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서(남조역사책))] [include(틀:남사)] ||<-2> '''남진의 장수[br]{{{+1 韓子高 | 한자고}}}''' || || '''작호''' ||문초현자(文招縣子) → 문초현백(文招縣伯) || || '''성''' ||한(韓) || || '''이름''' ||만자(萬子) → 자고(子高) || || '''부친''' ||한연경(韓延慶) || || '''출생''' ||538년 ~ 567년 || || '''출신''' ||회계군(會稽郡) 산음현(山陰縣) || || '''국적''' ||양(梁) → 진(陳)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북조시대]] [[진(남조)|남진]]의 인물. 본래의 이름은 한만자(韓萬子)였으며, 제2대 황제인 [[문제(남진)|문제 진천]]이 총애했던 인물로 알려져있다. == 생애 == 538년 회계군 산음현에서 한연경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출신이 미천하였다. [[후경]]의 난이 일어났을 때에는 [[양(남조)|양나라]]의 수도인 건강에 살고 있었고 후경이 평정된 뒤 진천이 오흥군 태수로 전출되었을 때 한만자는 15살이었는데, 용모가 아름답고 모습이 부인과 비슷하여 진천의 눈에 들게 되고 진천을 섬긴다. 그리고 이때 진천이 이름을 한자고로 고쳐준다. 한자고는 성품이 정중했고 항상 진천의 호위를 맡거나 진천에게 술과 음식을 전하기도 했으며, 이를 통해 성급한 진천과 뜻이 맞았다. 장성하면서 기마술과 궁술을 배워 용감함과 과단함이 생겼고 장수가 되고자 했으며, 두감(杜龕)을 평정한 뒤에는 장수가 되었다. 한자고는 진천으로부터 총애를 받아 항상 진천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 진천이 장표(張彪)를 토벌할 때 심태(沈泰)가 항복하자 진천은 동양주를 점령하고 주문육이 향암사(香巖寺)에 진수하였다. 그런데 밤이 되자 장표가 섬현(剡縣)에서 동양주로 침공해오자 야간의 혼전 속에서 향암사에 주둔했던 주문육은 진천의 행방을 알지 못했는데, 한자고는 진천을 호위하며 주문육을 찾아내고 장표의 공격을 막아낸다. 한자고는 진천이 절동 지방을 평정할 때 종군하여 공을 세웠다. 진천은 휘하의 군사 대부분을 한자고에게 나누어주었고, 한자고는 재물을 가벼이 여기고 선비들을 예우하여 많은 사람들이 귀순한다. 559년, 진천이 황제로 즉위한 뒤 한자고는 우위장군으로 임명되고 다음 해에 문초현자(文招縣子)로 책봉되어 식읍 300호를 받았다. 왕림(王琳)이 책구(柵口)로 침공하자 한자고는 건강에서 숙위를 맡았다. 561년에 원외산기상시(員外散騎常侍), 장무장군(壯武將軍), 성주(成州) 자사로 옮겼다. 유이(留異)를 정벌할 때 한자고는 후안도를 따라 도지령(桃支嶺)의 바위산 아래에 주둔했고 유이가 평정된 뒤에는 가절(假節), 정의장군(貞毅將軍), 동양군(東陽郡) 태수로 제수되었다. 564년 진안군(晉安郡)을 정벌할 때 한자고는 안천령(安泉嶺)에서 건안군으로 입성하였으며, 진안군이 평정된 뒤에는 통직산기상시가 되고 작위가 백으로 올라갔다. 565년에는 우군장군으로 임명되고 영군부(領軍府)에 주둔하였다. 566년 문제가 죽고 문제의 아들인 진백종이 즉위한 뒤에는 산기상시로 승진하고 신안사(新安寺)에 주둔했다. 진욱이 입조하여 폐제를 보좌하자, 한자고는 자신의 병권이 과중한 것에 대해 불안함을 느꼈고 형주(衡州)나 광주(廣州)로 자신을 전출시키도록 요구한다. 하지만 568년, 상우현령(上虞縣令)을 지냈던 육방(陸昉)과 한자고의 부하 장수로부터 한자고가 모반했다는 고발이 조정에 올라온다. 당시 진욱은 상서성에서 대신들을 소집하여 황태자를 세울 논의를 하고 있었고 한자고 또한 여기에 참석하고자 아침에 상서성으로 들어갔는데, 그때 체포되어 정위(廷尉)로 압송되고 뒤에 [[도중거]]와 함께 사사되었다. 다만 한자고의 아버지인 한연경과 한자고의 다른 자제들은 연좌되지 않았다. == 기타 == * 정사의 기록에 의하면 문제가 말을 타고 산에 오르는 꿈을 꾸었는데 이때 길이 험하여 떨어지려고 하자 한자고가 부축하여 산에 오를 수 있었다는 내용이 있다. * 문제에게 총애를 받았기에 훗날 중국 역사상 유일한 '''남자 황후'''(史上唯一的男皇后)로 묘사되기도 한다. [[분류:남북조시대/인물]][[분류:538년 출생]][[분류:567년 사망]][[분류:사오싱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