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검정회]][[분류:어학시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자급수자격검정, top2=한자급수자격검정/배정한자)] [include(틀:한자급수자격검정)] [목차] == 개요 == [[한자급수자격시험]]의 사범 배정 한자를 다룬 문서. 사범 한자의 양이 매우 방대해 별도로 분리하였다. == 특징 == *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쓰이지 않는 '''벽자'''이다. * 그러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례도 존재한다. * '''[[辦]]'''務官(판무관), '''[[卍]]'''字(만자), '''[[駱]][[駝]]'''(낙타), '''[[霍]]'''亂(곽란), '''[[醬]]'''(장)[* 된장, 고추장 등에 쓰이는 그 장이다.] * 이 급수까지의 누적 한자 수는 4998자이다. 이 급수까지 오면 대부분의 일상 한자는 모두 학습하게 되지만, 일부 한자는 배정되지 않았다. 이 중에서는 다른 공인 급수 기관에는 배정된 경우도 있고, 배정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 타 기관 배정 한자[* 어문회, 진흥회 등 다른 기관에서는 배정된 글자를 말한다.]: '''[[毯]]'''요(담요)[* 진흥회 2급. 진흥회에서만 채택.], 齒'''[[齦]]'''炎(치은염)[* 진흥회 사범. '은' 음으로 수록된 것은 아니고 '깨물 간'이라는 훈음으로 수록되었다.] * 미배정: '''삽([[霎]]-가랑비 삽)'''시간, '''곤([[菎]]-향초 곤)'''약, 골'''격([[骼]]-뼈 격)'''[* 骨格으로 쓰기도 한다.], '''연([[鰱]]-연어 연)'''어, 육두'''구([[蔲]]-두구 구)''', '''진([[趁]]-쫓을 진)'''즉[* 좀 더 일찍이란 뜻일 가졌고, 뉘우침이나 원망의 뜻을 나타내는 문장에 쓴다.], '''훌([[欻]]-문득 훌)'''연, '''표([[鏢]]-칼집 끝의 장식 표)'''창, 반'''려([[糲]]-현미 려)'''암,구'''연([[櫞]]-구연나무 연)'''산, 치아'''우([[齲]]-충치 우)'''식증, '''구루([[佝]]-곱사등이 구, [[僂]]-구부릴 루)'''병, '''강([[殭]]-굳어질 강)'''시, 미'''뢰([[蕾]]-꽃봉오리 뢰)''', '''섬([[譫]]-헛소리 섬)'''망, '''계'''제사([[禊]]祭祀), 곤'''이'''(鯤[[鮞]])[* [[알탕]]에 들어가는 명란을 곤이라고도 한다.], '''책'''형([[磔]]刑), '''역'''마([[櫪]]馬), '''삼'''식([[糝]]食), '''군천'''([[桾]][[櫏]]), '''녹로'''([[轆]][[轤]]), '''거와'''([[苣]][[萵]]), 차'''타'''(蹉[[跎]]), '''괵'''수([[馘]]首), '''잉'''첩([[媵]]妾), '''핍'''억([[愊]]憶). 이 한자들은 '''어떠한 공인 급수 기관에도 배정되지 않았다.''' == 배정 한자 == === ㄱ === * [[呵]] 꾸짖을 가 * [[哥]] 노래 가 [* 김가, 이가, 박가 등 해당 성씨의 인물을 표현하는데 쓰는 ~가가 이 한자를 쓴다. 家와는 다르다.] * [[枷]] 도리깨 가 * [[椵]] 나무이름 가 * [[珂]] 옥이름 가 * [[痂]] 헌데딱지 가 * [[茄]] 연줄기 가[* [[가지(채소)|채소 가지]]의 원말인 '가자(茄子)'에 이 한자가 쓰인다.] * [[訶]] 꾸짖을 가[* '하'라는 음도 있으며, 불교 용어 摩訶([[마하#s-2)|마하]]로 많이 쓰인다.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에도 쓰인다] * [[跏]] 책상다리할 가[* 산스크리트어를 음역한 [[가부좌]](跏趺坐)에 이 한자가 쓰인다. 부처의 앉은 모습을 의미하기도 하기 때문에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도 마찬가지.] * [[咯]] 꿩소리 각 * [[慤]] 성실할, 삼갈 각[* 성실하다와 같은 뜻인 '성각(誠慤)하다'라는 단어에 쓰인다.] * [[旰]] 해질 간 * [[柬]] 가릴 간 * [[癇]] 간질 간 * [[磵]] 석간수 간[* [[澗]](1급)과 통자(通字: 자원 등이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훈과 음이 비슷해 바꾸어 사용되기도 하는 한자)이다.] * [[稈]] 짚 간 * [[乫]] 땅이름 갈[*國 국자(우리나라에서 만든 한자)][*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에 있는 갈곶리(乫串里)가 이 한자를 쓴다.] * [[曷]] 어찌 갈 * [[羯]] 종족이름 갈 * [[蠍]] 전갈 갈[* 전갈(全蠍)이 이 한자를 쓴다.] * [[褐]] 털옷 갈 * [[坎]] 구덩이 감[* [[태극기]]의 사괘 중 하나인 감괘가 이 한자를 쓴다.] * [[嵌]] 산깊을 감[* 도자기의 상감(象嵌) 기법에 이 한자를 쓴다.] * [[戡]] 칠 감[*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감만동]](戡蠻洞)이 이 한자를 쓴다.] * [[橄]] 감람나무 감 [* 감람은 올리브를 뜻하는 한자어이다.] * [[歛]] 바랄 감 * [[瑊]] 옥돌 감 * [[疳]] 감질 감 * [[紺]] 감색 감 * [[酣]] 즐길 감 * [[龕]] 감실 감[* 감실은 부처를 모시는 곳을 말한다. 성당에서 성체를 모시는 곳도 감실이라고 한다.] * [[胛]] 어깨 갑[* 견갑골(肩胛骨)에 이 한자를 쓴다.] * [[閘]] 물문 갑 * [[畺]] 지경 강[* 疆(준1급)과 동자(同字)다.] * [[舡]] 오나라배 강 * [[鱇]] 아귀 강 * [[喈]] 새소리 개 * [[愾]] 성낼 개 * [[鎧]] 갑옷 개[* 일본 [[요로이역|요로이]](鎧)역에 이 한자를 쓴다.] * [[喀]] 토할 객[* 객담(喀痰), 객혈(喀血)에 이 한자를 쓴다.] * [[粳]] 메벼 갱[* 메벼는 낟알에 찰기가 없는 벼를 말한다.] * [[賡]] 이을 갱 * [[倨]] 거만할 거 * [[据]] 일할 거[* [[據]](준2급)의 간화자이다.] * [[炬]] 횃불 거 * [[祛]] 떨어없앨 거[* [[거담제]](祛痰劑)가 이 한자를 쓴다.] * [[裾]] 옷자락 거 * [[踞]] 웅크릴 거 * [[鋸]] 톱 거 * [[腱]] 힘줄 건 * [[褰]] 옷걷을 건 * [[蹇]] 절 건 * [[騫]] 이지러질 건[* 삼국지에서 [[진건]](陳騫)이 이 한자를 쓴다.] * [[瞼]] 눈꺼풀 검[* [[안검하수]](眼瞼下垂) 등에서 사용된다.] * [[鈐]] 비녀장 검 * [[黔]] 검을 검[*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검암동]](黔岩洞)의 용례가 있다. 검암역도 마찬가지.] * [[迲]] 자래 겁[* 자래는 쌍으로 된 생선의 알상자를 세는 단위를 뜻한다.] * [[偈]] 쉴, 송 게 * [[覡]] 박수 격 * [[繭]] 고치 견 * [[蠲]] 밝을, 맑을 견 * [[慊]] 찐덥지않을 겸[* '겸연(慊然/歉然)'의 겸. 아래 [[歉]]의 각주 참고.] * [[歉]] 흉년들, 부족할 겸[* 위의 [[慊]]과 같이 '겸연(慊然/歉然)'에 사용된다. 