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現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age/347/2016/02/02/2016020220052826881_20160202200644_1_99_20160202200703.jpg|width=100%]]}}} || ||<-2> '''{{{#white 프로필 }}}''' || || 이름 || 한이석(Han Lee Seok) || ||<|2> 출생 || [[1992년]] [[11월 16일]] || || [[경기도]] [[고양시]] [[일산신도시]]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 171cm, 60kg, [[A형]] || || 종족 || [[테란]] || || 現 소속 || [[광동 프릭스/스타크래프트 2|KWANGDONG FREECS]] || || ID || '''aLive''' || || 2013 WCS 순위/점수 || 13위/3625점 || || 2014 WCS 순위/점수 || 공동 138위/200점 || || 2015 WCS 순위/점수 || 공동 135위/100점 || || 2016 WCS Korea 순위/점수 || 14위/2300점 || || 2017 WCS Korea 순위/점수 || 13위/4625점 || || 2018 WCS Korea 순위/점수 || 21위/1525점 || || 2019 WCS Korea 순위/점수 || 공동 28위/675점 || || SNS || [[https://twitter.com/HanLeeSeok|트위터]] [[https://www.facebook.com/AliveKr|페이스북]] [br] [[http://www.cyworld.com/g2seok|미니홈피]] || || 방송국 || [[https://www.twitch.tv/alivekr1|트위치]] [[http://afreecatv.com/dltjr987|아프리카]] || ||<-2> 소속 기록 || || [[fOu]] || 2010-??-?? ~ 2011-??-?? || || [[TSL]] || 2011-??-?? ~ 2012-01-18 || || [[Fnatic]] || 2012-01-31 ~ 2013-02-11 || || [[Evil Geniuses]] || 2013-03-28 ~ 2013-12-13 || || [[MVP(프로게임단)|MVP]] || 2014-04-04 ~ 2014-07-31 || || [[Afreeca Freecs/스타크래프트 2(2016)|Afreeca Freecs]] || 2014-10-14 ~ 2016-11-21 || || [[mYinsanity]] || 2017-04-02 ~ 2018-03-27 || || [[TitanEX1]] || 2018-04-01 ~ 2018-10-27 || || [[광동 프릭스/스타크래프트 2|KWANGDONG FREECS]] || 2018-11-?? ~ 현재 || [목차] [clearfix] == 경력 == [include(틀:역대 GSL 준우승자)] [include(틀:역대 GSL 4강 진출자)] [include(틀:임재덕 상)] ||<-5> '''{{{#white 우승 기록 }}}''' || ||<-5>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5> [[IPL 4]] 우승자 || || [[IPL 3]] [[Stephano]] || → || '''한이석''' || → || [[IPL 5]]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 ||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 2010년 *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3]] 32강 * 2011년 * [[Sony Ericsson GSL Jan.]] [[코드 A]] 16강 (VS [[김정훈(테란)|김정훈]] 0:2) *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 [[코드 A]] 16강 (VS [[김영진(프로게이머)|김영진]] 1:2) * [[LG 시네마 3D GSL May.]] [[코드 A]] 8강 → [[승강전]]/[[코드 S]] 승격 *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64강 * [[NASL Season 1]] 16강 (VS DarKFoRcE 1:2) * [[펩시 GSL July.]] [[코드 S]] 32강 * [[펩시 GSL