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플로리다 메이헴)] || '''{{{#cf4691 함정완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include(틀:2023 오버워치 리그/MVP 후보)]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롤스타 상/TANK)]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데니스 하벨카 상)]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정규시즌 MVP)]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우승 선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meone_FLA_2023.png|width=100%]]}}} || ||<-2> '''[[플로리다 메이헴|{{{#cf4691 플로리다 메이헴}}}]] No.24[br]{{{+1 Someone}}}''' || ||<-2> '''{{{#000 함정완 (Ham Jeong-wan)}}}''' || || '''출생''' ||[[2004년]] [[4월 24일]] ([age(2004-04-24)]세) || || '''ID''' ||'''SOMEONE''' oberon Demogorgon JJAS || ||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TANK || || '''주 영웅''' ||[[정커퀸|[[파일:오버워치2 정커퀸 초상화.png|width=30]]]][[시그마(오버워치)|[[파일:오버워치2 시그마 초상화.png|width=30]]]][[자리야|[[파일:오버워치2 자리야 초상화.png|width=30]]]][[D.Va|[[파일:오버워치2 D.Va 초상화.png|width=30]]]] [[오리사|[[파일:오버워치2 오리사 초상화.png|width=30]]]][[윈스턴(오버워치)|[[파일:오버워치2 윈스턴 초상화.png|width=30]]]] [[레킹볼|[[파일:오버워치2 레킹볼 초상화.png|width=30]]]][[라마트라|[[파일:오버워치2 라마트라 초상화.png|width=30]]]][[라인하르트(오버워치)|[[파일:오버워치2 라인하르트 초상화.png|width=30]]]] || || '''소속''' ||'''[[Gen.G Esports/오버워치/연습생|[[파일:Gen.G 로고 심플.svg|width=25]] Gen.B]]''' '''(2019.06.06 ~ 2020.01.10)''' '''[[Gen.G Esports/오버워치|[[파일:Gen.G 로고 심플.svg|width=25]] Gen.G Esports]]''' '''(2020.01.10 ~ 2021.02.28)''' '''[[Team CC|[[파일:Team_CC_logo.png|height=20]] Team CC]]'''[br]'''(2021.02.28 ~ 2021.11.19)''' '''[[플로리다 메이헴|[[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20]] 플로리다 메이헴]][br](2021.11.19 ~ )''' || |||| [[https://twitch.tv/someone_ow_|[[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1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omeone0424/, 크기=1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썸원11.jpg|width=100%]]}}} || || '''{{{#cf4691 Ham "SOMEONE" Jeong-wan}}}''' ||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2019년 6월부터 [[Gen.G Esports]] 소속 연습생으로서 코리아컵에 참가하여 대회경험을 쌓았다. 경쟁전 18시즌 랭킹 1위를 달성해 이름이 알려졌으며, 2020년 1월부터 정식으로 컨텐더스 팀에 합류하였다. == 커리어 == ||<-5> '''{{{#fff 우승 경력}}}''' || ||<-5> '''[[2019 오버워치 코리아컵 9월]] & [[2019 오버워치 코리아컵 10월|10월]] 우승''' || || Mono Frog || → || '''Gen.B''' || → || [[Gen.G Esports/오버워치/연습생|Gen.A]] || ||<-5> '''[[NetEase Esports X Tournament|2021 오버워치 NeXT Cup Spring]] 우승''' || || [[Team CC]] || → || '''Team CC''' || → || 미정 || ||<-5> '''[[2023 오버워치 리그/프로암 토너먼트|2023 오버워치 리그 프로암 토너먼트]] 우승''' || || 대회 출범 || → || '''플로리다 메이헴''' || → || 미정 || ||<-5> '''[[2023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3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 || || [[댈러스 퓨얼]] || → || '''플로리다 메이헴''' || → || ''미정'' || ||<-5> '''{{{#fff 준우승 경력}}}''' || ||<-5> '''[[2019 오버워치 코리아컵 6월]]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Gen.B''' || → || Mono Frog || ||<-5>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아시아]] 준우승''' || || [[ATL Academy]] || → || '''Gen.G''' || → || ''미정'' || ||<-5> '''{{{#fff 