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검정회]][[분류:어학시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자·한문전문지도사자격시험)] [include(틀:한자·한문전문지도사자격시험)] [목차] == 개요 == [[한자·한문전문지도사자격시험]]의 문제 유형을 다룬 문서. == 문제의 유형 == === 부수 === 부수는 학생들을 가르칠 때 제일 중요한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이 부수를 보고 유의자를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이 시험 응시자들은 부수를 잘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다. === 한자 === 독음, 쓰기 등으로 나뉜다. [[한자급수자격시험]]의 문제 유형과 거의 동일하니 자세한 사항은 [[한자급수자격시험/문제 유형]] 참고. ==== 유의자, 반의자 ==== 이 유형이 많이 나오니 응시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잘 공부할 것. === 한자어 === 한자어 역시 한자의 문제 유형과 비슷한 편이다. ==== 유의어, 반의어 ==== ==== 한자어의 짜임 ==== [[주술]], [[술보]], [[술목]], [[수식]], [[병렬]]의 총 5가지 짜임의 유형이 있다. === 세 글자 한자어, 고사성어 === 고사성어 및 세 글자 한자어의 의미 쓰기, 고사성어 완성하기 등의 문제가 출제된다. === 한시, 한문 === 아동지도사급부터 모든 급수에 많이 나오는 유형. ==== 한시 ==== 한시의 경우 [[대한검정회]]가 선정한 한시가 나온다. ==== 한문 ==== 한문도 한시처럼 대한검정회 선정 글이 나온다. 다만 이 유형은 한시보다는 까다로운 편. === 지도사가 갖추어야 할 인성 및 한자교육 === ==== 한자 교육 ==== [[상용한자]]처럼 중고등학교 한자 교육의 역사 등이 나온다. ==== 지도사가 갖추어야 할 인성 ==== 지도사가 갖추어야 할 인성은 '''다른 것들보다 제일 중요하다!''' 왜냐하면, 인성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으면 아무리 다른 분야에 뛰어나도 폭언, 자질 부족 등의 문제로 논란에 휩싸일 수도 있기 때문. 실제로 [[청학동]]의 어떤 서당에서는 수위 높은 폭력을 자행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