Aug.]] [[코드 S]] 32강 * [[Sony Ericsson GSL Oct.]] [[코드 S]] 32강 * [[IPL 3]] 16강 (VS [[Ret]] 1:2) * [[Sony Ericsson GSL Nov.]] [[코드 S]] 8강 (VS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 0:3) * 2012년 * [[2012 HOT6 GSL Season 1]] [[코드 S]] 4강 (VS [[정민수(프로게이머)|정민수]] 0:3) * [[Iron Squid Chapter 1]] 4위 (VS [[임재덕]] 2:3) * [[2012 HOT6 GSL Season 2]] [[코드 S]] 32강/[[코드 A]] 3라운드 * [[MLG]] Winter ChampionShip 10위 (VS [[김동환(프로게이머)|김동환]] 0:2) * [[IPL 4]] '''우승''' (VS [[박현우(프로게이머)|박현우]] 3:0) * NASL Season 3 16강 (VS [[이호준(프로게이머)|이호준]] 2:3) * [[MLG]] Spring ChampionShip 13-16th (VS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 0:2) * [[MLG]] Summer Arena 7-8th (VS [[강현우(프로게이머)|강현우]] 1:2) * [[MLG]] Summer ChampionShip 9-12th (VS [[윤영서]] 0:2) *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승강전]] → [[코드 A]] 3라운드 (VS [[원이삭]] 1:2) *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한국대표 선발전]] 13-16th (VS [[전종범]] 0:2) * [[2012 HOT6 GSL Season 4]] [[승강전]] → [[코드 A]] 3라운드 (VS [[장현우(프로게이머)|장현우]] 0:2) * [[2012 HOT6 GSL Season 5]] [[승강전]] → [[코드 A]] 1라운드 (VS [[신재욱]] 1:2) * NASL Season 4 23-45th * [[IPL 5]] 17-24th * [[Iron Squid Chapter 2]] 32강 * 2013년 * [[2013 HOT6 GSL Season 1]] [[코드 A]] 3라운드 * [[MANGOSIX GSL]] [[승강전]] → ~~[[코드 A]] 1라운드~~[* 통합 WCS 체제가 출범하면서 활동지역을 북미로 정했다.]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 2013년 * [[2013 WCS America Season 1]] PL 4강 (VS [[김동현(스타크래프트 2)|김동현]] 1:3) * [[2013 WCS Season 1 Finals]] 8강 (VS [[이신형]] 0:3) * [[2013 WCS America Season 2]] PL 6위(6위[* Jim의 비자문제로 인한 사정으로 인해 시즌 파이널 입성.]) (VS Jim 1:3) * IEM Season VIII - Shanghai 8강 (VS [[장민철]] 1:3) * [[2013 WCS Season 2 Finals]] 8강 (VS [[강현우(프로게이머)|강현우]] 2:3) * [[2013 WCS America Season 3]] PL 32강/~~[[2013 WCS America Season 3/Challenger League|CL]] 1라운드~~[* 기권.] → [[2013 WCS America Season 3/Challenger League|Group Stage]]/PL 승격 * [[2013 WCS Global Finals]] 16강 (VS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 0:3) * 2014년 * [[2014 WCS America Season 1]] PL 32강 * [[2014 WCS America Season 2]] CL 32강 * [[2014 HOT6 GSL Season 3]] 코드 A 48강 * 2015년 * [[SBENU SSL 2015 Season 3]] 챌린지 24강 * [[2015 GSL Season 3]] 코드 A 48강 (VS [[박령우]] 0:3) * 팀리그 * 2013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 [[EG-TL]] [* 4라운드 이후부터]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 * 2016년 * [[Starcraft 2 StarLeague 2016 Season 1 ]] 7-8th (VS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0:3) * [[2016 HOT6 GSL Season 1]] 코드 S 32강 * [[Starcraft 2 StarLeague 2016 Season 2]] 16강 * [[2016 GSL Season 2]] 코드 S 32강 * [[HomeStory Cup]] XIV 8강 (VS [[주성욱]] 2:3) * 2017년 * [[2017 GSL Season 1]] 코드 S 16강 * [[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 4강 (VS [[전태양]] 2:3) * [[SSL Premier 2017 Season 1]] 5위 * [[2017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 준우승 (VS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2:4) * [[2017 GSL Season 2]] 코드 S 16강 * [[SSL Premier 2017 Season 2]] 9위 * [[2017 GSL Season 3]] 코드 S 16강 * [[2017 GSL Super Tournament Season 2]] 16강 (VS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 2:3) * [[HomeStory Cup]] XVI 8강 (VS [[김대엽]] 0:3) * 2018년 * [[2018 GSL Season 1]] 코드 S 16강 * [[2018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 16강 (VS [[박령우]] 0:3) * [[2018 GSL Season 2]] 코드 S 32강 * [[2018 GSL Season 3]] 코드 S 32강 * 2019년 * [[2019 마운틴듀 GSL Season 1]] 코드 S 32강 * [[2019 마운틴듀 GSL Season 2]] 코드 S 32강 * [[2019 마운틴듀 GSL Season 3]] 코드 S 32강 == 상세 == 본래 [[스타크래프트]] 시절에는 프로지망생으로 [[준프로]]까지 따는 데에 성공했으나, 머물고 있던 [[fOu]] 클랜에서 [[이형섭]]이 '''[[스타크래프트 2]]를 본격적으로 해 보고 싶다. 같이 할 사람은 같이 하자.''' 라고 밝히고 fOu 는 스타크래프트 프로 게임단이 된다. 하지만 포유에서는 별 빛을 보지 못하고, 이운재 감독이 창단한 [[TSL]]로 팀을 옮긴다. 그 뒤 [[GSL]]에 꾸준히 도전, 한 번에 성적을 펑 터뜨리진 못하지만 꾸준히 개인 리그 성적이 나아진다. [[코드 A]]에 상당히 오래 머물러 있다가 [[코드 S]]로 가서도 상당한 기간 동안 성적이 좋진 못했다. 대신 [[GSTL]]에서는 쏠쏠한 활약을 해줬다. === [[TSL]]과의 마찰, [[Fnatic]] 입단 === 그러다가 16강을 통과하고, 8강을 통과 하며 서서히 좋은 성적이 나오려는 찰나 TSL 과 약간 마찰이 생기며 [[Fnatic]]에 입단한다. 자세히 이야기하자면 이운재 감독은 이중 계약이라면서 노발대발했으나, 이후 사정을 보면 한이석이 억울한 감도 있다. 이중 계약 까지는 아니고 팀에서 이미 마음이 떠나 이운재 감독에게도 '이번 시즌을 마지막으로 팀을 나가겠다.' 라고 통보한 상태에서 해외 팀을 알아보던 중 프나틱과 접촉했는데, '''팀원 개인 [[IRC]] 기록을 엿본 이운재 감독이''' '이건 좀 아니다' 라 화를 냈고, 한이석도 이운재 감독에게 사전 동의 없이 다른 팀과 계약을 진행한 것에 대해 사과하게 됐고, 결국 프나틱에 입단하기 전 [[TSL]]에서 탈퇴한다. 문제는 이운재 감독과 [[TSL]] 측은 이후 TIG 등을 통해 '한이석 선수는 이중 계약 문제로 인해 탈퇴 시켰다' 라고 기사를 뿌렸다. 이 기사를 본 한이석은 한이석대로 억울한 점이 있어 GSL 경기 승리 후 인터뷰로 [[TSL]]과 이운재 감독의 기사에 반박하게 된다. [[http://www.thisisgame.com/board/view.php?id=1078368&board=0&category=13439&subcategory=1&page=1&best=&searchmode=title&search=%ED%95%9C%EC%9D%B4%EC%84%9D&orderby=&token=|인터뷰 전문]] 그래도 결국 [[Fnatic]]이 한이석의 위약금을 이적료 형태로 지불하는 선에서 이 일은 잘 마무리 되었다. 