그러나, 두 한자의 사용에 차이가 있는데,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겸연쩍다, 겸연스럽다'''에는 [[慊]]만을, '''겸연스레'''에는 [[歉]]만을 사용하게 되어 있다. '겸연스럽다'와 '겸연스레'의 한자가 다른 것이 혼동 포인트. 둘 다 사용할 수 있는 단어는 '''겸연하다, 겸연히'''가 있다.] * [[箝]] 재갈먹일 겸 * [[鉗]] 칼 겸 * [[裌]] 겹옷 겹[* 겹의(裌衣)에 이 한자를 쓴다. 겹의란 옷 위에 따로 한 겹 더 걸치는 옷.] * [[勍]] 셀 경[* [[倞]](1급)과는 동자(同字)이며, [[박경완]](朴勍完)이 이 한자를 쓴다.] * [[烱]] 불김 경 * [[璥]] 경옥 경 * [[磬]] 경쇠 경 * [[絅]] 끌어죌, 홑옷 경 * [[罄]] 빌, 공허할, 다할 경 * [[脛]] 정강이 경 * [[頸]] 목 경 * [[堺]] 지경 계[* [[界]](준4급)와 동자(同字)다.] * [[悸]] 두근거릴 계 * [[棨]] 창 계 * [[罽]] 물고기그물, 융단 계 * [[薊]] 삽주, 마계 계 * [[髻]] 상투 계 * [[呱]] 울 고 * [[尻]] 꽁무니 고[* 일본에서는 엉덩이를 뜻한다.] * [[攷]] 상고할 고[* 考(준4급)의 고자(古字)] * [[暠]] 깨끗할 고 * [[栲]] 북나무 고 * [[沽]] 팔 고 * [[罟]] 그물 고 * [[翶]] 날 고 * [[苽]] 줄 고[* '줄'은 식물의 일종이다.] * [[菰]] 향초 고 * [[藁]] 마른나무 고[* [[석고대죄]](席藁待罪)에 이 한자가 쓰인다.] * [[蠱]] 독 고[* 독충을 사용하는 저주인 [[고독]](蠱毒)에 이 한자가 쓰인다.] * [[袴]] 바지 고 * [[誥]] 고할, 경계 고[* [[기미독립선언서]]에 나온다. 此(차)로써 子孫萬代(자손 만대)에 '''誥(고)하야''' 民族自存(민족 자존)의 正權(정권)을 永有(영유)케 하노라.(저것으로써 자손 만대에 알려 민족 스스로만의 정권을 영원히 가지노라.)] * [[辜]] 허물 고 * [[錮]] 땜질할 고 * [[餻]] 떡 고 * [[嚳]] 고할 곡 * [[斛]] 휘 곡[* 휘는 '곡식의 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이다.] * [[梏]] 쇠고랑 곡 * [[梱]] 문지방 곤 * [[滾]] 흐를 곤 * [[袞]] 곤룡포 곤 [* 곤룡포(袞龍袍)에 이 한자를 쓴다.] * [[閫]] 문지방 곤 * [[汨]] 다스릴 골 * [[鶻]] 송골매 골 * [[栱]] 두공 공 * [[箜]] 공후 공 * [[蚣]] 지네 공 * [[窠]] 보금자리 과 * [[裹]] 쌀 과 * [[跨]] 타넘을 과 * [[鍋]] 노구솥 과[* 중국 요리 중 하나인 [[회과육]](回鍋肉)에 이 한자를 쓴다.] * [[顆]] 낟알 과 * [[槨]] 덧널 곽 * [[霍]] 빠를, 갑자기 곽 * [[盥]] 세수할, 대야 관 * [[綰]] 얽을 관 * [[罐]] 두레박 관 * [[菅]] 골풀 관[* 일본의 전 총리 [[간 나오토]]와 [[스가 요시히데]]가 이 성씨를 쓴다.] * [[刮]] 깎을, 비빌 괄 * [[恝]] 걱정없을 괄 * [[适]] 빠를 괄[* [[이괄]](李适)이 이 한자를 쓴다.] * [[壙]] 광 광 * [[筐]] 광주리 광 * [[誑]] 속일 광 * [[罫]] 줄 괘 * [[乖]] 어그러질 괴 * [[紘]] 갓끈 굉 * [[轟]] 울릴 굉 * [[咬]] 새소리 교 * [[嶠]] 산길 교 * [[皎]] 달빛 교 * [[翹]] 꼬리깃털 교 * [[蕎]] 메밀 교[* 소바(蕎麥)에 이 한자가 쓰인다.] * [[蛟]] 교룡 교 * [[轎]] 가마 교 * [[餃]] 경단 교 * [[鮫]] 상어 교 * [[劬]] 수고로울 구 * [[勾]] 굽을 구[* 춘추전국시대의 월왕 [[구천]](勾踐)이 이 한자를 쓰고, [[句]](준3급)의 속자(俗字)이기도 하다.] * [[呴]] 숨내쉴 구 * [[嫗]] 할미 구 * [[屨]] 신, 신을 구 * [[嶇]] 험할 구 * [[廏]] 마구 구 * [[扣]] 두드릴, 뺄 구 * [[搆]] 이해못할, 이끌 구 * [[晷]] 그림자 구[* 앙부일구(仰釜日晷)에 쓰인다.] * [[毬]] 공, 둥근물체 구 * [[璆]] 아름다운옥 구 * [[瞿]] 볼 구 * [[絿]] 급박할 구 * [[臼]] 절구, 확 구 * [[蚯]] 지렁이 구 * [[衢]] 네거리 구 * [[裘]] 갖옷 구 * [[謳]] 노래할 구 * [[逑]] 짝 구 * [[鉤]] 갈고랑이 구 * [[掬]] 움킬 국 * [[鞫]] 국문할 국[* 鞫(준특급, 안쪽이 言)과 [[鞠]](준1급, 안쪽이 米)는 동자이다.] * [[麴]] 누룩 국[* 발효식품인 [[청국장]](淸麴醬)에 이 한자가 쓰인다.] * [[窘]] 막힐, 군색할 군 * [[裙]] 치마 군 * [[穹]] 하늘 궁 * [[芎]] 궁궁이 궁[* 궁궁이는 풀의 일종이다.] * [[捲]] 말 권 * [[淃]] 물도는모양 권 * [[獗]] 날뛸 궐[* 창궐(猖獗)에 이 한자가 쓰인다.] * [[蕨]] 고사리 궐[* 일본의 [[와라비역|와라비]](蕨)역에 이 한자를 쓰며, [[귀멸의 칼날]]의 [[십이귀월]] 상현6 [[다키]]가 쿄고쿠야에 소속되어 있을시 와라비히메(蕨姫)라는 가명을 사용했다.] * [[几]] 안석, 책상 궤 * [[匱]] 함, 삼태기 궤 * [[櫃]] 함 궤 * [[簋]] 제기이름 궤 * [[跪]] 꿇어앉을 궤 * [[饋]] 먹일 궤 * [[刲]] 찌를, 벨 규 * [[槻]] 물푸레나무 규[* 일본의 [[타카츠키역(오사카)|타카츠키]](高槻)역에 이 한자를 쓴다.] * [[硅]] 규소 규 * [[竅]] 구멍 규 * [[赳]] 헌걸찰 규[* 매우 풍채가 좋고 의기가 당당한 듯하다는 의미다.] * [[蹞]] 반걸음 규 * [[勻]] 적을 균 * [[筠]] 대나무 균[*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許筠)이 이 한자를 쓴다.] * [[麕]] 노루 균 * [[亟]] 빠를 극 * [[郤]] 고을이름, 틈 극 * [[嫤]] 아름다울, 여자이름 근 * [[懃]] 은근할 근[* '은근(慇懃)하다'에 이 한자를 쓴다.] * [[芹]] 미나리 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미근동(尾芹洞)에 들어가는 한자다.] * [[菫]] 제비꽃 근 * [[覲]] 뵐 근 * [[觔]] 힘줄, 근 * [[妗]] 외숙모 금 * [[擒]] 사로잡을 금 * [[檎]] 능금나무 금 * [[笒]] 첨대 금 * [[芩]] 풀이름 금 * [[伋]] 속일 급 * [[夔]] 조심할 기[* 중국 유물에 새겨진 무늬의 종류 기룡문(夔龍紋)과 기봉문(夔鳳紋)에 이 한자를 쓴다.] * [[朞]] 돌 기 * [[畸]] 뙈기밭 기 * [[祁]] 성할 기[* 삼국지에서 촉나라와 위나라가 충돌한 곳인 [[기산#s-1.2|기산]](祁山)에 이 한자를 쓴다.] * [[祇]] 토지의 신 기 * [[羈]] 말굴레 기 * [[耭]] 밭갈 기 * [[肌]] 살 기 * [[跂]] 육발이, 기어갈 기 * [[鬐]] 갈기 기 * [[鰭]] 등지느러미 기 * [[拮]] 일할 길 === ㄴ === * [[儺]] 역귀쫓을 나 * [[赧]] 얼굴붉힐 난 * [[喃]] 재잘거릴 남 * [[枏]] 매화나무 남[* 楠의 약자.] * [[衲]] 기울 납 * [[曩]] 접때, 앞서 낭 * [[迺]] 이에, 너 내 * [[撚]] 비틀 년 * [[涅]] 개흙, 검을 녈 * [[拈]] 집을 념 * [[捻]] 비틀 념 * [[寗]] 편안할 녕[* 寧과 동자.] * [[濘]] 진흙 녕 * [[獰]] 모질 녕 * [[孥]] 자식, 종 노 * [[弩]] 쇠뇌 노 * [[瑙]] 마노 노 * [[駑]] 둔할 노 * [[嫋]] 예쁠 뇨 * [[撓]] 어지럽힐 뇨 * [[橈]] 굽을 뇨 * [[耨]] 김맬, 없앨 누 * [[嫩]] 어릴, 예쁠 눈 * [[訥]] 말더듬을 눌[* 어눌(語訥)하다 할 때 이 한자를 쓴다.] * [[你]] 너 니[* 중국에서의 인사말 니하오(你好)에 쓰이는 글자. 