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전라남도 함평군의 고등학교)] ---- ||<-2> '''{{{#white {{{+1 함평학다리고등학교}}}[br]咸平鶴橋高等學校[br]Hampyeong Hakdari High School}}}''' || ||<-2> [[파일:학다리고등학교 가로로고.png|width=250]] || || {{{#white '''개교'''}}} || [[1945년]] [[12월 5일]] || || {{{#white '''유형'''}}} || [[거점고등학교|거점]] [[공립고등학교]] || || {{{#white '''성별'''}}} || [[남녀 공학]][* 2018년 학교를 통합·이전하면서 남녀 분반에서 남녀 합반으로 변경했다.] || || {{{#white '''운영 형태'''}}} || [[공립]] || || {{{#white '''교장'''}}} || 김선구 || || {{{#white '''교감'''}}} || 임은정 || || {{{#white '''학생 수'''}}} || 318명[*기준 2023년 3월 2일] || || {{{#white '''교직원 수'''}}} || 55명[*기준] || || {{{#white '''소재지'''}}} ||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영수길 55 || || {{{#white '''웹 사이트'''}}} || [[http://hakdari.hs.jne.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구 학다리고등학교의 전경''' || ||[[파일:구 학다리고등학교 전경.jpg|width=100%]]|| || '''통합 함평학다리고등학교의 전경''' || ||[[파일:신 학다리고등학교 전경.jpg|width=100%]]||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에 위치한 [[공립고등학교]]이다. 기존에는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에 위치한 학교법인 학교의숙(鶴橋義塾) 소속의 [[사립고등학교]]였으나 [[장만채]] 전라남도교육감의 전남지역 [[거점고등학교]] 사업으로 [[함평여자고등학교]], [[나산고등학교]]와 통폐합되어[* 2014~2015년 통폐합 논의 당시 학교법인 학교의숙의 양한모 이사장은 통합 협조 조건으로 '학다리고등학교'라는 교명과 그 역사를 쭉 이어가는 것을 요구했고, 당시 학다리고등학교가 함평군에서 가장 역사가 깊고 큰 학교였던 만큼 그 요구가 받아들여졌다. 그래서 학다리고등학교로 다른 두 학교가 흡수 통합된 것이다.] 2017년 3월 1일에 공립학교로 전환되었다. 이후 함평군 내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함평읍으로 부지를 옮겼다.[* 사실 이 부지는 기존에 [[함평골프고등학교]]와 함평중학교가 있던 곳이다. 함평골프고등학교와 학다리고등학교가 서로 부지를 맞교환했다고 볼 수 있다.] 통합 후 교명은 함평군을 대표한다는 의미로 '함평학다리고등학교'로 개명했다. 한편, 같은 학교법인 소속인 학다리중학교는 2017년 9월 신축 [[공립]][[중학교]]인 [[함평중학교]]로 통합되어 폐교되었다. == 학교 연혁 == || 1945년 12월 05일 || 학교초급중학교 개교 || || 1946년 09월 30일 || 학교초급중학교 설립 인가 || || 1947년 08월 18일 || 학다리중학교로 개명[br]재단법인 학교의숙 설립 인가, 초대 김태일 이사장 취임 || || 1951년 08월 31일 || 학다리중학교 6학급, 학다리고등학교 6학급으로 분리 || || 1964년 01월 25일 || 학교법인 학교의숙으로 조직변경 인가 || || 1995년 04월 07일 || 학다리고등학교 본관동 증축 || || 1997년 05월 15일 || 기숙사 증축 || || 2002년 09월 14일 || 도서관(운학관) 증축 || || 2004년 02월 05일 || 다목적강당(무학관) 증축 || || 2004년 04월 07일 || 기숙사(우정학사) 증축, (주)부영에서 기증 || || 2004년 10월 31일 || 학다리고등학교 KBS 도전골든벨 방영 || || 2009년 03월 22일 || 기숙사(예지학사), 다목적 교실 증축 || || 2012년 10월 24일 || 제20대 양한모 이사장 취임 || || 2013년 09월 01일 || 제10대 김갑수 교장 취임 || || 2017년 03월 01일 || 학다리고등학교 공립 전환 || || 2018년 03월 02일 || [[함평학다리고등학교]] 개교 및 부지 이전 || == 교훈 및 상징 == === 교훈 === '''창조하는 정신''' '''신의있는 생활''' '''예의바른 태도''' === 상징 === 교조: [[학]] - 학교면(鶴橋面)의 상징 - 고고함과 순결함의 상징 교화: [[코스모스]] - 우아함, 순박함과 자생력을 상징 교목: [[소나무]] - 청렴, 결백, 지조를 상징 교색: [[백색]] - 맑고 선한 마음을 상징 === 교가 === ||[[파일:학다리고등학교교가.jpg|width=100%]]|| === 