그리고 [[Fnatic]] 이적 후 자율적인 연습 형태가 한이석 개인에게는 더 잘 맞았는지, 이후 성적이 오르게 된다. [[GSL]]에서도 4강에 가게 되고, [[IPL 4]] 에서도 [[박현우(프로게이머)|박현우]]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한다. == 플레이 스타일 == '''[[무상성 캐릭터]]''' --장점도 단점도 없다. 즉, 투명하다(...)-- 무난하고 안정적인 후반 운영을 지향한다. 물론 스타크래프트 2 가 항상 운영만 하다가는 더 배를 째는 상대나 날빌을 찌르는 상대에게 훅 갈 수 있기 때문에 날빌도 좀 섞는 편이지만, 기본적으로는 병영 더블 내지는 트리플을 하며 자원 위주로, 그러면서도 안정적으로 가는 것을 선호. 그러면서도 상대가 찔리면 곤란해 하는 특정 타이밍을 잘 읽어 '어 배째네, 나도 배 째야지' 하고 안심한 상대방에게 갑자기 찍어낸 병력으로 러시를 간다던지, 견제를 가 준다던지 하면서 괴롭히는 것도 잘 한다. 후반 물량을 찍어내는 것도 준수하고, 병력 운용과 의료선 견제도 나쁘지 않다. 게임을 크게 보는 눈 또한 좋다. 약점은 '''단점도 없으나 장점도 없다.''' --무슨 게임 캐릭터도 아니고-- 말 그대로다. 운영이 --리즈시절-- [[정종현]]처럼 숨막힐 정도로 철벽도 아니고, 찌르기 타이밍이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마냥 날카로운 것도 아니고, 의료선 견제 잘한다지만 [[문성원]] 정도로 화려하지도 않고, 배 잘 짼다 해도 [[윤영서]] 마냥 정신나갈 정도로 짼 뒤에 마이크로로 다 극복하는 것도 아니고. 동족전 또한 약점인데 특히 한국 테란 선수들과의 경기 승률은 54% 정도로 간신히 반타작하는 데에 그친다. 그렇다고 해서 한이석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바꿔 말하면 오히려 특별한 약점이 없다는 이야기. 기량이 높지만 특별히 장단점이 없는 정석에 철저한 이런 선수들이 대부분 그러하듯 [[양학]]에 능하다. 이정훈이나 문성원 등 스타일이 색깔이 확실한 선수들은 자기보다 못한 기량의 선수에게도 노림수 내지 뜬금포에 얻어맞아 패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이석은 그런 일이 적다. 에이스를 못 잡는 것도 아니다. 슬럼프를 겪기 이전의 테테전 기량이 최고조였던 문성원을 잡아내기도 했고, [[박현우(프로게이머)|박현우]]를 IPL 에서 잡아내기도 했다. GSTL 에 나와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애초에 [[GSL]] 4강, IPL 과 같은 수천만원의 상금이 걸린 대회 우승은 아무나 해내는 게 아니다. 하지만 확실히 플레이가 밋밋한 것은 맞다. 이러한 플레이 스타일이 후술할 투명라인에 관련되기도 하는데 한이석의 성적은 꾸준한 상승세라는 점에서 사람들의 관심을 충분히 받을 만 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픈시즌 32강부터 해서 코드 A 16강 → 8강 코드 S 승격 → 코드 S 32강 → 8강 → 4강이라는 엄연히 상승세다.] 적게 받는 요인이 되었다. 특히 테란의 강세였던 GSL Aug, Oct 때의 32강이란 기록은 공무원 테란, 양산형 테란에 나쁘게 하면 종빨이라는 말을 들을 법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더욱 그랬다. 다만 공허의 유산 대격변 패치 이후 [[2017 HOT6 GSL Season 1]] 32강, 16강에서 벌어진 [[사샤 호스틴]]과 [[한지원(프로게이머)|한지원]]과의 일전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을 기점으로 방송무대에서 완벽히 각성한 모습과 함께 매우 다이나믹하고 처절한 자신의 색깔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유리하든, 팽팽하든, 불리하든 악착같이 의료선 한두대와 해방선 한두대 견제를 상대가 잊을만 하면 꼬박꼬박 넣어주어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며 엄청난 멀티태스킹 능력으로 지저분한 경기를 유도하였고, 이런 점은 불리한 상황에서 특히 빛을 발하여 상대 입장에서는 아무리 경기를 크게 이기고 있어도 완벽히 끝을 내지 못하면 불안감을 느낄 정도다. GSL 중계진은 이런 달라진 한이석의 경기력과 스타일을 아이디에 빗대어 '''생존게임'''을 펼친다고 표현했고, 그 생존게임의 진수를 볼 수 있는 대회가 바로 [[2017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이다. 