수상 경력}}}''' || ||<-5> '''[[2019 오버워치 코리아컵 10월]] MVP''' || || 정승용 {{{-2 ([[Gen.G Esports/오버워치/연습생|Gen.B]])}}} || → || '''함정완[br]{{{-2 (Gen.B)}}}''' || → || [[황준선]] {{{-2 ([[Gen.G Esports/오버워치/연습생|Gen.A]])}}} || ||<-5> '''[[2023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MVP''' || || [[김동현(2003년 12월)|김동현]][br]([[샌프란시스코 쇼크]]) || → || '''함정완[br](플로리다 메이헴)''' || → || ''미정'' || == 상세 == === 오버워치 리그 2022 === 초반에는 살짝 불안정한 모습이 많이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성장하는 속도가 높다 오버워치 2로 바뀌면서 생긴 썸원만의 독보적인 장점이 생겼는데 바로 "'''단독으로 모든 탱커가 가능하다'''"[* 비슷한 특징의 탱커 선수로는 smurf가 있지만 정커퀸 둠피스트는 애매한 평가를 받는다]는 장점이 생겼다 그가 리그에서 다룬 탱커만 해도 자리야,디바,둠피스트,윈스턴,오리사,라인하르트,정커퀸,시그마 심지어 로드호그까지 다루었다. 일단 플레이스타일이 되게 묵직하게 상대를 압박하는 스타일인데 쉴새없이 빠른 템포로 상대를 구석으로 몰면서 한번에 터트리는 스타일이 장점이다.[* 덩달아 같은 팀원 Checkmate와의 플레이스타일이 굉장히 잘 어울리는데 체크메이트도 빠른 템포에서 엄청난 폭딜을 넣는게 장점이라 이 둘이 맞물려 엄청난 시너지가 나온다] 게다가 메인탱커 선수인데도 에임이 매우 좋아서 서브탱커류 탱커도 무리없이 잘 소화해낸다. 대표적으로는 자리야인데 에너지 관리를 매우 잘하고 신들린 완급조절로 적들을 압박하면서 농락하는 움직임이 매우 좋다. 이로 인해 자탄이 매우 빠르고 맞 자리야 싸움에서도 반반이나 오히려 압도하는 경우도 많이 나온다. 시그마의 경우 안정적으로 딜각을 창출하고 자리싸움과 강착싸움도 매우 좋아서 서브탱커 전문 선수와 맞대결을 할때도 밀리지 않는다. 다만 다이브류 탱커[* 윈스턴,디바,둠피스트,정커퀸]플레이의 단점이 있는데 압박하다가 돌출된 본인을 인지 못하고 되려 빨려서 죽거나 너무 깊숙하게 뛰어 본인이 죽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면 탱이 없어져 역습을 허용하게 되므로 썸원 선수로써는 치명적인 단점이긴 하다. === 오버워치 리그 2023 === >[[삼대장|현 리그 서부 3대 윈스턴은 피어리스,스머프,그리고 '''썸원''']] >---- >리그 중계 중에 [[홍현성]] 해설의 발언 프로암때부터 시작해서 작년보다 더 뛰어난 윈스턴의 폼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메타가 윈솜트가 주류인데 메인탱커의 기량에 따라 솜트의 위력이 갈리는 점에서 썸원은 현재 그 기둥의 자리를 잘 지키고 있다. 작년의 약점이던 깊숙히 들어가다 터지는 장면같은건 이제 없고 오히려 본인이 템포를 주도하는 수준까지 올라가 메이햄의 순위권 상승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또한 썸원만의 시그니쳐 픽이 생겼는데 바로 '''라마트라'''이다 응징의 명중률이 굉장히 뛰어나고 빠른템포와 완급조절이 장점이 굉장히 잘 맞아 떨어져서 상대가 뒷라인 한명 겨우 짜르는 동안 썸원은 단독으로 뒷라인을 더 빨리 전멸시키는 수준으로 라마트라의 숙련도가 장난 아니다. 메이햄도 썸원의 라마트라를 믿고 라마트라 특화 조합을 할 정도로 다들 윈솜트를 하는 동안 메이햄은 라마솜트라는 조합을 할 정도다. 일리아리가 출시되었고 윈솜트가 간 이후 오리사,디바,윈스턴,시그마 대표적으로 이 4개의 픽을 다루고 있는데 전부 안정적인 기량을 보여준다. 오리사의 경우 투창의 명중률이 굉장히 뛰어나 킬 가담률이 매우 좋고 에임도 좋아 앞라인 싸움에서 쉽게 안밀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디바의 경우 변수 플레이보단 아군 딜러들의 보조 역할을 수행하는 편이다. 실제로 메리트의 위도우의 딜각을 창출해내는 역할의 썸원의 디바인데 매우 잘 수행해주고 메리트가 그 딜각에서 변수를 만들어주는 환상의 콤비 플레이를 보여준다. 그랜드 파이널 시작 전에 데니스 하벨카 상과 시즌 MVP를 동시에 수상했다.[* 두 상을 동시에 수상한 최초의 선수이기도 하며 첫 탱커 정규시즌 MVP이기도 하다.] 그랜드 파이널에서도 그가 왜 정규시즌 MVP가 되었는지 알수 있었다. 메인탱커 선수이지만 에임도 좋아 서브탱커가 주로 맡는 시그마,자리야,디바,정커퀸을 잘해 상대 팀인 휴스턴의 탱커 조합을 바꾸는것을 강요하고 또 바꿔온 탱커가 상성상 우위를 잡기 힘들때에는 영웅을 바꿔와 한타를 뒤집는 등 휴스턴의 약점을 정확히 파고 들어 그랜드 파이널 결승을 4:0으로 완승하는데 기여하며 메이헴의 리그 우승을 견인하였다. == 기타 == * 류제홍과 경쟁전에서 만났으며 유튜브에 등장하여 이름을 알렸다.[* [[https://youtu.be/WgH3Fseh0oU]]] * 1페이지를 본인 계정으로 도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무려 계정 4개를 1페이지에 올린 시즌도 있을 정도. * 프로 닉네임을 SOMEONE에서 JJAS로 바꾸려고 진지하게 고민했었다고 한다. 실제로 오픈 테스트에 해당 닉네임으로 출전하기도 했다. * 소문에 의하면 제주도의 숨은 라인하르트 고수에게 오버워치를 배웠다고 한다. * 프로게이머 데뷔 이전 시절, 신도림의 리퍼장인에게 영혼까지 털려서 포지션을 바꾸었다고 한다. [[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분류:2004년 출생]][[분류:강릉 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