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라이벌)] ||<-5> '''[[포켓몬스터(1997년 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의 분기별 보스''' || || 오렌지제도 편 ||<|2> → || [[성도지방]] 편 || || [[강산#s-3.1]] || '''한웅''' || ||<-5>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분기별 보스''' || || '''[[포켓몬스터(1997년 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2> → || [[포켓몬스터 AG]] ||<|2>→ || [[포켓몬스터 DP]] || || '''한웅''' || '''[[기선(포켓몬스터)|기선]]''' || '''[[택트]]''' || [include(틀: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지우의 리그 최후의 상대)] ||<-4>
'''{{{+1 한웅}}}'''[br]''' ハヅキ | Harrison''' || ||<-4> [[파일:attachment/한웅/Harrison.png|width=100%]] || ||<-2> '''성별''' ||<-2> 남성 || ||<-2> '''트레이너 계급''' ||<-2> 포켓몬 트레이너 || ||<-2> '''지방''' ||<-2> [[호연지방]] || ||<-2> '''고향''' ||<-2> [[미로마을]] || ||<-2> '''가족''' ||<-2> 할아버지 || ||<-2> '''성우''' ||<-2> [[토리우미 카츠미]] || [목차] == 개요 == [[포켓몬스터(1997년 애니메이션)|무인편]] 후반부인 성도편 267화에서 지우 일행과 만난 [[호연지방]] 출신의 청년 트레이너. == 작중 행적 == 첫 등장한 건 무인편 267화이다. 그 후에 성도 리그에 참가해 [[한지우|지우]]와 결승 토너먼트 2회전에서 [[번치코]]로 [[리자몽(한지우)|지우의 리자몽]]을 쓰러트렸다. 하지만 리자몽과 번치코의 사투가 너무 치열했던 나머지 4강에서는 자신의 에이스 포켓몬인 번치코가 부상이 매우 심각해 출전이 불가능했고 결국 4강에서 탈락한다. 결과적으로 지우와의 대결이 [[피로스의 승리]]였던 셈이다. 성도 리그 후, [[석영고원]]으로 여행을 떠났다. == 여담 ==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당시]](2002년 9월) [[데이비드 베컴]]의 헤어스타일을 따라한 디자인이 인상적. * [[털보박사]]에게서 아차모를 받았다고 한다. * 한국 내수판에서는 아쉽게도 성도리그 직전에 [[조기종영]]되는 바람에 나오지 못했지만, 한국 내수판 이름은 [[포켓몬스터 AG|AG]] 초반에서의 언급으로 밝혀졌다. * 이 캐릭터와의 대결에 대해 논란이 많았는데 오바람과 최고의 라이벌매치를 벌이고 올라온 다음 경기치고는 긴장감과 볼륨감이 심히 부족한데다가[* 선봉인 피카츄vs캘리몬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원턴킬로 빠르게 정리되었으며 등장하자마자 자고있는 잠만보는 일상파트에서나 나올만한 분위기를 풍긴다.] 지난 경기에서 누적된 데미지+불리한 타입상성이라는 열세를 극복한 리자몽이 이번엔 반대로 유리한 상성+만전 상태에서 번치코에게 져버렸기 때문. 물론 논란이 있는건 단순히 지우의 리자몽을 꺽었다는 이유 때문만은 아니다. 지우의 리그도전은 이제 2번째일 뿐이고 베테랑이라고 하기엔 조금 부족한 수준이었기에[* 리아코가 초반에 리타이어한 상황에서 베이리프가 불리한 상성인 헬가,번치코를 연달아 상대해야하는 바람에 오박사가 선출순서를 잘못 정한듯 하다는 식의 반응을 보이는 장면이 있다. 굳이 따지자면 상대 엔트리를 미리 알 수가 없기에 순전히 운이 나빴던 상황이지만 오박사 대사의 뉘앙스로 보면 제작진이 아직 지우가 미숙하다는걸 강조하려는 것으로 짐작된다.] 상대가 너무 강해서 아쉽게 졌다라는 점을 강조했으면 그리 큰 반발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상술했듯이 리자몽은 16강 오바람 전에서의 피로가 남은 상태로 싸웠으며 번치코는 그런 리자몽을 상대로 한끗 차이로 간신히 이겼으며 다음 경기에 출전하지 못할정도의 데미지를 입어 결국 탈락을 하고 만다. 이렇다보니 관동리그처럼 아직 우승하기엔 기량이 부족했다라기보단 대진운이 나빠서 졌다는 느낌을 부정하기 힘들며[* 한웅의 준결승전은 번치코의 부재라는 패널티를 안은 채로 마지막 1vs1까지 몰고가서 한끗차이로 패배했는데 그 준결승 상대를 지우가 8강에서 만났다면 지우가 이겼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물론 한웅의 준결승전 상대나 번치코도 이전 경기에서 힘든 경기를 치르고 피로가 남은 상태일수도 있겠지만 작중 그러한 언급이나 묘사가 일절 없기에 다소 아쉬운 부분.] 다소 극단적이고 결과론적인 관점이지만 지우의 우승을 막기 위해 동귀어진 한 것과 다를 바가 없다. 덕분에 [[포켓몬스터 AG|호연지방 모험]]을 시작하기도 전에 번치코 안티가 생겨났다. 결국 최고의 라이벌 매치 이후 허무한 탈락이라는 전개로 팬들에게 큰 아쉬움을 남겨줬으며 이 안타까운 전개는 이후 DP의 신오리그에서 [[택트|한층 더 악화된 형태]]로 되풀이되고 만다. * 한국 내수판에서는 마지막 15화만 남겨놓고 종영해서 한국에서는 얘를 모르는 사람이 많다. == 소유 포켓몬 ==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blaziken.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kecleon.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houndoom.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hypno.gif]] || || 번치코 || 켈리몬 || 헬가 || 슬리퍼 ||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steelix.gif]]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sneasel.gif]] ||<-2>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miltank.gif]] || || 강철톤 || 포푸니 ||<-2> 밀탱크 || * [[번치코]] 사용기술 - [[전광석화]]/[[화염방사(포켓몬스터)|화염방사]]/[[불꽃펀치]]/[[블레이즈킥]] * [[켈리몬]] 사용기술 - [[핥기]]/[[환상빔]] * [[헬가(포켓몬스터)|헬가]] 사용기술 - [[화염방사(포켓몬스터)|화염방사]]/[[박치기]]/[[물기]]/[[카운터]] * [[슬리퍼(포켓몬스터)|슬리퍼]] 사용기술 - [[최면술(포켓몬스터)|최면술]]/[[사이코키네시스]]/[[꿈먹기]] * [[강철톤]] 사용기술 - [[모래바람]]/[[구멍파기]]/[[아이언테일]]/[[조이기]]/[[깨물어부수기]] * [[포푸니]] 사용기술 - [[마구할퀴기]]/[[베어가르기]]/[[속여때리기]]/[[메탈클로]] * [[밀탱크]] 사용기술 - [[치료방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웅, version=32, paragraph=2)] [[분류:포켓몬스터(1997년 애니메이션)/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