이 대회 이신형과의 16강 3세트, 강민수와의 4강 2세트, 김준호와의 결승전 4세트는 특히 필견. 이 시기 IEM 카토비체 4강, 슈퍼토너먼트 준우승을 차지하며 혐국라인 밈과 함께 큰 존재감을 뽐냈었다. == 연도별 경기내용 == [[한이석/2010-11]] [[한이석/2012]] [[한이석/2013]] === 한이석/2016년 === '''공유 테란 3대장에서 최단기 퇴물이 되며 [[쌍수한존]] 가입, 하지만 다시 부활의 조짐이 보이다''' [[2016 SSL Season 1]]에 이어 [[2016 GSL Season 1]]에서도 본선에 입성해 양대리거가 되었다. 스타리그 본선에서 김도우에 패한 후 김명식을 만나 승리해 살아남았다. 2월 3일 변현우가 코드 A에서 탈락하면서 시즌 1의 '''유일한 테란 양대리거'''가 되었다. 프로리그 2016 1라운드 1주차에 CJ 엔투스 정우용을 제압했다. 2주차에는 진에어 그린윙스 김도욱과 경기를 치렀는데, 경기력이 영 좋지 못했다. 교전에서 상대의 컨트롤에 밀리며 패배했지만, 상대의 우주공항을 파괴한 후 건물을 전부 띄워서 상대가 건물을 때리지 못하게 만들었고, 결국 재경기 판정이 내려졌다. 재경기에서도 한이석이 잘했다기보다는 김도욱의 자멸 덕에 본진을 초토화시키고 승리했다. 2월 18일 스타리그 패자조 2라운드에서 절친 한지원을 만나 2:0 승리를 거두고 상위 라운드로 진출했다. 1,2세트 모두 초반 타이밍 해병 러쉬를 통해 GG를 받아내었다. 그리고 같은 2라운드에서 변현우가 남기웅을 제압하고 올라오면서 3라운드에서 변현우와의 테테전이 성사되었다. 하지만 프로리그에서 주성욱, 전태양에게 하루 2패에 이어 패자 3라운드 변현우에게 3:0으로 완패해 최근 5연패의 수렁에 빠졌다. 이후 GSL 32강에서 박령우에게 0:2, 황강호에게 1:2로 패배하며 탈락, 최근 10경기에서 '''1승 9패'''로 부진 중이다. 결과적으로 공허의 유산 초기의 호성적이 단순히 한이석의 올라운더적인 특성[* 플레이스타일에서 강조했지만 한이석은 뭐든지 무난하게 잘한다. 뒤집어보면 게임이 확장팩 급의 대격변을 거쳤을 때도 기존의 장점은 남기고 새롭게 변화한 요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도 커다란 단점이 잘 생겨나지 않는다는 뜻일 수도 있다.~~랜덤 최강자인 것도 그런 이유인가...~~]과 빠른 적응력이 합쳐져 만들어진 일시적 성적 상승인지, 아니면 정말로 군단의 심장 시절에 비해 한 단계 클래스가 업그레이드된 것인지 검증의 기로에 서있다고 볼 수 있다. 프로리그 2라운드 1주차에 조성주에게 패배했다. 이로써 1라운드 하루 2패 이후 현재까지 공식 전적은 '''1승 11패'''. [[쌍수한존]]으로 거론되며 조롱받고 있다. 2주차에는 선발 엔트리에 없다가 뜬금없이 에결에 출전했으나 어윤수에게 패하며 팀의 3:2 패배에 일조했다. 3라운드 개막전에는 T1의 박령우를 제압했다. 이후 코드A에서 같은 팀 동료인 김도경을 3:1로 이기고 코드 S에 진출했으며, 스타리그 챌린지 C조에서 7승 2패의 좋은 성적을 거두며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최근 분위기만 보면 쌍수한존이라 놀림받을 경기력이 아니다. 스타리그 시즌2 16강에서 조 4위로 탈락, GSL 32강도 조 4위로 탈락하며 다시 부진에 빠졌고, 프로리그 통합 준플레이오프에서도 박령우, 김도우에게 2패를 당하는 등 기세가 매우 좋지 않던 중 8월 16일 '''부친상'''을 당했다. === 한이석/2017년 === [[2017 GSL Season 1]] 코드 S 32강에서 [[스칼렛|사샤 호스틴]]과의 혈전 끝에 최종전에서 2대1로 승리하면서 GSL 16강에 진출했다. 이후 기세를 이어나가서 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 한국 예선에서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를 화려하게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4802401&page=2|제압]]하면서 본선에 진출했다.[* 그 외에도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주성욱]], [[이신형]]과 같은 S급 선수들을 차례차례 꺾었다.] GSL의 슈퍼토너먼트 2연속 참가자다. 이것이 왜 중요하냐, 당시 시즌 1이 열렸던 시기는 2011년이고 지금은 2017년. 