그러나 한문에서는 汝(여)로 대체하여 쓸 일이 없기 때문에 사범에 배치되었다. 이는 타 사도 마찬가지.] * [[昵]] 친할 닐 === ㄷ === * [[亶]] 믿음 단 * [[彖]] 단 단 * [[簞]] 대광주리 단 * [[蛋]] 새알 단 * [[袒]] 웃통벗을 단 * [[鄲]] 조나라서울 단[* 조나라의 서울 한단(邯鄲)에 쓰인다.] * [[怛]] 슬플 달 * [[澾]] 미끄러울 달 * [[獺]] 수달 달[* [[수달]](水獺)에 쓰인다.] * [[闥]] 문 달 * [[韃]] 종족이름, 매질할 달 * [[啖]] 먹을 담 * [[坍]] 무너질 담 * [[憺]] 편안할 담 * [[湛]] 즐길 담 * [[禫]] 담제 담 * [[聃]] 귓바퀴없을, 나라이름 담 * [[蕁]] 지모 담 * [[郯]] 나라이름, 성 담[* 담나라란 [[춘추 시대]]에 있던 작은 소국(小國)이다.] * [[錟]] 창 담 * [[倘]] 혹시 당 * [[儻]] 빼어날, 갑자기 당 * [[幢]] 기 당 * [[戇]] 어리석을 당 * [[坮]] 대 대[* 여기서의 '대'란 [[돈대]]를 말한다.] * [[黛]] 눈썹먹 대 * [[叨]] 탐낼, 함부로 도 * [[掉]] 흔들 도 * [[櫂]] 노 도 * [[淘]] 일 도[* 여기서의 '일'은 쌀을 이다 할 때의 일이다.][* [[도태]](淘汰)에 쓰인다.] * [[滔]] 물넘칠 도 * [[䆃]] 벼가릴 도[* 벼를 가리는 일은 벼의 껍데기를 고르는 일이다.] * [[覩]] 볼 도[* 睹와 동자이다.] * [[謟]] 의심할 도 * [[賭]] 걸 도 * [[闍]] 망루 도 * [[韜]] 감출 도 * [[櫝]] 함, 관 독 * [[牘]] 편지 독 * [[禿]] 대머리 독[* 대머리수리를 뜻하는 독취(禿鷲)에 쓰인다.] * [[纛]] 둑 독[* 둑이란 왕의 가마나 군대의 대장 앞에 세우던 의장기이다.][* [[뚝섬|독도]](纛島)에 쓰인다. 절대로 울릉군에 속한 [[독도]]가 아니다.] * [[旽]] 밝을 돈 * [[沌]] 어두울 돈 * [[咄]] 꾸짖을 돌 * [[僮]] 아이, 하인 동[* 후한 말의 군벌 [[동지(삼국지)|동지]](僮芝)에 쓰인다.] * [[胴]] 큰창자 동[* 남자가 입는 저고리 [[동의]](胴衣)에 쓰인다.] * [[兜]] 투구 두 * [[竇]] 구멍 두 * [[荳]] 콩 두[* 향신료의 일종 [[육두구]](肉荳䓻)에 쓰인다.] * [[蠹]] 좀 두[* 곤충의 일종 [[석두아]](石蠹蛾)에 쓰인다.] * [[逗]] 머무를 두 * [[臀]] 볼기 둔[* [[둔부]](臀部)에 쓰인다.] * [[芚]] 채소이름 둔 * [[遯]] 달아날, 둔괘 둔 * [[嶝]] 고개 등 * [[橙]] 등자나무 등[* 등자(橙子)는 나무의 일종이다.] * [[滕]] 나라이름, 물솟을 등[* [[손오]]의 인물 [[등윤]](滕胤)에 쓰인다.] === ㄹ === * [[喇]] 나팔 라 * [[癩]] 문둥이 라 * [[蘿]] 담쟁이덩굴, 무 라 * [[邏]] 순행할 라 * [[駱]] 낙타 락 * [[欒]] 나무이름 란 * [[鑾]] 방울 란 * [[闌]] 가로막을 란 * [[鸞]] 난새 란[* 난새란 중국의 전설 속의 새이다.] * [[嵐]] 아지랑이 람 * [[攬]] 잡을 람 * [[欖]] 감람나무 람[* 감람이란 [[올리브]]의 한자 표기이다.][* 감람(橄欖)에 쓰인다.] * [[纜]] 닻줄 람 * [[蠟]] 밀 랍 * [[榔]] 나무이름 랑 * [[瑯]] 고을이름, 옥이름 랑 * [[螂]] 말똥구리 랑 * [[勑]] 위로할 래 * [[徠]] 올, 위로할 래 * [[粱]] 기장 량 * [[儷]] 짝 려[* [[侶]]와는 다르다.] * [[厲]] 갈 려 * [[櫚]] 종려나무 려[* [[종려나무]]란 나무의 일종이다.][* 종려(棕櫚)에 쓰인다.] * [[濾]] 거를 려 * [[癘]] 염병 려 * [[荔]] 타래붓꽃 려 * [[藜]] 나라이름 려 * [[蠣]] 굴 려 * [[蠡]] 좀먹을 려 * [[驢]] 나귀 려 * [[櫟]] 상수리나무 력 * [[瀝]] 거를 력 * [[礫]] 조약돌 력 * [[殮]] 염할 렴 * [[鬣]] 말갈기 렵 * [[囹]] 옥 령[* 감옥을 뜻하는 영어(囹圄)에 쓰인다.] * [[岺]] 산으슥할 령 * [[笭]] 종다래끼 령 * [[羚]] 영양 령[* [[영양]](羚羊)에 쓰인다.] * [[翎]] 깃 령[* [[인천광역시]]의 섬 [[백령도]](白翎島)에 이 한자를 쓴다.] * [[聆]] 들을 령 * [[苓]] 도꼬마리 령 * [[逞]] 굳셀 령 * [[澧]] 강이름 례 * [[櫓]] 방패 로 * [[潞]] 강이름, 고을이름 로 * [[瀘]] 강이름 로 * [[輅]] 수레 로 * [[鹵]] 소금, 염전 로[*부수 부수이다.] * [[碌]] 돌모양 록[* [[대한검정회]] 본사의 소재지 [[녹번동]](碌磻洞)에 쓰인다.] * [[籙]] 책상자 록 * [[菉]] 조개풀 록 * [[麓]] 산기슭 록 * [[壟]] 언덕 롱 * [[朧]] 흐릿할 롱 * [[隴]] 고개이름 롱 * [[瀨]] 여울 뢰 * [[牢]] 짐승우리 뢰 * [[磊]] 돌무더기 뢰 * [[罍]] 술독, 대야 뢰 * [[耒]] 쟁기 뢰[*부수 부수이다.] * [[誄]] 뇌사, 조문 뢰 * [[賚]] 줄 * [[寮]] 벼슬아치 료 * [[廖]] 공허할 료 * [[燎]] 화톳불 료 * [[聊]] 즐길, 애오라지 료 * [[蓼]] 여뀌 료 * [[婁]] 별이름 루 * [[摟]] 끌어모을 루 * [[瘻]] 부스럼 루 * [[縷]] 실 루 * [[蔞]] 쑥 루 * [[鏤]] 새길 루 * [[旒]] 깃발 류 * [[榴]] 석류나무 류[* [[석류]](石榴에 쓰인다.)] * [[溜]] 처마물 류 * [[瀏]] 맑을 류 * [[瑬]] 면류관드리움 류 * [[瘤]] 혹 류 * [[勒]] 굴레 륵 * [[廩]] 곳집, 녹미 름 * [[稜]] 밭두둑, 모 릉 * [[唎]] 소리 리 * [[浬]] 해리 리[* 바다에서의 거리 [[해리]](海浬)에 쓰인다.] * [[涖]] 다다를, 물소리 리 * [[漓]] 스며들 리 * [[犁]] 얼룩소 리 * [[狸]] 너구리 리 * [[纚]] 갓끈 리 * [[罹]] 근심 리 * [[羸]] 여윌 리 * [[螭]] 교룡 리 * [[詈]] 꾸짖을 리 * [[醨]] 삼삼한술 리 * [[釐]] 다스릴 리 * [[鯉]] 잉어 리 * [[燐]] 도깨비불 린 * [[藺]] 골풀 린[* 조나라의 재상 [[인상여]]에 쓰인다.] * [[砬]] 돌소리 립 === ㅁ === * [[媽]] 암말 마 * [[碼]] 마노 마[* 보석의 일종 [[마노]](碼瑙)에 쓰이는 한자.] * [[麽]] 잘, 어찌 마 * [[瘼]] 병들 막 * [[卍]] 만자 만 * [[巒]] 뫼 만 * [[彎]] 굽을 만 * [[輓]] 상여소리 만 * [[饅]] 만두 만 * [[鰻]] 뱀장어 만 * [[唜]] 땅이름 