교육 목표 === '''기본학력을 튼튼히 하여 알찬 능력을 겸비한 사람 (能力人)''' '''글로벌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비하는 지혜로운 사람 (國際人)''' '''탐구 능력을 배양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創意人)''' '''도덕적 인격을 형성하여 협동과 봉사정신을 발휘하는 사람 (社會人)''' '''굳센 체력과 강인한 정신으로 진취적 기상을 가진 사람(健康人)''' == 학교 특징 == 원래는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학교길 77번지[* 현재의 [[함평골프고등학교]] 자리]에 위치해 있었다. 기존엔 교문 앞에 드넓은 논이 펼쳐져 있고, 논 너머로 [[함평역]]을 육안으로 볼 수 있었다. 걸어서 10분 거리에 함사거리터미널이 있는데, [[무안군]] 등 타시군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이나 함평군 내 다른 읍면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이 자주 이용하였다. 그 근처엔 식당가가 많아 외출증을 끊고 외식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함사거리에 있는 가장 큰 편의점인 CU는 한 때 '학다리고 학생들의 [[성지]] 또는 [[메카]]'라고 불릴만큼 모든 학다리고 학생들이 다 모이는 핫플레이스였다. 또한 학교면의 유일한 [[PC방]]이었던 '스타PC방'은 할머니 한 분이 혼자서 운영하고 컴퓨터 시설이 좋지 않았음에도 항상 학다리고 학생들로 붐볐으며, 학다리고 교사들의 제1순위 단속 대상이었다.[* 주인 할머니는 본인도 장사를 해야되니 단속이 뜨면 제일 먼저 알아내어 학생들을 숨겨주거나 교사들과 언쟁을 벌이곤 하였다.] 그 뒤 재정난이었는지 2016년 문을 닫았다. 통폐합 후에는 이마저도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2018년 3월 함평읍 영수길 55번지로 부지를 이전하였는데, 건축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전하다보니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3132221025#replyArea|'''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아서 학생들이 공사장 한가운데에서 공부와 학교 생활을 하는 상황이 몇 년 간 지속되었다.''']] 완공 때까지 운동장도 없어서 밖에서 뛰어놀지도 못했다.[* 2018년에는 체육대회도 나주에서 운동장을 빌려서 했다.] 현재는 완공되어 모든 학생들이 최신화된 학교 시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읍내로 옮겼지만 외곽지역이라 주변에는 상가나 여가 시설이 전혀 없으며 걸어서 15분 거리의 읍내로 나가야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다. 걸어서 5분 거리에 [[함평나비축제]]가 열리는 함평엑스포공원[* 학다리고등학교와 통합된 함평여자고등학교는 이 나비축제장 안에 학교가 존재했다.]과 함평군립도서관(함평나비곤충도서관)이 있다. 3행 3무 운동을 운영한다. 학다리고등학교 학생들이 익혀야 할 '학고인의 실천 운동'이다. --하지만 99%의 학생이 이 운동의 존재조차 알지 못한다. 사실상 유명무실.-- '''3행(行)''' o열심히 공부하기 o청소 잘하기 o인사 잘하기 '''3무(無)''' o폭력 없는 학교 o흡연 없는 학교 o이성교제 없는 학교[* 명백한 인권침해이다.] == 학교 시설 == || 교실 || 24실 || || 역사관 || 1실 || || 교장실 || 1실 || || 교무실 || 5실 || || 행정실 || 1실 || || 방송실 || 1실 || || 음악실 || 1실 || || 관현악실 || 1실 || || 전산실 || 1실 || || 기술가정실 || 1실 || || 보건실 || 1실 || || 실험실 || 1실 || || 숙직실 || 1실 || || 회의실 || 1실 || || 창고 || 1실 || || 문서고 || 1실 || || 관사 || 1실 || || 면학실 || 4실 || || 도서관 || 1실 || || 미술실 || 1실 || || 강당 || 1실 || || 인쇄실 || 1실 || || 진로진학상담실 || 1실 || || 기숙사 || 3동 || == 출신 인물 == * [[강운태]] - 민선 5기 제11대 광주광역시장 * [[고석(정치인)|고석]] - 대한민국 육군 준장, 前 [[고등군사법원장]] * [[서정열]] - 대한민국 육군 소장, 前 [[육군3사관학교]]장 * [[양성우(시인)|양성우]] - 시인, 제13대 국회의원 * [[이용섭]] - 18·19대 국회의원, 민선 7기 제13대 광주광역시장 [[분류:함평군의 고등학교]][[분류:1945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