무려 6년의 간격이 있다. 시즌 1에 64강으로 참여했던 멤버들 중 현재 현역인 선수가 그렇게 많지 않다. 그나마 같이 통과한 선수가 변현우, 김동원이다. 당시 64강에서 자신을 탈락시킨 멤버가 여전히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동녕]]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2017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에서는 그야말로 신들린듯한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16강 [[이신형]]과의 대결에서 2세트 여명에서 거둔 완승과 3세트 프록시마 정거장에서 거의 다 진걸로 보였던 경기에서 거둔 역전승은 그야말로 보는 입장에서 전율을 느끼게 하기에 부족함이 없었고, 8강에서 [[변영봉]]을 완벽한 경기력으로 셧아웃 시킨뒤 4강에서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와 처절한 혈전끝에 3:2로 승리하며 마침내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에서 만난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와의 대결에서는 전체적으로 불사도 체제에 고전했고, 그 와중에 4세트 뉴커크 재개발지구에서 엄청난 명경기끝에 승리를 거두는 투혼을 보여줬지만 결국 2:4로 아쉽게 패배했다. 비록 준우승으로 끝났지만 한이석이라는 선수의 클래스 상승과 매력적인 게임스타일을 어필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대회였다. 4월 2일 [[mYinsanity]]에 입단했다. 해당 팀에서 이적현황에 기존 테란유저 1명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이 가능했다. 이후 전패상태였던 SSL 프리미어리그에서 박령우를 꺾고 1승을 추가, 본 궤도에 들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최종성적은 5위. 패스트 레인으로 가지 않고 무난하게 1부리그 티켓을 획득, 잔류한다. 조지현과의 리그전이 성사되었다면 그 위를 노려볼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있다. === 한이석/2022년 === 2021년 10월 전역 이후 꾸준히 GSL 예선에 참가하고 있지만 매번 탈락하고 있다. 20강을 뚫기에는 아직 기량이 많이 올라오지 않은 듯 하다. == 기타 == * [[2012 HOT6 GSTL Season 2]] 1라운드에서 정지훈이 유일하게 테란 중 승자로서, 2라운드에서는 한이석이 시즌 최초로 저테전 테란 승자가 되었다. ~~테란의 약세를 통해 투명성을 벗으려는 두 수장의 의지~~ 그래서 잠깐 우스개소리로 롤갤에서의 자타 공인 LOL 최강의 챔피언을 본따서 만든 '''자타 공인 저그전 최강의 테란'''이라는 글이 퍼지기도 했다. [[http://www.playxp.com/sc2/bbs/view.php?article_id=4105111&search=1&search_pos=&q=|#]] 짤조차 투명처리해놨고(...) 음악으론 LMFAO의 Sorry for party rocking 을 넣는다. 지금은 저테전을 빼고 GSL 최강의 테란이나 혹은 GSL마저 빼고 최강의 테란이라고 쓴다. --그의 사진에서 누군가가 보인다면 안과 말고 XP로-- 자매품(?)들이 존재한다. [[http://www.playxp.com/sc2/bbs/view.php?article_id=4106902&search=1&search_pos=&q=|자타 공인 최고의 밸런서]] [[http://www.playxp.com/sc2/bbs/view.php?article_id=4758411|2]]~~근데 요즘은 이게 원조보다 유명하다~~ [[http://www.playxp.com/sc2/bbs/view.php?article_id=4109015&search=1&search_pos=&q=|자타 공인 최고의 단체]] * [[2013년]] [[2월 12일]] 소속팀이던 [[Fnatic]]을 [[http://www.teamliquid.net/forum/viewmessage.php?topic_id=398147|탈퇴한다]]. * [[2013년]] [[3월 28일]] [[Evil Geniuses]] 팀에 [[http://www.teamliquid.net/forum/viewmessage.php?topic_id=405126|입단한다]]. 