말[*國 국자이다.] * [[抹]] 바를 말 * [[襪]] 버선 말 * [[芒]] 까끄라기 망 * [[輞]] 바퀴테 망 * [[陌]] 두렁 맥 * [[驀]] 말탈 맥 * [[氓]] 백성 맹 * [[冪]] 덮을 멱 * [[汨]] 강이름 멱 * [[㴐]] 물넘칠 면 * [[眄]] 애꾸눈 면 * [[緬]] 가는실 면 * [[瞑]] 눈감을 명 * [[椧]] 홈통 명 * [[皿]] 그릇 명 * [[暝]] 어두울, 성씨 명 * [[茗]] 차싹 명 * [[蓂]] 명협 명 * [[螟]] 마디충 명 * [[袂]] 소매 몌 * [[姆]] 여스승 모 * [[摹]] 베낄 모 * [[瑁]] 서옥 모 * [[眸]] 눈동자 모 * [[耄]] 늙은이 모 * [[芼]] 풀우거질 모 * [[麰]] 보리 모 * [[鶩]] 집오리 목 * [[曚]] 소경 몽 * [[朦]] 풍부할 몽 * [[杳]] 어두울 묘 * [[渺]] 아득할 묘 * [[眇]] 애꾸눈 묘 * [[竗]] 아름다울 묘 * [[廡]] 집, 처마 무 * [[无]] 없을 무[*부수 부수이다.] * [[楙]] 무성할, 모과나무 무 * [[繆]] 얽을 무 * [[蕪]] 거칠어질 무 * [[誣]] 속일, 무고할 무 * [[們]] 들 문 * [[刎]] 목벨 문 * [[吻]] 입술 문 * [[雯]] 구름무늬 문 * [[沕]] 아득할 물 * [[媚]] 아첨할 미 * [[嵄]] 산, 메 미 * [[嵋]] 산이름 미 * [[弭]] 활고자 미 * [[梶]] 나무끝 미 * [[楣]] 문미 미 * [[湄]] 물가 미 * [[糜]] 죽 미 * [[謎]] 수수께끼 미 * [[黴]] 곰팡이 미 * [[泯]] 망할 민 * [[緡]] 낚싯줄 민 * [[閩]] 종족이름 민 * [[謐]] 고요할 밀 === ㅂ === * [[亳]] 땅이름 박 * [[剝]] 벗길 박 * [[搏]] 잡을, 칠 박 * [[樸]] 통나무 박 * [[箔]] 발 박 * [[粕]] 지게미 박 * [[膊]] 포 박 * [[雹]] 우박 박 * [[拌]] 버릴 반 * [[攀]] 더위잡을 반 * [[斑]] 얼룩 반 * [[槃]] 쟁반 반 * [[泮]] 학교 * [[瘢]] 흉터 반 * [[盼]] 눈예쁠 반 * [[礬]] 명반 반[* 화학 물질 [[명반]](明礬)에 이 한자를 쓴다.] * [[絆]] 줄 반 * [[胖]] 희생반쪽, 갈비살 반 * [[蟠]] 서릴 반 * [[撥]] 다스릴 발 * [[醱]] 술괼 발[* 발효(醱酵)에 이 한자를 쓴다.] * [[魃]] 가물 발 * [[尨]] 삽살개 방 * [[幇]] 곁들 방 * [[枋]] 다목 방 * [[榜]] 매 방 * [[牓]] 패 방 * [[磅]] 돌떨어지는소리 방 * [[舫]] 배 방 * [[蒡]] 인동덩굴 방 * [[蚌]] 방합 방[* 방합(蚌蛤)에 이 한자를 쓴다.] * [[髣]] 비슷할 방 * [[焙]] 불에쬘 배 * [[胚]] 아이밸 배 * [[褙]] 속적삼 배 * [[幡]] 기 번 * [[樊]] 울 번 * [[燔]] 구울 번 * [[藩]] 덮을 번 * [[梵]] 범어 범 * [[泛]] 뜰, 물가득찰 범 * [[琺]] 법랑 법 * [[劈]] 쪼갤 벽 * [[擘]] 엄지손가락 벽 * [[檗]] 황벽나무 벽 * [[甓]] 벽돌 벽 * [[癖]] 적취, 버릇 벽 * [[蘗]] 황벽나무 벽 * [[辟]] 임금, 법 벽 * [[抃]] 손뼉칠 변 * [[籩]] 제기이름 변 * [[釆]] 분별할 변 * [[瞥]] 언뜻볼 별 * [[鱉]] 자라 별 * [[鼈]] 자라 별 * [[騈]] 나란히할 병 * [[湺]] 물막을 보 * [[珤]] 보배 보 * [[簠]] 제기이름 보 * [[黼]] 수 보 * [[匐]] 길 복 * [[宓]] 성 복 * [[幞]] 두건 복 * [[洑]] 나루 보 * [[茯]] 복령 * [[蔔]] 무 복 * [[輻]] 바퀴살 복 * [[輹]] 복토 복 * [[鰒]] 전복 복 * [[熢]] 연기자욱할 봉 * [[仆]] 엎드릴 부 * [[俘]] 사로잡을, 포로 부 * [[咐]] 분부할 부 * [[埠]] 부두 부 * [[祔]] 합사 * [[缶]] 장군 부 * [[艀]] 작은배 부 * [[莩]] 풀이름 부 * [[趺]] 책상다리할 부 * [[頫]] 머리숙일 부 * [[駙]] 곁마 부 * [[鮒]] 붕어 부 * [[鳧]] 오리 부 * [[吩]] 뿜을 분 * [[扮]] 꾸밀 분 * [[昐]] 햇빛 분 * [[苯]] 풀떨기로날 분 * [[賁]] 클 분 * [[巿]] 슬갑 불 * [[彿]] 비슷할 불 * [[黻]] 수 불 * [[棚]] 시렁 붕 * [[硼]] 붕사 붕 * [[繃]] 묶을 붕 * [[俾]] 더할 비 * [[圮]] 무너질 비 * [[妣]] 죽은어미 비 * [[憊]] 고달플 비 * [[斐]] 오락가락할 비 * [[榧]] 비자나무 비 * [[毗]] 도울 비 * [[沘]] 강이름 비 * [[沸]] 끓을 비 * [[痺]] 암메추라기 비 * [[砒]] 비상 비 * [[秕]] 쭉정이 비 * [[篚]] 대광주리 비 * [[翡]] 물총새 비 * [[菲]] 엷을, 무성할 비 * [[蜚]] 메뚜기, 날 비 * [[裨]] 도울 비 * [[轡]] 고삐 비 * [[霏]] 눈펄펄내릴 비 * [[髀]] 넓적다리 비 * [[嚬]] 찡그릴 빈 * [[檳]] 빈랑나무 빈 * [[殯]] 염할 빈 * [[浜]] 물가 빈 * [[瀕]] 물가, 임박할 빈 * [[玭]] 구슬이름 빈 * [[鬢]] 살쩍, 귀밑털 빈 * [[娉]] 장가들 빙 * [[騁]] 달릴 빙 === ㅅ === * [[乍]] 잠깐 사 * [[些]] 적을 사 * [[伺]] 엿볼 사 * [[俟]] 기다릴 사 * [[僿]] 잘게부술 사 * [[柶]] 수저 사[* 윷놀이 척사(擲柶)에 이 한자를 쓴다.] * [[梭]] 북 사 * [[槎]] 떼 사 * [[渣]] 찌끼 사 * [[竢]] 기다릴 사 * [[篩]] 체 사 * [[耜]] 보습 사 * [[莎]] 향부자 사 * [[蓑]] 도롱이 사 * [[駟]] 사마 사 * [[麝]] 사향노루 사[* 사향노루는 노루의 일종이다. 사향(麝香).] * [[槊]] 창 삭 * [[蒴]] 말오줌때 삭 * [[鑠]] 녹일, 빛날 삭 * [[刪]] 깎을 산 * [[汕]] 오구, 물고기자맥질할 산 * [[疝]] 배아플 산 * [[繖]] 일산 산 * [[蒜]] 달래 산[* 마늘 산이라고도 한다. 참고로 마늘은 대산(大蒜), 달래는 소산(小蒜)이다.][* 산적(蒜炙)에 쓰인다.] * [[霰]] 싸라기눈 산 * [[乷]] 땅이름 살[*國][* 충주시의 행정구역 살미면(乷味面)이 이 한자를 쓴다.] * [[煞]] 죽일, 총괄할 살 * [[滲]] 스밀 삼 * [[芟]] 벨 삼 * [[衫]] 적삼 삼[* 적삼(赤衫)에 쓰인다.] * [[澁]] 떫을 삽 * [[鈒]] 창 삽 * [[颯]] 바람소리 삽 * [[孀]] 과부 상 * [[峠]] 고개 상 * [[廂]] 행랑 상 * [[橡]] 상수리나무 상[* 고사성어 구반상실에 쓰인다.] * [[殤]] 일찍죽을 상 * [[觴]] 잔 상 * [[賽]] 굿할 새 * [[鰓]] 아가미 새 * [[噬]] 씹을 서 * [[墅]] 농막 서 * [[犀]] 무소 서 * [[筮]] 점대 서 * [[絮]] 솜 서 * [[胥]] 서로 서 * [[薯]] 참마 서 * [[鋤]] 호미 서 * [[黍]] 기장 서[* 기장은 곡물이다.] * [[鼠]] 쥐 서[* 쥐를 의인화하여 부르는 말 서생원(鼠生圓)에 쓰인다. 