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튜버 '두선생의 역사공장'의 운영자 한영준, rd1=두선생의 역사공장)] || '''한영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1차 지명선수)] ---- || '''한영준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height=55]][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1992년 한국시리즈|{{{#ed1c24 1992}}}]]''' ||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주장)] ---- ||<-5>
'''{{{#000000 [[롯데 자이언츠|{{{#000000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5번}}}''' || || 결번 || {{{+1 →}}} || '''{{{#ffffff 한영준[br](1985~1996)}}}''' || {{{+1 →}}} || [[이동욱(야구)|이동욱]][br](1997~2001) || ||<-5> '''{{{#000000 [[롯데 자이언츠|{{{#000000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7번}}}''' || || 결번 || {{{+1 →}}} || '''{{{#ffffff 한영준[br](1998~2001)}}}''' || {{{+1 →}}} || [[정영기]][br](2007~2008) || ||<-5> '''{{{#fff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78번}}}''' || || [[최일언]][br](1993~2003) || {{{+1 →}}} || '''{{{#ffffff 한영준[br](2004~2010)}}}''' || {{{+1 →}}} || [[전형도]][br](2011)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2662.jpg|width=100%]]}}} || ||<-2> '''{{{+2 한영준}}}[br]韓英俊 | Han Young-Jun''' || ||<|2> '''출생''' ||[[1962년]] [[11월 14일]] ([age(1962-11-14)]세)|| ||[[부산광역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부산진초 - [[부산중학교|부산중]]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 - [[고려대학교 야구부|고려대]]|| || '''포지션''' ||[[3루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5년/신인드래프트#z-2|1985년 1차 지명]]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1985~1996)'''|| || '''지도자''' ||더니든 블루제이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산하 싱글A] 연수코치 (1997)[br] [[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수비코치 (1998) [br] [[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1999)[br][[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수비코치 (2000)[* ~5월 8일][br][[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2000)[* 5월 9일~] [br] [[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수비코치 (2001)[* ~6월 9일] [br] [[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2001)[* 6월 10일~] [br] [[두산 베어스]] 1군 수비코치 (2004~2008) [br]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2군]] 수비코치 (2009~2010) [br][[고려대학교 야구부]] 감독 (2012)|| || '''본관''' ||[[청주 한씨]]||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야구 관련 인물|야구 선수]]로, 선수 시절 포지션은 [[3루수]]였다.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 시절부터 상당히 주목받던 선수였다. 171cm이라는 야구선수로서는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손목 힘으로 장타를 만드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 고3 시절에는 7개의 홈런을 몰아치는 등 부산고의 강타자로 이름을 날렸다. [[고려대학교 야구부|고려대]]에 진학하자마자 1번 타자로 시합에 뛰게된다.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시범 종목으로 발탁된 야구 국가대표로 선발되기도 하는 등 활약한다.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1985년 [[롯데 자이언츠]]에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입단 당시부터 [[김용희]]의 뒤를 잇는 자이언츠의 3루수가 될 것이라고 모두가 기대했다. 입단 3년차인 1987년부터는 당당히 주전을 차지하여 1988~1990년에는 올스타전에서 3루수 부문의 동군(롯데, 삼성, OB) 베스트10으로 나왔을 정도였다. 1987~88 두 시즌 동안 각각 .301의 타율을 기록해 방망이에서도 쏠쏠한 활약을 해줬다. 그의 플레이는 아마 시절처럼 근성으로 똘똘 뭉친 플레이였고 포기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며 악바리라는 별명을 얻었다. 