이후 동년 [[12월 13일]] 탈퇴. * 2014년 4월 4일 [[MVP(프로게임단)|MVP]]에 입단한다. [[http://esports.dailygame.co.kr/view.php?ud=2014040419302719717|기사]] * 2014년 10월 14일 [[StarTale]]로 이적함이 [[http://www.teamliquid.net/forum/starcraft-2/469126-alive-joins-startale|확인되었다]]. * [[2016년]]에 군대를 갈 계획을 하고 있다. [[2015년]] 말엔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의 집에서 잠깐 동거하기도 했다. [[2016년]] [[1월 24일]] [[기사도 연승전]]에서 밝히길 과거 심장수술을 받은 적이 있어서 [[공익]]으로 간다고 한다. 근데 원래는 [[면제]]였는데 [[공익]]으로 등급이 올라갔다고.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4329191|'''이얼싼'''이라는 외국 이름이 있다고 하더라]]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4347354|중국어로도 까인다]]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4385410|알고 보니 중국 모델 출신]] * 부종족을 굉장히 잘하기로 유명하다. 어지간한 프로들과도 견줄 수 있는 실력이어서 '''테란보다 부종을 잘하는 테란 프로게이머'''라는 말도 있을 정도. 본인 입으로도 '테란 잡고 상대한테 지면 별 생각 안드는데 부종 잡고 지면 화가 난다'고 말할 정도. 2017년 12월 27일 온풍미디어 끝징전에 난입, 박령우의 프로토스를 부종족 저그로 잡아내고 유유히 탈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 2018년 7월 29일 트위치/카카오 스트리머인 루시아a가 주최한 익명 프로게이머 16명이 참가한 일명 " LSL " 에서 결승전에서 '마린복무기간단축' 이라는 닉네임으로 우승했다. 8강에서 원이삭을 이기고 4강에서 어윤수와의 피 터지는 결전끝에 결승에 진출하여 김준호를 꺾고 우승 했다. 메카닉 유닛과 견제, 견제방어를 굉장히 잘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결승 때 상대가 김준호 임을 눈치채고 채팅러쉬를 했다. [* "예언자 쓰세요" 라고 말하자 김준호가 "형은 점춘데.." 라며 대답했다. ] [* 김준호와 게임이 끝나서도 채팅창에서 노가리를 까고 디스코드에서도 인터뷰하며 굉장히 사이가 좋아보이는 모습을 보여줬다.] * 익명깡패 : 2018년 7월 29일 트위치/카카오 스트리머인 루시아a가 주최한 익명 프로게이머 16명이 참가한 일명 " LSL " 에서 '마린복무기간단축' 이라는 닉네임을 쓰며 투명에 익명을 더하면서 상대적으로 강력한 견제와 메카닉운용을 보여줬다. 결승전에서 김준호가 눈치채지 못했고 김준호가 게임이 끝나고서 눈치채자 굉장히 억울해 했다. ~~내가 이석이한테 컷당하다니~~ 디스코드 인터뷰에서도 "리그에서는 저를 아니까" 라고 언급하며 스스로 익명일 때 상대전적이 높다고 넌지시 의미하는 듯 했다. 실제로 결승전인 김준호와 매칭에서 정규리그에서는 대부분 패배했으나.. 비공식 친선전에서 승리할 줄 누가 알았겠는가. [* 인터뷰가 끝나며 "요즘 좋은 모습을 못보여드려 아무래도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라며 약간 아쉬워 했다. 루시아a 에게 이런 대회 마련해주셔서 정말 고맙다고 말하며 훈훈하게 연출하다가 "이렇게 말해줘야 품위가 유지되죠 ㅎㅎ" 라고 말하며 강한멘탈! 좋은친구! 를 증명했다.] * 2021년 올해 10월에 전역을 알렸다. === [[투명라인]] ===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는 이제 '투명' 자체가 하나의 존재감이 되었고, [[한규종]]도 현역 시절 16규종과 착한 테란이라는 아이덴티티가 있었다. ~~그리고 [[이영호]]의 포카리셔틀도...~~ 하지만 한이석은 '''정말로 존재감이 없다.''' 진짜로 없다. '''그 단적인 예가 이 항목이 [[2012년]] [[8월 14일]]에야 생겼다는 점이다.''' 참고로 한이석은 [[GSL]] 초창기때부터 활약한 베테랑이다. 중간에 큰 슬럼프가 온 적도 없고, 느리긴 하지만 꾸준히 활약했고 [[2011년]] 중반 부터는 [[코드 S]] 였다. 