비슷한 말로는 토생원, 호생원 등이 있다.] * [[潟]] 개펄 석 * [[蓆]] 자리 석 * [[僊]] 춤출, 신선 선 * [[敾]] 다스릴 선 * [[癬]] 옴 선 * [[蘚]] 이끼 선 * [[蟬]] 매미 선 * [[詵]] 많을 선 * [[跣]] 맨발 선 * [[鐥]] 복자 선 * [[饍]] 반찬 선 * [[偰]] 맑을 설 * [[媟]] 깔볼, 친압할 설 * [[屑]] 가루 설 * [[挈]] 손에들 설 * [[齧]] 물 설 * [[剡]] 땅이름 섬 * [[贍]] 넉넉할 섬 * [[躡]] 밟을, 이를 섭 * [[宬]] 서고 성 * [[猩]] 성성이 성 * [[筬]] 바디 성 * [[腥]] 비릴 성 * [[笹]] 가는대, 조릿대 세 * [[塑]] 토우 소 * [[宵]] 밤 소 * [[梳]] 빗 소 * [[泝]] 거슬러올라갈, 맞을 소 * [[瀟]] 강이름 소 * [[瘙]] 종기 소 * [[甦]] 되살아날, 긁어모을 소 * [[疋]] 발 소 * [[篠]] 가는대, 조릿대 소 * [[簫]] 퉁소 소 * [[繰]] 고치켤 소 * [[艘]] 배 소 * [[蕭]] 맑은대쑥, 쓸쓸할 소 * [[銷]] 녹일 소 * [[涑]] 헹굴 속 * [[謖]] 일어날 속 * [[贖]] 속바칠 속 * [[蓀]] 향풀이름 손 * [[飡]] 저녁밥 손 * [[蟀]] 귀뚜라미 솔 * [[瑣]] 자질구레할 쇄 * [[叟]] 늙은이 수 * [[嗽]] 기침할 수 * [[溲]] 오줌, 반죽할 수 * [[漱]] 양치질할 수 * [[燧]] 부싯돌, 횃불 수 * [[璲]] 패옥 수 * [[睟]] 바로볼 수 * [[脩]] 포 수 * [[茱]] 수유 수 * [[蓚]] 수산 * [[藪]] 늪 수 * [[邃]] 깊을 수 * [[銹]] 녹쓸 수 * [[鬚]] 수염 수 * [[倏]] 갑자기, 빛 숙 * [[潚]] 깊고맑을 숙 * [[菽]] 콩 숙 * [[徇]] 주창할 순 * [[恂]] 정성 순 * [[栒]] 가름대나무 순 * [[楯]] 난간 순 * [[橓]] 무궁화나무 순 * [[蓴]] 순채 순 * [[鉥]] 돗바늘 술 * [[崧]] 우뚝솟을 숭 * [[蝨]] 이 슬 * [[褶]] 주름 습 * [[蠅]] 파리 승 * [[偲]] 책선 * [[匙]] 숟가락 시 * [[嘶]] 울 시 * [[塒]] 홰 * [[屎]] 똥 시 * [[枲]] 모시풀, 삼 시 * [[緦]] 시마복 시 * [[翅]] 날개 시 * [[蓍]] 시초 시 * [[蒔]] 모종낼 시 * [[諡]] 시호 시 * [[豕]] 돼지 시[*부수 부수이다.] * [[豺]] 승냥이 시 * [[篒]] 대밥그릇 식 * [[侁]] 걷는모양 신 * [[呻]] 끙끙거릴 신 * [[宸]] 집 신 * [[燼]] 깜부기불 신 * [[矧]] 하물며 신 * [[藎]] 조개풀 신 * [[蜃]] 무명조개 신[* [[신기루]](蜃氣樓)에 이 한자를 쓴다.] * [[蟋]] 귀뚜라미 실 * [[芯]] 등심초 심 * [[諶]] 참 심 === ㅇ === * [[俄]] 갑자기 아[* [[러시아]]의 음역어 아라사(俄羅斯)에 이 한자를 쓴다.] * [[莪]] 새발쑥 아[* 쑥과 무를 뜻하는 청아(菁莪)에 이 한자를 쓴다.] * [[蛾]] 나방 아[* 흰제비불나방인 [[포아]](匏蛾)에 이 한자를 쓴다.] * [[鴉]] 갈까마귀 아[* 소량의 인물 [[양아인]](羊鴉仁)에 이 한자를 쓴다.] * [[鵝]] 거위 아 * [[喔]] 닭소리 악 * [[幄]] 휘장 악 * [[渥]] 두터울 악 * [[鄂]] 땅이름 악 * [[鍔]] 칼날 악 * [[顎]] 얼굴높을 악 * [[鰐]] 악어 악[* 훈 그대로 악어(鰐魚)에 이 한자를 쓴다.] * [[齷]] 악착할 악[* 악착(齷齪)하다 할 때 쓰인다.] * [[鮟]] 아귀 안 * [[揠]] 뽑을 알 * [[歹]] 앙상한뼈 알[*부수 부수이다. 죽을사변] * [[遏]] 막을 알 * [[唵]] 머금을 암[* [[강진군]]의 행정구역 옴천면(唵川面)에 이 한자를 쓴다. 특이하게도 음이 '''옴'''이다.] * [[嵒]] 바위, 가파를 암[* 巖과 통자(通字).] * [[諳]] 욀 암 * [[黯]] 어두울, 검을 암[* 暗과 통자로 암매(黯昧)에 쓰인다.] * [[狎]] 익숙할 압 * [[怏]] 원망할 앙 * [[盎]] 동이 앙[* 중국 전한의 정치가 [[원앙(전한)|원앙]](袁盎)의 이름에 쓰인다.] * [[秧]] 모 앙 * [[靄]] 아지랑이 애[* 아지랑이란 더운 날 지면이 뜨거워질 때 발생하는, 먼 곳의 물체가 가까이 보이는 과학적 현상이다.] * [[扼]] 누를 액 * [[掖]] 겨드랑, 부축할 액[* 겨드랑이를 뜻할 때는 腋과 통자(通字)] * [[縊]] 목맬 액 * [[阨]] 막힐 액 * [[罌]] 물장군 앵 * [[揶]] 희롱할 야 * [[椰]] 야자나무 야[* 나무의 일종 애자(椰子)에 쓰인다.] * [[葯]] 구리때잎 약 * [[蒻]] 부들 약 * [[鑰]] 자물쇠 약 * [[佯]] 거짓 양 * [[恙]] 근심 양[* 균의 이름 [[쯔쯔가무시]](恙蟲)에 쓰인다.] * [[敭]] 오를 양 * [[暘]] 해돋이 양[* 배우 [[곽시양]](郭時暘)의 이름에 쓰인다.] * [[瀁]] 내이름 양 * [[煬]] 쬘 양 * [[痒]] 앓을 양[* 癢의 간체자.] * [[禳]] 제사이름 양 * [[穰]] 볏대 양 * [[釀]] 빚을 양 * [[颺]] 흩날릴 양 * [[圄]] 옥 어[* 감옥을 뜻하는 영어(囹圄)에 이 한자를 쓴다.] * [[瘀]] 어혈질 어 * [[齬]] 어긋날 어 * [[臆]] 가슴 억 * [[偃]] 쓰러질 언 * [[堰]] 방죽 언 * [[嫣]] 웃을, 아름다울 언 * [[孼]] 서자 얼[* 과거 [[조선]]의 신분 [[서얼]](庶孼)에 이 한자를 쓴다.] * [[蘖]] 그루터기 얼 * [[儼]] 근엄할 엄 * [[淹]] 담글 엄 * [[渰]] 비구름일 엄 * [[歟]] 어조사 여 * [[璵]] 옥 여 * [[礖]] 비상섞인돌 여 * [[艅]] 배이름 여 * [[茹]] 먹을, 기를 여 * [[轝]] 수레 여 * [[繹]] 풀어낼, 실마리 역 * [[閾]] 문지방 역 * [[吮]] 빨, 핥을 연 * [[嚥]] 삼킬 연 * [[堧]] 빈터 연 * [[挻]] 늘일 연 * [[椽]] 서까래 연 * [[涎]] 침, 물흐를 연 * [[瑌]] 옥돌 연 * [[縯]] 길 연 * [[鳶]] 솔개 연 * [[冉]] 나아갈 염 * [[焰]] 불댕길, 불꽃 염 * [[苒]] 풀우거질 염 * [[髥]] 구레나룻 염 * [[嶸]] 가파를 영 * [[潁]] 강이름 영 * [[濚]] 물돌아나갈 영 * [[瀛]] 바다 영 * [[籯]] 광주리 영 * [[霙]] 진눈깨비 영 * [[倪]] 어린이 예 * [[汭]] 물굽이 예 * [[猊]] 사자 예 * [[瘞]] 묻을, 제터 예 * [[穢]] 더러울, 잡초 예 * [[蘂]] 꽃술 예 * [[詣]] 이를 예 * [[霓]] 무지개 예 * [[俉]] 맞이할 오 * [[圬]] 흙손 오 * [[塢]] 둑, 언덕, 마을 오 * [[忤]] 거스를 오 * [[懊]] 한할 오 * [[敖]] 놀 오 * [[澳]] 깊을 오 * [[熬]] 볶을 오 * [[獒]] 개 오 * [[筽]] 버들고리 오 * [[蜈]] 지네 오[* 지네를 뜻하는 [[오공]](蜈蚣)에 이 한자를 쓴다.] * [[螯]] 집게발 오 * [[襖]] 도포, 웃옷 오 * [[鼇]] 자라 오 * [[鼯]] 다람쥐 오[* 오서(鼯鼠)에 이 한자를 쓴다. 