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품사)] [include(틀:현대 영어학에서의 품사 구분)] [목차] == 개요 == {{{+1 [[限]][[定]][[詞]] / Determiner, Determinative[* 전자가 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둘이 같은 게 아니라 determiner는 '한정어'라는, 주어, 술어, 목적어 등의 function을 나타내는 용어로 보고 determinative는 '한정사'라는 명사, 동사, 형용사 등의 form을 나타내는 용어로 보기도 한다. function/form에 관한 설명은 [[통사론]] 참조.] }}} [[언어학#s-3|현대 언어학]]에서 분류하는 [[품사]]의 종류 중 하나. [[명사(품사)|명사]]의 앞에 쓰여 그 의미를 특정해주는 기능을 한다. [[관사(품사)|관사]], 양화사, 지시사, 소유격 대명사 등이 포함된다. 한국어로 치면 [[관형사]]와 쓰임이 비슷하다. 명사구 ''''a''' pen'과 ''''the''' pen'은 모두 하나의 펜을 의미하지만 한정사의 차이로 인해 '아무 펜 하나'이냐 '화자와 청자가 아는, 또는 앞에서 언급했던 바로 '''그 펜'''이냐'가 갈린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관사(품사)|관사]] 문서 참조.] ''''many''' pens', ''''some''' pens', ''''few''' pens'에서 한정사 'many', 'some', 'few'는 명사 'pens'에 각각 '많은', '어느 정도 있는', '거의 없는'의 속성을 부여하여 그 의미를 한정하고 있다. 보면 알겠지만 개념적(또는 [[의미론]]적) 정의만으로는 한정사와 [[형용사]]를 구분하기 힘들다. 형용사 역시 명사의 속성을 나타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관사를 비롯한 한정사는 전통문법에서는 형용사의 일종으로 분류했으나, 생성문법에서는 형용사와 한정사를 구분하고 있다. 그 이유는 후술한다. [[통사론]] 등에서 약자는 일반적으로 '''Det'''로 사용하고 첫 글자만 따서 '''D'''를 사용할 때도 있다. == [[형용사]]와의 차이점 == 전통문법에서 한정사를 [[형용사]]의 일종으로 본 이유는 간단하다.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단어이고, 한정사 역시 명사에 어떤 의미를 더하는 단어이므로 그 역할이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the''' boys *'''good''' boys 'the'는 뒤의 boys가 아무 소년들이 아니라 '특정한' 소년들임을 나타내고, 'good'은 지금 말하는 소년들이 '착한' 소년들임을 나타낸다. 기능도 유사할 뿐 아니라 분포하는 위치도 명사 앞으로 같다. 이렇게 보면 한정사를 형용사의 일종으로 분류하는 데에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형용사와 한정사의 분포적 특성은 아래에서 설명할 꽤나 큰 차이들을 보이기 때문에 같은 카테고리로 묶었을 경우에 현상을 정확하게(precisely) 설명하는 데에 애로사항이 꽃핀다.[* 이에 대해 전통문법에서는 한정사를 형용사의 하위항목 중 예외적인 경우로 치고 넘어갔으나, 따로 분류해서 설명하는 편이 간단하므로 생성문법에서는 [[오컴의 면도날]] 원칙을 적용하여 형용사와 한정사를 별개의 항목으로 구분한 것이다.] === 명사구 내에서 위치적 분포 차이 === 형용사의 경우 명사구 내에서 명사 앞에 또는 형용사(구) 앞에 분포한다. * 형용사 + 명사: cute boys * 형용사 + 형용사 + 명사: cute red shirts 따라서 만약 한정사가 형용사라면, 한정사는 다음 세가지 위치에 나타날 수 있어야 한다. 1. 한정사 + 명사: a boy 1. 한정사 + 형용사 + 명사: a cute boy 1. 형용사 + 한정사 + 명사: *cute a boy 3.의 구조는 어떠한 경우에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한정사는 형용사와는 분포적 특성이 다르며, 형용사가 아니다. === 서술적 위치에 분포할 수 없음 === 2.2부터 2.4까지의 주장들은 반례가 존재하므로 느슨하게 한정사가 형용사와 다른 품사(POS, part of speech)임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이다. 형용사는 한정적 용법(Attributive)과 서술적 용법(Predicative)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쓰인다. 한정적 용법은 '''cute''' dogs처럼 명사의 앞에서[* director general 같이 뒤에서 수식하는 예외도 있다. 