성적? 4강에도 한 번 갔고, [[IPL]] 우승자다. [[2011년]] 중반부터 [[2012년]] 중반까지 1년동안 번 상금이 5천만원에 프나틱에서 주는 연봉까지 합하면 제법 돈도 많이 버는 [[프로게이머]]다. 2013년에는 세계랭킹 13위로 글로벌 파이널에도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투명하다.''' 투명에는 여러가지 총체적 이유가 있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양산형스러운''', 단점이 없지만 딱히 장점도 없는, 거기에 특이한 점도 없는 플레이 스타일, 못 생기지도 않았지만 잘 생기지도 않은 외모, 그리고 구린 인터뷰 스킬(...) 등이 있다.[* 목소리가 가늘고 작은 것은 둘째치더라도, 초기에는 할 말 안 할 말을 좀 못 가리기도 했다. 해외 대회에 나가서 [[한국]]과의 차이점을 묻는 질문에 '''[[한국]] 대회는 사람도 없고 인기도 없는 대신 상금이 많고, 해외 대회는 인기는 많은데 돈을 못 번다'''고 대답해서 듣는 사람에 따라 좀 거시기한 대답을 하기도 했다. ~~뭐 틀린 말은 아니기는 한데...~~] 하지만 이에 대한 본인은 '''나는 원래 팬이 별로 없다. 사실 나는 팬들이 이야기하시는 투명 테란도 마음에 든다. 그것도 관심이기 때문이다. 소소한 것에 만족을 하는 편이다. 계속 열심히 하면 많은 분들이 알아봐주시지 않을까 싶다.''' 라고 대답했지만, 사실 '''투명라인이라는 기믹조차 한이석에게는 없다'''. 그 정도로 투명하다. '''투명라인 항목에서도 언급이 되지 않다가''' [[8월 27일]]에 [[정지훈(프로게이머)|정지훈]]과 함께 등록되었다. [[2013 WCS Global Finals]] 진출자 중 유일하게 WCS 포인트가 부여되는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한 적이 없다.[* [[WCS]]로 한정하면 [[요한 루세시|나니와]]도 마찬가지지만 [[NaNiwa]]는 [[DreamHack]]과 [[IEM]]에서 각각 준우승을 기록하여 한이석과 차이가 있는데다 [[김치맨]]들에게 대항하는 '''스투열사'''의 이미지로 그야말로 국내외에 존재감이 무한하다. [[김동현(스타크래프트 2)|김동현]]과의 파이널 출전 결정전으로 더더욱 부각되었고... 그리고 그 [[김동현(스타크래프트 2)|김동현]]마저 [[IEM]]에서 우승을 차지했기에 더더욱 그렇다.] 한마디로 WCS 포인트를 쌓을 때도 투명한 방법으로(?) 성실하고 꾸준하게 쌓아왔다는 뜻이다. ~~[[짝지라인|한방에 존재감을]] [[준우스운자|높이는 짓]]은 하지 않는다.~~ 프로리그에서 무려 0승 5패를 기록하며 [[0승 클럽]]에 들었는데도 눈에 안 띈다. 아니, 이번 프로리그에선 0승 클럽 자체가 존재감이 없다. '''신기록이 나왔는데도'''. 그러다 2016년, 테란의 유일한 양대리거가 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고, 테란 3대장에 당당히 합류하며 존재감을 드디어 보였다. 비록 스타리그에서 변현우의 투혼 앞에 또 다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4014565&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B%AC%B4%EA%B4%80%EC%8B%AC|투명]]해지고 말았지만, 전 시즌 양대 준우승의 한지원을 상대로 두 리그에서 전부 승리하여 양대 백수로 만들어 버리는 등 점점 투명라인에서 벗어나는 중인줄 알았으나.. 2018 gsl vs the world 인기투표에서 처참한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89587&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A%BC%B4%EB%93%B1|득표율]]을 보여주며 투명라인의 위용을 어김없이 보여주고 있다 이후 [[쌍수한존|혐국선수]] 드립의 유행으로 인해 [[이얼싼]][* 이얼싼은 [[중국어]]로 1(一)/2(二)/3(三)을 말하는데, 한(1)/이(2)/석(3)을 [[고로아와세|숫자로 풀고]] 중국어로 번역하면 저렇게 나온다.]이라는 멋진(?) 별명을 얻었다. == 관련 문서 == * [[e스포츠 관련 인물]] [[분류: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 2]][[분류:1992년 출생]][[분류:고양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