오서란 날다람쥐.] * [[慍]] 성낼 온 * [[瘟]] 염병 온 * [[縕]] 헌솜 온 * [[蘊]] 쌓을 온 * [[醞]] 빚을 온 * [[兀]] 우뚝할 올[*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가상인물 [[올돌골]](兀突骨)에 이 한자를 쓴다.] * [[嗈]] 기러기짝지어울 옹 * [[癰]] 악창 옹 * [[顒]] 공경할 옹 * [[饔]] 아침밥 옹 * [[娃]] 아름다울 와 * [[窩]] 보금자리, 숨길 와 * [[窪]] 웅덩이 와 * [[蛙]] 개구리 와 * [[蝸]] 달팽이 와 * [[宛]] 굽을 완 * [[椀]] 주발 완 * [[琓]] 옥돌 완 * [[碗]] 그릇 완 * [[脘]] 밥통 완 * [[豌]] 완두 완 * [[頑]] 완고할 완 * [[矮]] 키작을 왜[* 키가 작다는 말 왜소(矮小)에 이 한자를 쓴다.] * [[嵬]] 높을 외[* 巍와는 다른 글자이다.] * [[巍]] 높을 외[* 嵬와는 다른 글자이다.] * [[嶢]] 높을 요 * [[徭]] 구실 요 * [[拗]] 꺾을 요 * [[繇]] 역사 요 * [[繞]] 두를 요[* 요대(繞帶)에 쓰인다.] * [[蟯]] 요충 요 * [[邀]] 맞을 요 * [[縟]] 화문놓을 욕 * [[褥]] 요 욕 * [[俑]] 허수아비 용 * [[冗]] 번잡할 용 * [[慂]] 권할 용 * [[慵]] 게으를 용 * [[甬]] 휘, 길 용 * [[聳]] 솟을 용 * [[旴]] 클 우 * [[㳓]] 물이름 우[* 대동강을 뜻하는 한자.] * [[盂]] 바리 우[* 바리는 승려가 사용하는 그릇이다.][* [[발우]](鉢盂)에 쓰인다.] * [[禑]] 복 우 * [[紆]] 굽을 우 * [[芋]] 토란 우[* [[토란]]은 식물의 일종이다.] * [[藕]] 연뿌리 우 * [[雩]] 기우제 우[* [[이승만]] 전 대통령의 호 우남(雩南)에 쓰인다.] * [[䨒]] 물소리 우 * [[勖]] 힘쓸 욱 * [[栯]] 산앵두 욱 * [[稶]] 서직무성할 욱 * [[橒]] 나무무늬 운 * [[熉]] 노란모양 운 * [[蕓]] 평지 운 * [[隕]] 떨어질 운 * [[亐]] 땅이름 울[*國 국자이다.][* 于의 이체자이기도 한다.] * [[湲]] 물흐를 원 * [[爰]] 이에 원 * [[黿]] 자라 원 * [[鉞]] 도끼 월 * [[萎]] 마를 위 * [[葳]] 초목무성한모양 위 * [[葦]] 갈대 위[* 고사성어[[일위도강]](一葦渡江)에 쓰인다.] * [[蔿]] 애기풀 위 * [[蝟]] 고슴도치 위 * [[闈]] 대궐작은문 위 * [[呦]] 울 유 * [[囿]] 동산 유 * [[壝]] 제단 유 * [[揄]] 끌 유 * [[杻]] 감탕나무 유 * [[楢]] 졸참나무 유 * [[萸]] 수유 유 * [[襦]] 저고리 유 * [[諛]] 아첨할 유 * [[逾]] 넘을 유 * [[釉]] 물건빛있을, 윤 유 * [[鍮]] 놋쇠 유 * [[毓]] 기를 육 * [[贇]] 예쁠 윤[* 배우 [[려운]](본명 고윤환高贇煥)이 이 한자를 쓴다.] * [[聿]] 붓 율 * [[瀜]] 물이깊고넓은모양 융 * [[絨]] 융 융 * [[听]] 웃을 은 * [[嚚]] 어리석을 은 * [[慇]] 괴로워할 은 * [[狺]] 개으르렁거릴 은 * [[訔]] 논쟁할 은 * [[蔭]] 풀그늘, 덮을 음 * [[挹]] 뜰 읍 * [[揖]] 읍 읍 * [[艤]] 배댈 의 * [[薏]] 율무 의 * [[螠]] 도롱이벌레 의 * [[蟻]] 개미 의 * [[饐]] 밥쉴 의 * [[痍]] 상처 이 * [[肄]] 익힐 이 * [[苡]] 질경이 이 * [[荑]] 풀벨 이 * [[迤]] 비스듬할 이 * [[飴]] 엿 이 * [[餌]] 먹이 이 * [[婣]] 혼인 인 * [[湮]] 잠길 인 * [[絪]] 기운 인 * [[茵]] 자리 인 * [[蚓]] 지렁이 인 * [[靭]] 질길 인 * [[靷]] 가슴걸이 인 * [[佚]] 편안할 일 * [[釰]] 둔할, 무딜 일 * [[恁]] 생각할 임 * [[荏]] 들깨 임 * [[卄]] 스물 입[* 스물을 나타내는 글자. 즉, 20은 二十으로도, 卄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 [[芿]] 새풀싹 잉 === ㅈ === * [[孜]] 힘쓸 자 * [[粢]] 기장, 제사곡식 자 * [[茨]] 가시나무 자 * [[蔗]] 사탕수수 자 * [[觜]] 별이름, 털뿔 자 * [[赭]] 붉은흙 자 * [[勺]] 구기 작 * [[嚼]] 씹을 작 * [[斫]] 벨, 쪼갤 작 * [[綽]] 너그러울 작 * [[醋]] 술권할 작 * [[孱]] 잔약할 잔 * [[棧]] 잔도 잔 * [[潺]] 물흐르는소리 잔 * [[岑]] 봉우리 잠 * [[簪]] 비녀 잠 * [[仗]] 무기 장 * [[槳]] 상앗대 장 * [[檣]] 돛대 장 * [[欌]] 장롱 장 * [[漿]] 미음 장 * [[獐]] 노루 장 * [[瘴]] 장기 장 * [[臧]] 착할 장 * [[萇]] 나무이름 장 * [[贓]] 장물 장 * [[醬]] 간장 장[* 간장, 된장, 고추장할 때 그 장이다.] * [[滓]] 찌끼 재 * [[纔]] 겨우, 비로소 재 * [[賫]] 집어줄 재 * [[齎]] 가져올 재 * [[箏]] 쟁 쟁 * [[諍]] 간할 쟁 * [[佇]] 우두커니 저 * [[儲]] 쌓을 저 * [[姐]] 맏누이 저 * [[杵]] 방망이 저 * [[樗]] 가죽나무 저 * [[氐]] 근본 저 * [[渚]] 물가 저 * [[狙]] 원숭이 저 * [[豬]] 돼지 저[* 猪와 통자(通字).] * [[疽]] 등창 저 * [[紵]] 모시 저 * [[苧]] 모시 저 * [[菹]] 채소절임 저 * [[藷]] 사탕수수 저 * [[詆]] 꾸짖을 저 * [[詛]] 저주할 저 * [[這]] 이 저 * [[雎]] 물수리 저 * [[齟]] 어긋날 저 * [[勣]] 공적, 업적 적 * [[狄]] 오랑캐 적[* 과거 중국에서 북쪽 오랑캐를 이르던 [[북적]](北狄)에 쓰이는 글자.] * [[糴]] 쌀사들일 적 * [[翟]] 꿩 적 * [[荻]] 물억새 적 * [[謫]] 귀양갈 적 * [[鏑]] 살촉 적 * [[頔]] 아름다울 적 * [[佃]] 밭갈 전 * [[囀]] 지저귈 전 * [[塼]] 벽돌 전 * [[悛]] 고칠 전 * [[腆]] 두터울 전 * [[氈]] 모전 전[* 모전이란 짐승의 털의 무늬가 드러나도록, 두껍고 부드럽게 짠 요를 말한다.] * [[澱]] 앙금 전 * [[畑]] 화전 전 * [[煎]] 달일 전 * [[畋]] 밭갈, 사냥할 전 * [[癲]] 미칠 전 * [[筌]] 통발 전 * [[箋]] 글 전 * [[篆]] 전자 전 * [[箭]] 화살 전 * [[纏]] 얽힐 전 * [[輾]] 구를 전 * [[顫]] 떨릴 전 * [[鈿]] 비녀 전 * [[鐫]] 새길, 송곳 전 * [[顓]] 전단 전 * [[餞]] 전별할 전 * [[截]] 끊을 절 * [[浙]] 강이름 절[* 중국의 성 이름 저장성(浙江省)에 쓰이는 글자이다. 참고로 저장성은 한국식 발음으로 하면 절강성이다.] * [[癤]] 부스럼 절 * [[坫]] 경계 점 * [[岾]] 고개 점 * [[覘]] 엿볼 점 * [[霑]] 젖을 점 * [[鮎]] 메기 점 * [[摺]] 접을 접 * [[椄]] 접붙일 접 * [[楪]] 평상 접 * [[凊]] 서늘할 정 * [[檉]] 위성류 정 * [[渟]] 물괼 정 * [[瀞]] 맑을 정 * [[睛]] 눈동자 정 * [[菁]] 부추꽃, 순무 정 * [[諪]] 조정할 정 * [[霆]] 천둥소리 정 * [[鞓]] 가죽띠 정 * [[啼]] 울 제 * [[磾]] 검은물들이는돌 제 * [[臍]] 배꼽 제 * [[薺]] 냉이 제 * [[躋]] 오를 제 * [[醍]] 맑은술 제 * [[霽]] 갤 제 * [[徂]] 갈, 비롯할 조 * [[殂]] 죽을 조 * [[漕]] 배로실어나를 조 * [[璪]] 면류관드림옥 조 * [[皁]] 검을, 마구간 조 * [[稠]] 빽빽할 조 * [[竈]] 부엌 조 * [[粗]] 거칠 조 * [[糶]] 쌀내어팔 조 * [[胙]] 제지낸고기, 복 조 * [[藻]] 마름 조 * [[蚤]] 벼룩 조 * [[躁]] 성급할 조 * [[阻]] 험할 조 * [[雕]] 독수리 조 * [[簇]] 조릿대 족 * [[猝]] 갑자기 졸 * [[慫]] 권할 종 * [[踵]] 발꿈치 종 * [[蹤]] 자취, 뒤좇을 종 * [[挫]] 꺾을 좌 * [[侏]] 난쟁이 주 * [[姝]] 어여쁠 주 * [[籌]] 투호살 주 * [[紬]] 명주 주[* 명주(明紬)에 쓰이는 글자. 