통'''}}}]] || [[통나무(클래시 로얄)|[[파일:clash royale-the log.png|height=60]]]][br][[통나무(클래시 로얄)|{{{#fff '''통나무'''}}}]] || ||<-4> 해골 통이 타워에 도달한 다음 나오는 해골들을 낮은 코스트로 깔끔하게 처리한다. 다만, 해골 통은 대부분 라이트 스펠 사용을 유도하는 다른 카드들과 같이 운용하기 때문에 마법을 신중하게 써야 한다. || || [[파이어 스피릿|[[파일:clash royale-fire spirit.png|width=60]]]][br][[파이어 스피릿|{{{#fff '''파이어 스피릿''' }}}]] || [[아이스 스피릿|[[파일:clash royale-ice spirit.png|width=60]]]][br][[아이스 스피릿|{{{#fff '''아이스 스피릿'''}}}]] || [[일렉트로 스피릿|[[파일:일렉트로 스피릿.png|width=60]]]][br][[일렉트로 스피릿|{{{#fff '''일렉트로 스피릿'''}}}]] || [[힐링 스피릿|[[파일:힐링 스피릿.png|width=60]]]][br][[힐링 스피릿|{{{#fff '''힐링 스피릿'''}}}]] || ||<-4> 해골 통이 타워에 붙기 직전에 타워 뒤에 배치하면 데스 피해량만 감수하고 막을 수 있다. 다만, 난전 속에서 타이밍을 조금이라도 놓치면 타워에 상당한 피해가 들어간다. || * 그 외에 어그로를 끌어 해골 통이 타워에 붙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모든 건물 카드도 카운터 카드가 될 수 있다. == 기타 == * 이 카드가 공개되기 전 유튜버들의 테스트 서버 영상과 반사경 전투 일일 연습에서 확인된 바로는 이름이 해골 풍선이었다. 때문에 다수의 유저들이 해골 비행선을 영어 명칭인 벌룬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혼동이 있지 않을까 논란이 있었으며, 해골 통으로 정식 출시되었을 때 잠식되었다. * 할로윈 기념으로 나온 드래프트 도전이 나왔으며, 이 도전에서 재가입은 50보석이 든다고 한다. 마일스톤 보상은 아래와 같다. 최초로 선택 카드 중 '해골 통'이 등장하며, 이벤트 퀘스트 미션이 해골 통 사용 5회다. 마일스톤 보상 카드는 모두 해골 관련 카드인데,[* 그러나 마일리지 보상에 폭탄병이 없다.] 할로윈 기념이라 그런 듯하다. * 출시 광고에서 해골 통이 공격을 받고 해골들이 통 내부에서 비장하게 준비하다가 낙하해 공격하는 간지나는 모습으로 등장해 공수부대 같다는 의견이 많다. {{{#!folding 개최 기간 [보기 / 닫기] * 2017/10/31~11/3 || 1승 || 해골 병사 50장 || || 2승 || 해골 군대 1장 || || 3승 || 가드 1장 || || 4승 || 폭탄 타워 10장 || || 5승 || 마녀 1장 || || 6승 || 해골 무덤 10장 || || 7승 || 자이언트 해골 1장 || || 8승 || 해골 비행선 1장 || || 9승 || 해골 통 100장 || }}} * 체력이 1/3씩 깎일 때마다 달려있는 풍선이 하나씩 터진다. 체력을 회복시켜도 풍선 수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며, 복제 마법으로 복제하면 원본 유닛의 풍선 개수에 상관없이 무조건 풍선이 1개 달려서 나온다. * 10/17 반사경 전투 일일 연습에서 [[https://youtu.be/wiajQ8f-KEY?t=10m10s|해골 통이 나오는 버그가 발생했다.]] 하지만 버그가 발생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긴급 점검을 하여 더 이상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2018년 할로윈데이 때 [[클래시 오브 클랜]]에 기간 한정 유닛으로 등장했는데, 여기서는 데스 데미지가 매우 높고 해골도 더 많이 소환하지만 우선적 공격 대상이 없다. * [[클래시 로얄/터치다운|터치다운]]에서 한 라운드가 끝나고 해골 통이 터지면 해골이 다음 라운드 준비 시간 동안 적진으로 가는 버그가 있었지만 수정되었다. == 관련 문서 == * [[클래시 로얄/덱/광부 덱 #광부 + 해골 통 덱|광부 + 해골 통 덱]] * [[클래시 로얄/덱/광부 덱 #광부 + 메가 나이트 + 해골 통 덱|광부 + 메가 나이트 + 해골 통 덱]] * [[클래시 로얄/덱/고블린 통 덱 #고블린 통 + 해골 통 덱|고블린 통 + 해골 통 덱]]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클래시 로얄/카드/유닛, version=4205)] [[분류:클래시 로얄/유닛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