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어학시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한자/검정시험, top2=대한검정회)] [include(틀:하위 문서, top1=한자급수자격시험/배정 한자, top2=한자급수자격시험/문제 유형)] [include(틀:어학시험)] [include(틀:한자)] [목차] == 개요 == [[http://www.hanja.ne.kr|사단법인 한자교육연구회]]에서 주최, 대한검정회에서 주관하는 한자 시험. == 배정 한자 수와 난이도 == === 배정 한자 수 === || [[대한검정회|'''{{{#white 대한검정회}}}''']] [[한자검정시험#대한검정회|'''{{{#FFFFFF 한자급수자격검정}}}''']] '''급수별 배정한자 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급수''' || '''한자 수''' || '''추가 과목''' || || 대사범 || 국역 및 논술 || 고급한문Ⅱ[br][[사서#s-3]] · 고문진보 · 사략 || || '''사범''' || 5,000 || 고급한문Ⅰ || || '''1급''' || 3,500 || 중급한문Ⅱ || || '''준1급''' || 2,500 || 중급한문Ⅰ || || '''2급''' || 2,000 || 초급한문Ⅱ || || '''준2급''' || 1,500 || 초급한문Ⅰ || || 3급 || 1,000 ||<|9> - || || 준3급 || 800 || || 4급 || 600 || || 준4급 || 400 || || 5급 || 250 || || 준5급 || 100 || || 6급 || 70 || || 7급 || 50 || || 8급 || 30 || ||<-3> {{{-2 ※ 녹색으로 칠해진 칸의 급수가 국가공인 급수이다.}}} ||}}}}}}}}} || 공인 급수는 '''볼드체''' 처리. 8급 30자 7급 50자 6급 70자 준5급 100자 5급 250자 준4급 400자 4급 600자 준3급 800자 3급 1000자[* 이 기관의 3급은 공인급수가 아니다. 이유는 후술.] '''준2급''' 1500자 '''2급''' 2000자 '''준1급''' 2500자 '''1급''' 3500자 '''사범''' 5000자 대사범 5000자, 국역 및 논술[* 이 기관의 대사범은 공인급수가 아니다.] === 난이도 === 8급, 7급:한자 입문자 수준. 6급, 준5급:위의 8, 7급보다는 난이도가 살짝 높다. 그래도 쉬운 편이다. 5급, 준4급, 4급:배정 한자 수가 급격히 올라간다. 그래서 살짝 까다롭긴 하나,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으면 쉽다. 준3급, 3급:공인 급수 바로 밑의 급수들. 이때부터 공부를 잘 집중해야 풀 수 있다. '''준2급, 2급''':공인 급수의 서막. 한문, 한시와 관련된 문제가 출제된다. 상당히 어려운 편이지만, 그래도 기출 문제를 여러 번 풀어보면 합격할 수 있다. '''준1급, 1급''': 이 급수들까지 따야 한자를 잘한다는 소리를 듣는다. 이에 걸맞게 난이도는 매우 어려운 편. 한시에 대한 감상이나 문장 해석 등의 문제가 많이 나온다. 猫[* 반려묘 등의 한자에 쓰임. 고양이 묘], 甁[* 무언가를 담는 병의 뜻을 가짐. 병, 단지 병]등의 일상 한자도 나오긴 하나, 극히 드물다. '''사범''':'''한자계의 거의 끝판왕'''. 배정 한자가 무려 5000자이며, 일반인은 1년은 족히 공부해야 한다. 한시, 한문의 난이도가 매우 어렵다. 한자들도 매우 많이 어려우며, 대부분 벽자(僻字)라 봐도 무방하다. 공인 급수의 마지막 급수이다. 대사범:국역, 논술만 한다. 어느 글을 읽고 어느 부분에 들어갈 문장을 쓴다거나, 긴 글을 읽고 직역하거나 생각을 논술하는 문제 등 문제 유형은 매우 어렵다. 다만 이 급수는 공인 급수가 아니다. === 공인 급수 === 공인 급수는 준2급부터 사범까지 5개 급수이다. 