명주란 명주실로 짜낸 직물을 뜻한다.] * [[綢]] 얽을 주 * [[胄]] 맏아들 주 * [[蛛]] 거미 주 * [[酎]] 진한술 주 * [[霔]] 장마 주 * [[粥]] 죽 죽 * [[鬻]] 죽 죽 * [[寯]] 모일 준 * [[樽]] 술통 준 * [[皴]] 주름, 살틀 준 * [[蠢]] 꿈틀거릴 준 * [[蹲]] 웅크릴 준 * [[逡]] 뒷걸음질칠 준 * [[喞]] 두근거릴 즉 * [[葺]] 기울 즙 * [[拯]] 건질 증 * [[璔]] 더할, 옥모양 증 * [[甑]] 시루 증 * [[繒]] 비단 증 * [[枳]] 탱자나무 지 * [[漬]] 담글 지 * [[砥]] 숫돌 지 * [[芷]] 구리때 지 * [[蜘]] 거미 지 * [[禔]] 복 지 * [[贄]] 폐백 지 * [[唇]] 놀랄 진 * [[嗔]] 성낼 진 * [[搢]] 꽂을 진 * [[桭]] 평고대 진 * [[榛]] 개암나무 진 * [[殄]] 다할, 죽을 진 * [[溱]] 많을 진 * [[畛]] 두렁길 진 * [[疹]] 홍역 진 * [[瞋]] 부릅뜰 진 * [[縉]] 붉은비단, 꽂을 진 * [[臻]] 이를 진 * [[蔯]] 사철쑥 진 * [[袗]] 홑옷 진 * [[侄]] 어리석을 질 * [[帙]] 책갑 질 * [[桎]] 차꼬 질 * [[礩]] 주춧돌, 맷돌 질 * [[絰]] 질 질 * [[膣]] 새살돋을 질 * [[蛭]] 거머리 질 * [[迭]] 갈마들 질 * [[軼]] 번갈아들 질 * [[朕]] 나 짐 * [[戢]] 그칠 집 * [[緝]] 낳을 집 === ㅊ === * [[侘]] 실의할 차 * [[嗟]] 탄식할 차 * [[嵯]] 우뚝솟을 차 * [[箚]] 차자 차[* 차자는 글씨를 돌 따위에 찔러 새기는 일이다.] * [[搾]] 짤 착 * [[窄]] 좁을 착 * [[鑿]] 뚫을 착 * [[齪]] 악착할 착[* 악착(齷齪)하다 할 때 쓰인다.] * [[竄]] 숨을 찬 * [[簒]] 빼앗을 찬[* [[찬탈]](簒奪)에 쓰이는 글자.] * [[酇]] 나라이름 찬 * [[饌]] 반찬 찬[* 반찬(飯饌)에 이 한자를 쓴다.] * [[扎]] 뺄 찰 * [[紮]] 감을 찰 * [[僭]] 참람할 참 * [[站]] 우두커니설 참 * [[譖]] 참소할, 하소연할 참[* 讒과 동자.] * [[讖]] 참서 참 * [[驂]] 참마 * [[倡]] 광대 창 * [[娼]] 몸파는여자 창[* 창녀(娼女)에 이 한자를 쓴다.] * [[悵]] 슬퍼할 창 * [[搶]] 닿을, 이를 창 * [[槍]] 창 창[* 말그대로 무기 창에 이 한자를 쓴다.] * [[氅]] 새털 창 * [[漲]] 불을 창 * [[猖]] 미쳐날뛸 창[* 창궐(猖獗)에 이 한자를 쓴다.] * [[脹]] 배부를 창 * [[艙]] 선창 창 * [[鬯]] 울창주, 활집 창[*부수 부수이다.] * [[寨]] 울짱 채 * [[砦]] 울타리 채 * [[釵]] 비녀 채 * [[柵]] 울짱 책 * [[萋]] 풀무성할 처 * [[倜]] 대범할 척 * [[摭]] 주울 척 * [[擲]] 던질 척[* 윷놀이 척사(擲柶)에 이 한자를 쓴다.] * [[蹠]] 밟을 척 * [[喘]] 헐떡일 천 * [[擅]] 멋대로 천 * [[玔]] 옥고리 천 * [[穿]] 뚫을 천 * [[舛]] 어그러질 천[*부수 부수이다.] * [[蕆]] 경계할 천 * [[闡]] 열 천 * [[韆]] 그네 천[* 그네 추천(鞦韆)에 이 한자를 쓴다.] * [[歠]] 마실 철 * [[輟]] 그칠 철 * [[忝]] 더럽힐, 욕될 첨 * [[檐]] 추녀 첨 * [[沾]] 더할 첨 * [[甛]] 달 첨 * [[簽]] 농 * [[簷]] 처마 첨 * [[詹]] 소곤거릴 첨 * [[堞]] 성가퀴 첩[* 성가퀴란 성 위에 쌓은 낮은 담을 뜻한다.] * [[疊]] 겹쳐질 첩[* 성어 [[첩첩산중]](疊疊山中)에 이 한자를 쓴다.] * [[睫]] 속눈썹 첩 * [[貼]] 붙을 첩 * [[輒]] 문득 첩 * [[鯖]] 청어 청[* 청어란 물고기의 일종이다.][* 일본에서는 고등어를 뜻하기도 한다.] * [[剃]] 머리깎을 체 * [[涕]] 눈물 체 * [[禘]] 종묘제사이름 체 * [[蔕]] 가시, 꼭지 체 * [[遆]] 성씨 체 * [[剿]] 끊을 초 * [[悄]] 근심할 초 * [[憔]] 수척할 초 * [[梢]] 나무끝 초 * [[椒]] 산초나무 초 * [[炒]] 볶을 초 * [[硝]] 초석 초 * [[礁]] 숨은바윗돌 초 * [[稍]] 벼줄기끝 초 * [[綃]] 생사 * [[苕]] 능소화 초 * [[貂]] 담비 초 * [[軺]] 수레 * [[迢]] 멀 초 * [[酢]] 초 초 * [[醮]] 초례 초 * [[鈔]] 노략질할, 베낄 초 * [[鞘]] 칼집 초 * [[髫]] 다박머리 초 * [[矗]] 우거질 촉 * [[鏃]] 살촉 촉 * [[忖]] 헤아릴 촌 * [[邨]] 마을 촌[* 村의 본자.] * [[冢]] 무덤, 사직단 총[* 塚과 통자(通字)이다.] * [[悤]] 바쁠, 총명할 총 * [[憁]] 바쁠 총 * [[摠]] 모두 총 * [[蔥]] 파 총 * [[驄]] 총이말 총 * [[撮]] 찍을 촬 * [[啐]] 맛볼 쵀 * [[摧]] 꺾을 최 * [[惆]] 실심할, 슬퍼할 추 * [[椎]] 쇠뭉치 추 * [[湫]] 다할, 늪 추 * [[瘳]] 나을 추 * [[皺]] 주름살 추 * [[芻]] 꼴 추 * [[萩]] 사철쑥 추 * [[諏]] 꾀할 추 * [[酋]] 두목 추[* 부족 단위의 두목인 [[추장]](酋長)에 이 한자를 쓴다.] * [[鎚]] 쇠망치 추 * [[雛]] 병아리 추 * [[鞦]] 그네 추[* 그네 추천(鞦韆)에 이 한자를 쓴다.] * [[騶]] 말먹이는사람 추 * [[鰍]] 미꾸라지 추[* 물고기 이름 추어(鰍魚)와 이로 만든 요리 [[추어탕]](鰍魚湯)에 이 한자를 쓴다.] * [[麤]] 거칠 추[* [[한자급수자격시험]]의 배정 한자 중 제일 획수가 많다. 무려 '''33획'''.] * [[竺]] 대나무 축[* 인도의 옛 이름인 [[천축국]](天竺國)에 이 한자를 쓴다.] * [[筑]] 악기이름 축[* 중국에서는 築의 간체자로 쓰기도 한다.] * [[蹙]] 대지를 축 * [[顣]] 찡그릴 축 * [[朮]] 차조 출[* 차조란 찰기가 있는 조를 말한다.] * [[悴]] 파리할 췌 * [[膵]] 췌장 췌[* 신체의 장기인 췌장(膵臟)에 이 한자를 쓴다.] * [[贅]] 혹 췌 * [[嘴]] 부리 취 * [[驟]] 달릴 취 * [[鷲]] 수리 취[* 대머리수리인 독취(禿鷲)에 이 한자를 쓴다.] * [[厠]] 뒷간 측[* 뒷간인 측간(厠間)에 이 한자를 쓴다.] * [[嗤]] 웃을 치 * [[寘]] 둘, 받아들일 치 * [[幟]] 기 치[* 일본의 깃발 [[노보리]](幟)에 이 한자를 쓴다.] * [[梔]] 치자나무 치[* 나무의 일종인 치자(梔子)에 이 한자를 쓴다.] * [[淄]] 검은빛 치 * [[痔]] 치질 치 * [[緇]] 검은비단 치 * [[緻]] 촘촘할 치 * [[蚩]] 어리석을 치[* 癡와 통자(通字).] * [[輜]] 