굳이 설명하자면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 who is가 생략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명사의 뜻을 한정하는 용법이고, 서술적 용법은 문장에서 (전통문법에서)주격보어/목적격보어의 역할을 하는 용법이다. *a '''happy''' man (한정) *He is '''happy'''/I made him '''happy''' (서술) 대부분의 형용사는 두 가지 용법으로 모두 쓰인다. *Beer is '''ice-cold''' (O)/She made me '''angry''' (O) 하지만, 한정사는 이렇게 서술적 용법으로 쓸 수 없다. *Beer is '''the''' (X)/She made me '''any''' (X) > 반례: elder, eldest, live, old, little, mere and sheer 등 한정적 용법으로만 사용되는 형용사가 존재한다. === 여러 한정사를 함께 사용할 수 없음 === 형용사의 중요한 분포적 특징 중 하나는 여러 형용사가 하나의 명사를 수식하는 데에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cute little Korean''' girls (O) *'''big black savage''' dogs (O) 그러나 한정사는 이게 안 된다. *'''a my''' friend (X) *'''the this some''' apples (X) 그러니 a friend of mine 또는 [[This War of Mine]]같은 사례에서 보듯 '이중 속격'(한정어 NP + of 소유대명사)이라 불리는 편법을 쓰기도 한다. > 반례: 동일 group이 아닌 한정사들은 중복해서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 group1 한정사 (all, both) >● group2 한정사 (관사, 지시사, 소유격) >● group3 한정사 (수사) > Ex) These are all my last valuable possessions. > all : group 1 한정사 > my : group 2 한정사 > last : group 3 한정사 > [[http://emongenglish.net/qna_faq_eng/30536|출처]] 참고로 한정사가 여러개 오는 구는 X-bar theory 내에서 DP가 존재한다는 근거로 Abney(1987)에 의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John’s every secret wish라는 구를 기존에는 명사구(NP)라 보았지만, 그 경우 John’s 와 every 두개의 spec이 NP내에 존재하는 것을 설명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 구를 한정사구(DP)로 본다면, every가 핵어이고, John’s가 spec인 DP로 분석할 수 있다. === 단계적이지 않음 ===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단계적(gradable)이다. 따라서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very, quite, extremely 등)의 수식을 받을 수 있으며, 비교급, 최상급도 가능해진다. * an ''extremely'' '''fast''' object (O) * the faster/fastest car (O) 그러나 한정사는 단계적이지 않다. * ''very'' '''some''' water (X) * ''exteremely'' '''an''' object (X) > 반례: 모든 형용사가 단계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물질적 속성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국적을 나타내는 형용사 등은 단계적이지 않다. >*a very wooden floor, *a very Russian book == [[영어]] == === [[관사(품사)|관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관사(품사))] a(an), the가 있다. === 지시 한정사 === Demonstrative determiners 지시대명사에 대응하며, this, these, that, those가 있다. === 소유격 한정사 === Possessive determiners 인칭대명사의 속격에 대응하며, my, our, your, his, her, their, its가 있다. === 수 한정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사(품사))] 수사에 대응하며, 기수사 one, two, three, four 등 / 서수사 first, second, third, fourth 등이 있다. === 배분 한정사 === Distributive determiners 그룹, 짝, 쌍으로 이루어진 단위에서 그룹, 짝, 쌍, 개별구성원을 지칭하는 한정사이다. all, each, every, both, half, either, neither가 있다. === 의문 한정사 === Interrogative determiners 의문를 표현하는 한정사로 whose, what, which가 있다. === 양화사 === Quantifiers 양을 나타내는 한정사로 all, any, few, less, little, many, much, so, several, some이 있다. === 차이 한정사 === Determiners of difference 다름, 차이를 나타내는 한정사로 other, another가 있다. == 관련 문서 == * [[영어/품사]] [각주] [[분류:품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