이 기관의 3급이 공인 급수가 아닌 이유는 배정 한자 수가 1000자로, 타 기관(어문회 1817자, 진흥회 1301자 등)의 배정한자보다 압도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 배정 한자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배정 한자, rd1=한자급수자격시험/배정 한자)] == 출제 경향 == 이 시험은 국문과 한자어보다는 한문과 한자 그 자체에 초점을 두고 있다. 왜냐하면 [[대한검정회]]가 한문학과 한국학에 초점을 둔 단체이기 때문. 그래서 [[한국어문회]] 시험보다는 한자어 문제가 매우 많이 적지만, 어문회와 달리 준2급부터는 한문과 한시를 묻는 문제가 10여개씩 나오며, 민간 급수에도 세시풍속을 묻는 문제가 나온다. 물론 대사범급에서는 문제 전체가 한문과 한시로 이루어져 있긴 하지만. 그래서 자기 성찰을 위해 한자 시험을 보고자 하는 사람들은 이 시험을 보는 것을 추천한다. 한문, 한시 문제의 경우 [[이백]]이나 [[두보]]같은 유명한 시인들의 시나, [[삼국유사]], [[고문진보]], [[명심보감]], [[격몽요결]], [[사략]], [[대학(경전)|대학]], [[논어]] 등의 유명한 책의 글 중에서 출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金堤上, 檀君王儉, 이백의 송맹호연지광릉 등] == 인지도 == 이 시험의 인지도는 [[한국어문회]]의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보다는 적지만, 그래도 권위와 공신력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사실 어문회 시험과 중점이 다르기 때문에 응시자 수도 어문회 쪽이 약간 더 많은 편이다. 출제 경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출제 경향 문단 참조. == 문제 유형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문제 유형, rd1=한자급수자격시험/문제 유형)] == 비판 == == 여담 == * 민간 급수(대사범 제외)에는 각각의 급수에 대응하는 9가지 동물 상징이 있다. [[대한검정회]] 문서 참조. || [[파일:대한검정회 캐릭터 고화질.png|width=450px]] || * 2023년 8월 시험 100회 째가 되었다. * 모든 급수의 자격 시험은 1년에 4회 개최된다. 개최 주기는 매해 바뀌긴 하나, 대체로 2월, 5월, 8월, 11월이다.[* 합격자 발표 시기는 시험일로부터 약 1달 뒤.] * 급수시험의 기출문제는 홈페이지에서 최근 2회분이 제공된다. [[https://www.hanja.ne.kr/jupsu/jupsu07.asp|#]] * 재밌는 사실은 이 시험을 시행하는 사단법인 대한민국한자교육연구회(대한검정회랑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의 前 이사장이 다름아닌 前 한국민족종교협의회 회장인 한양원 옹이다. 각종 국경일 기념 행사방송 때 어김없이 등장하시는 한복에 갓쓰고 동그란 안경을 쓰신 마치 [[조선]]시대의 선비를 연상시키는 할아버지를 본 적이 있다면 그 분이 맞다.[* 2016년 11월 11일 숙환으로 타계했다. 향년 94세.] * [[구몬#s-3.3|구몬한자]]와 접점이 많다. 구몬한자 수업을 들을 때 이 기관의 시험에 응시한다고 하면 배정 한자 쓰기와 예상 문제, 그리고 동의어, 반의어, 다음자 등 시험 내용 요약집이 있는 교재를 받을 수 있다.[* 8급~준2급] 그러나 상술한 교재가 아닌 구몬 본교재의 내용은 대한검정회 시험과는 무관하다.[* 그러나 학습지의 특성상 계속 하다 보면 분명히 시험에 도움이 된다. 이는 검정회 뿐만 아니라 타 기관 시험도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