짐수레 치 * [[錙]] 저울눈 치 * [[鴟]] 솔개, 올빼미 치 * [[飭]] 신칙할 칙 * [[柒]] 옻 칠[* 七의 갖은자이다.] * [[忱]] 정성 침[* 조선 [[성종]]의 왕자 [[이침]](李忱)에 이 한자를 쓴다.] * [[砧]] 다듬잇돌 침 === ㅌ === * [[拖]] 끌 타 * [[朶]] 늘어질 타 * [[楕]] 길쭉할 타 * [[舵]] 키 타 * [[陀]] 비탈질 타 * [[陁]] 비탈질 타 * [[駝]] 낙타 타[* 낙타(駱駝)에 이 한자를 쓴다.] * [[啄]] 쪼을 탁 * [[坼]] 터질 탁 * [[柝]] 열 탁 * [[殫]] 다할, 두루 탄 * [[綻]] 옷터질 탄 * [[頉]] 탈날 탈 * [[搨]] 베낄 탑 * [[榻]] 걸상 탑 * [[宕]] 방탕할 탕 * [[帑]] 금고 탕 * [[盪]] 씻을 탕 * [[笞]] 볼기칠 태 * [[迨]] 미칠 태 * [[駄]] 짐실을, 짐 태 * [[橕]] 기둥, 지주 탱 * [[牚]] 버팀목, 버틸 탱[* 撐과 통자(通字)이다.] * [[攄]] 펼 터 * [[菟]] 새삼 통 * [[慟]] 서럽게울 통 * [[槌]] 던질 퇴 * [[腿]] 넓적다리 퇴 * [[褪]] 바랠 퇴 * [[頹]] 무너질 퇴 * [[偸]] 훔칠 투 * [[慝]] 사특할 특 * [[闖]] 내밀, 들이밀 틈[* 틈입(闖入에 이 한자를 쓴다.)] === ㅍ === * [[怕]] 두려울, 아마 파 * [[擺]] 열릴 파 * [[爬]] 긁을 파 * [[葩]] 꽃 파 * [[跛]] 절뚝발이 파 * [[瓣]] 외씨 판 * [[辦]] 힘쓸 판[* [[판무관]](辦務官)에 이 하나를 쓴다.] * [[鈑]] 금박 판 * [[叭]] 입벌릴 팔 * [[捌]] 깨뜨릴 팔 * [[唄]] 찬불 패 * [[孛]] 살별, 혜성 패 * [[悖]] 어그러질 패 * [[狽]] 이리 패 * [[稗]] 피 패 * [[膨]] 부풀 팽 * [[愎]] 괴팍할 퍅 * [[徧]] 두루, 돌 편 * [[翩]] 빨리날 편 * [[騙]] 속일 편 * [[貶]] 떨어뜨릴 폄 * [[萍]] 부평초 평 * [[吠]] 짖을 폐 * [[嬖]] 사랑할 폐 * [[斃]] 넘어질 폐 * [[佈]] 펼 포 * [[匍]] 길 포 * [[匏]] 박 포 * [[咆]] 으르렁거릴 포 * [[圃]] 채마밭 포 * [[晡]] 신시 * [[炮]] 통째로구울 포 * [[疱]] 천연두 포 * [[脯]] 포 포 * [[苞]] 그령 * [[蒲]] 부들, 창포 포 * [[袍]] 두루마기 포 * [[逋]] 달아날 포 * [[曝]] 쬘 폭 * [[俵]] 흩을 표 * [[剽]] 빠를 표 * [[慓]] 날랠 표 * [[瓢]] 박 표 * [[飇]] 회오리바람 표 * [[陂]] 비탈 피 * [[蹕]] 길치울 필 === ㅎ === * [[瘧]] 학질 학 * [[悍]] 사나울 한 * [[捍]] 막을, 세찰 한 * [[狠]] 개싸우는소리 한 * [[罕]] 그물, 드물 한 * [[喊]] 고함지를 함 * [[檻]] 우리 함 * [[諴]] 화할 함 * [[銜]] 재갈, 직함 함 * [[哈]] 물고기많은모양 합 * [[盍]] 어찌아니할 합 * [[盒]] 소반뚜껑 합 * [[蛤]] 대합조개 합[* [[조개]]를 뜻하는 방합(蚌蛤)에 이 한자를 쓴다.] * [[閤]] 쪽문 합 * [[闔]] 문짝 합 * [[伉]] 짝, 굳셀 항 * [[杭]] 거룻배, 고을이름 항 * [[桁]] 횃대 항 * [[缸]] 항아리 항 * [[肛]] 항문 항[* 항문(肛門)에 쓰인다.] * [[咳]] 아이웃을, 기침 해 * [[垓]] 지경 해 * [[孩]] 어린아이 해 * [[廨]] 관아 해 * [[瀣]] 이슬기운 해 * [[蟹]] 게 해 * [[醢]] 젓갈 해 * [[劾]] 캐물을 핵[* [[탄핵]](彈劾)에 이 한자를 쓴다.] * [[覈]] 핵문할 핵 * [[荇]] 마름 행 * [[嚮]] 향할, 지난번 향 * [[餉]] 건량 향 * [[噓]] 불 허 * [[歇]] 쉴 헐 * [[焃]] 붉을, 밝을 혁 * [[俔]] 염탐할 현 * [[睍]] 불거진눈 현 * [[絢]] 무늬 현 * [[舷]] 뱃전 현 * [[衒]] 팔 현 * [[孑]] 외로울 혈 * [[頁]] 머리 혈 * [[夾]] 낄, 부축할 협 * [[篋]] 상자 협 * [[莢]] 풀열매 협 * [[鋏]] 집게 협 * [[頰]] 뺨 협 * [[滎]] 실개천, 물이름 형 * [[灐]] 물이름 형 * [[逈]] 멀 형 * [[鎣]] 줄 형 * [[蹊]] 지름길 혜 * [[醯]] 초 혜 * [[鞋]] 신 혜 * [[岵]] 산 호 * [[滸]] 물가 호 * [[瓠]] 표주박 호 * [[縞]] 명주 호 * [[芦]] 지황 호 * [[葫]] 마늘 호 * [[蒿]] 쑥 호 * [[蝴]] 나비 호[* [[나비]]를 뜻하는 호접(蝴蝶)에 쓰인다.] * [[琿]] 아름다운옥 혼 * [[笏]] 홀 홀 * [[哄]] 떠들썩할 홍 * [[汞]] 수은 홍[* [[수은]]은 액체 상태의 원소의 일종이다. 원소 그 자체를 뜻으로 가지고 있는, 현대에 만들어진 것이 아닌 몇 안되는 한자 중 하나[* 나머지는 [[金]], [[銀]], [[銅]], [[鐵]], [[鉛]], [[錫]], [[硫]] 등이 있다.]] * [[訌]] 무너질 홍 * [[譁]] 시끄러울 화 * [[攫]] 붙잡을 확 * [[碻]] 굳을 확 * [[鑊]] 가마솥 확 * [[圜]] 두를 환 * [[宦]] 벼슬 환 * [[寰]] 기내 * [[鰥]] 환어, 홀아비 환[* 물고기의 일종 [[환어]](鰥魚)에 이 한자를 쓴다.] * [[豁]] 소통할 활 * [[幌]] 휘장 황 * [[愰]] 밝을 황 * [[慌]] 어렴풋할 황 * [[晄]] 밝을 황 * [[湟]] 해자 황 * [[潢]] 웅덩이 황 * [[篁]] 대숲 황 * [[肓]] 명치끝 황 * [[蝗]] 누리 황 * [[蟥]] 거머리 황 * [[貺]] 줄 황 * [[遑]] 허둥거릴 황 * [[隍]] 해자 황 * [[匯]] 물돌 회 * [[湏]] 흐물흐물할 회 * [[獪]] 교활할 회 * [[膾]] 회 회 * [[茴]] 약이름 회 * [[蛔]] 거위 회 * [[宖]] 집울림 횡 * [[哮]] 으르렁거릴 효 * [[梟]] 올빼미 효 * [[淆]] 뒤섞일 효 * [[爻]] 육효 효[* 수효(數爻)에 쓰인다.][*부수 부수이다.] * [[肴]] 안주 효 * [[酵]] 효모, 술괼 효[* 발효(醱酵), [[효모]](酵母), [[효소]](酵素)등의, 효모와 관련된 한자어에 쓰인다.] * [[吼]] 울 후 * [[嗅]] 맡을 후 * [[帿]] 과녁 후 * [[朽]] 썩을 후 * [[煦]] 따뜻하게할 후 * [[珝]] 옥이름 후 * [[篌]] 공후 * [[詡]] 자랑할 후 * [[暈]] 무리, 멀미 훈 * [[薨]] 죽을 훙 * [[煊]] 빛날 훤 * [[卉]] 풀 훼 * [[喙]] 부리 훼 * [[煇]] 번드르할 휘 * [[褘]] 폐슬 휘 * [[諱]] 꺼릴 휘 * [[麾]] 대장기, 지휘할 휘 * [[畦]] 밭두둑 휴 * [[鑴]] 솥, 큰종 휴 * [[恤]] 구휼할 휼[* 구휼(救恤)에 쓰이는 글자.] * [[鷸]] 도요새 휼[* [[방휼지쟁]](蚌鷸之爭)에 쓰인다.] * [[洶]] 물살세찰 흉 * [[忻]] 기뻐할 흔 * [[釁]] 피바를, 흠 흔 * [[吃]] 말더듬을 흘 * [[紇]] 질낮은명주실 흘 * [[訖]] 이를 흘 * [[歆]] 받을 흠 * [[囍]] 쌍희 희[* [[喜]]가 두 개 붙은 것과 비슷한 모양이라 쌍희라는 훈이(...) 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