손목 힘이 좋다는 아마때의 평가도 그대로 이어져서 작은 체구에도 적지 않은 홈런을 치기도 했다. 1990년대에 접어들고 [[공필성]]이 3루로 옮기며 비중은 줄었지만 포지션을 바꿔가면서 백업으로서의 역할을 묵묵히 했다. 1992년에는 주장으로 [[1992년 한국시리즈|롯데의 2번째 우승]]을 이끌었다. 이 시점부터 내야수보다는 주로 외야수 겸 지명타자로 출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1993시즌 .219의 타율이라는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이듬해인 1994년 롯데의 주전 선수들 중 상당수가 방위 복무에 걸려 자신에게 많은 기회가 올 것이라는 걸 인지한 듯, 시즌을 앞두고 동계훈련에서 어마어마한 노력을 쏟았다고 한다. 시즌 들어가기 전 소감이 "노력한 만큼만 결과를 기대하겠다"였을 정도. 그리고 자신의 장담대로 주전과 백업을 오가며 시즌 내내 3할 이상의 타율로 빈약한 전력의 롯데가 나름 선전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시즌은 .291의 타율로 마무리. 1995년에는 적지 않은 나이임에도 다시 한 번 주장으로 [[1995년 한국시리즈|롯데의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이끌고 본인은 통산 1000경기 출장의 기록을 세운다. 그러나 [[마해영]]과 [[박현승]] 등 유망주의 입단과 노쇠화 때문에 출전 기회도 크게 줄어들었고 타율도 .200에 간신히 걸치며 현역 연장의 기로에 놓이게 되었다. 1996년 9월 8일 해태전에서 같은 해 은퇴를 선언한 [[김민호(1961)|김민호]]와 더불어 은퇴식 겸 은퇴경기를 치렀으며 이 때 구단으로부터 순금으로 된 기념배트와 공로패를 받았다. 이때만 해도 KBO에서 은퇴경기는 고사하고 은퇴식조차도 굉장히 드물었던 시기라 매우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심지어 지금까지도 롯데에서 은퇴경기를 치른 선수는 김민호 한영준 둘 뿐이다.[* 이대호 같은 경우는 그냥 주전 선수가 시즌 마지막 경기를 좀 성대하게 치뤘을 뿐이지 은퇴 이후에 특별하게 로스터에 등록되어 뛴 그런 건 아니다.] 은퇴경기 성적은 2번 타자 우익수로 선발출전하여 1이닝 수비를 맡고 타석에선 중견수 플라이로 아웃된 후 교체되었다. 근성있는 플레이, 단단한 힘, 작은 체구임에서 뿜어져 나오는 열정과 그의 악바리 정신으로 여전히 자이언츠 3루수 계보에서 그의 이름은 빛나고 있다. == 지도자 경력 == === 더니든 블루제이스 코치 === 은퇴 후 , 미국으로 건너가 [[토론토 블루제이스]] 산하 마이너 팀에서 수비 및 1루코치를 1년여 간 맡아가며 연수 생활을 했다. === [[롯데 자이언츠]] 코치 === 1998년 고향 부산으로 돌아오자마자 [[롯데 자이언츠]]에서 1군 수비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 [[두산 베어스]] 코치 === 2004년부터 2010년까지는 [[두산 베어스]] 코치를 맡았다.[[https://blog.naver.com/bchang5/90023721694|당시 관련기사]] 코치로서 한국 수비의 트렌드를 바꾼 장본인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오늘날 두산이 자랑하는 탄탄한 수비의 상당 부분은 한영준의 공이 크다는 평가. 그의 특별한 지도법으로 코치로서 직접 선수와 함께 훈련하는 점을 강조한다. 손바닥은 웬만한 선수들 못지 않게 단단한 굳을 살로 뒤덮여 있기로 유명할 정도다. 한 때 백핸드 그립 캐치는 종종 ‘멋부리는 것처럼 보인다’며 폄하되던 시절이 있었지만 그는“백핸드는 독이 아닌 약”이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며 백핸드 캐치가 화려해 보이지만 상황에 따라 오히려 ‘안정적’일 수 있다며사고의 전환을 선수들에게 주문했다. 수비의 정답은 ‘안정성’이라며 개별 상황에 대한 무한상상과 도전, 이미지 트레이닝을 강조하는 지도 철학을 가지고 선수들을 지도했다고 한다. === [[고려대학교 야구부]] 감독 === 2012년 모교 [[고려대학교 야구부]]의 감독으로 재직하였다.[* 전임자는 길홍규 감독대행과 [[박철홍]] 투수코치였다. [[최희섭]]의 광주일고-고려대 동기인 김광우(LG)가 투수코치로 같은 시기에 부임했다.] 첫 공식대회인 [[회장기 전국대학야구 춘계리그]]에서 예선 전적 2승 3패로 결선 진출에 실패하였다. 곧바로 열린 제5회 [[KBO총재기 전국대학야구대회]] 1회전에서 원광대에 패했고 [[회장기 전국대학야구 하계리그]]에서는 예선 전적 1승 4패로 결선 진출에 실패하였다. 특히 대회 최약체로 평가받던 한민학교에게도 패하여 충격을 줬다. 그러나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에서 반등하여 우승[* 준우승은 [[건국대학교 야구부]]]에 성공했다. 그리고 고연전에서 3년만에 승리하였다. 최고지도자상 수상 등을 하였다.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는 1회전에서 탈락했으나 4학년 대신 1,2학년 등 저학년 선수들을 골고루 기용하였다. 2012년 시즌을 마치고 [[우경하]]에게 고대 지휘봉을 넘겼다. 고대 감독직에서 물러난 뒤 유소년 야구 발전에 힘쓰고 있다. == 여담 == * [[2000년]] [[4월 18일]] 서울 잠실에서 LG와 경기 도중 [[임수혁]]이 쓰러졌을때 1루코치를 하고 있었고 10년 후에 상을 당했을때 영정 앞에서 살려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하였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감독]][[분류:1962년 출생]][[분류:1985년 데뷔]][[분류:1996년 은퇴]][[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청주 한씨]][[분류:부산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