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서울대학교 총장)]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2> '''{{{+2 한심석}}}[br]韓沁錫 | Shim-Suk Hahn[* [[http://www.snuh.org/content/M005003002.do|서울대학교병원 공식 홈페이지상의 표기]]. [[대한민국 학술원]] 홈페이지에서는 Han, Sim Sok으로 표기한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한심석.jpg|width=100%]]}}} || || '''본관''' ||[[청주 한씨]][* 등제공파(登第公派) 29세 석(錫) 항렬. 족보명은 한필석(韓泌錫).] || ||<|2> '''출생''' ||[[1913년]] [[5월 23일]][* [[http://www.kams.or.kr/business/fame/sub1.php?mode=view&sid=41&keyfield=all&sub_mode=public|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 홈페이지]]] || ||[[평안남도]] [[강서군]] 거암면 가현리[* [[http://www.kams.or.kr/business/fame/sub1.php?mode=view&sid=41&keyfield=all&sub_mode=public#|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 홈페이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강서군 수산면 가현리 → 1952년 [[군면리 대폐합]], 강서군 수산리 → 1978년 [[대안시]] 수산리 → 1979년 [[남포시]] 대안시 수산리 → 1983년 남포시 [[강서구역]] 수산리.][br](現 [[남포시]] [[강서구역]] 수산리) || ||<|2> '''사망''' ||[[1983년]] [[10월 12일]] (향년 70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 '''학력''' ||영신학교 {{{-2 ([[졸업]])}}}[br][[광성고등학교(서울)|평양 광성고등보통학교]] {{{-2 ([[졸업]])}}}[br][[경성제국대학]] {{{-2 ([[의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경성제국대학 대학원]] {{{-2 ([[의학]] / [[박사]][* 박사학위논문 : [[https://ndlonline.ndl.go.jp/#!/detail/R300000001-I000007795885-00|京城に流行するヂフテリア菌の菌型に関する研究]](1943)])}}} || || '''경력''' ||[[서울대학교]] 교수, 총장[br][[서울대학교병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장[br]대한내과학회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의사, 교수. 본관은 [[청주 한씨|청주]](淸州). 독립유공자 [[한예건]]은 그의 5촌 당숙(堂叔)이다.[* 한심석의 조부 한용국(韓用國, 1834. 4. 28 ~ 1870. 6. 20)의 둘째 남동생 한용설(韓用卨, 1843. 11. 1 ~ 1917. 2. 11)의 장남이 바로 [[한예건]]이다.] == 생애 == 1913년 5월 23일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아버지 한제건(韓濟建, 1853. 7. 20 ~ 1916. 10. 9)[* 자는 사여(士汝).]과 어머니 [[청풍 김씨]] 김정건(1873 ~ ?. 4. 26)[* 김성보(金聖甫)의 딸이다.] 사이에서 7남 1녀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9살 때 영신학교에 입학해 졸업한 뒤 1927년 [[광성고등학교(서울)|평양 광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 1931년 졸업했다. 광성고등보통학교 재학 중이던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에 동조하는 의미로 시험 때 백지 답안지를 내고 퇴장한 일로 평양경찰서에서 취조를 받고 강제 귀향조치를 받은 바 있다. 1932년 [[구제고등학교|경성제국대학 예과]](제9회, 이과)에 입학했다. 1934년 [[대학예과]] 수료 후 의학부로 진학하여 1938년 졸업했다. 학부 졸업 후 곧바로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미생물학교실 제1강좌에서 의학부 교수 [[호소카와]] 쇼이치(細川正一)의 부수로 연구를 계속했다. 한 달 뒤 조수 발령을 받고, [[서울대학교병원|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 전염병실과 경성부립 전염병 전문병원이었던 순화원(順化院)을 다니며 당시 유행하던 [[디프테리아]] 균주(菌株)들을 분리해 배양하는 작업을 했다. 1940년 12월에는 호소카와 쇼이치 교수의 소개로 의학부 내과학교실 제2강좌 [[이토]] 마사요시(伊藤正義) 교수의 조수로 자리를 옮긴 뒤 임상수련을 받았고, 194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경성제국대학 대학원]]에서 [[https://ndlonline.ndl.go.jp/#!/detail/R300000001-I000007795885-00|'경성에서 유행하는 디프테리아균형에 관한 연구'(京城に流行するヂフテリア菌の菌型に関する研究)]]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43년 전임강사에 채용되었고, 1944년 6월 이토 마사요시 교수가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장에 취임하자 의학부 제2내과의 책임자격으로 부상했다. [[8.15 광복]] 후 1945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경성대학 의학부]] 제2내과에 [[조교수]]로 부임했다. 1946년 남해안 일대에 [[콜레라]]가 발생하자, 의학부 방역반장으로서 현지 방역에 종사하기도 했다. 같은 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부교수]]로 승진했고,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장 및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이대동대문병원]]장을 3년간 겸임했다. 1952년에는 [[교수]]로 승진해 1978년까지 재직했다. 그 사이 1955년 미네소타 프로젝트에 따라 교환교수 제1진으로서 [[미네소타 대학교]]에 파견돼 간질환 연구에 대한 연수를 받은 뒤 이듬해인 1956년 귀국했고, 이후 1958년 [[서울대학교병원|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 주임교수, 1959년부터 1960년까지 제1·2대 대한기생충학회 회장, 1960년 국제간연구회 한국지부장, 1963년 대한내과학회 부회장, 1963년부터 1970년까지 부속 풍토병연구소 소장, 1964년 10월 1일부터 1968년 9월 4일까지 [[http://www.snuh.org/content/M005003002.do|제8·9대]] 의과대학 부속병원장, 1965년 대한병원협회 회장, 1966년부터 1967년까지 대한내과학회 회장, 1968년 9월부터 1970년까지 제9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과대학장]], 1968년 대한소화기병학회 회장, 1970년 4월 부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1966년 4월 23일 [[대한민국 학술원]] 자연과학부 제4분과 회원에 선출되기도 했다. 1970년 11월 11일부터 1975년 5월 26일까지 [[https://www.snu.ac.kr/about/president/presidents/12|제11·12대]] 서울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서울대학교 역사상 유일한 연임 총장이다. 총장 재임 중 1975년 서울대학교의 각 단과대학이 [[서울대학교/관악캠퍼스|관악캠퍼스]]로 이전하여 관악캠퍼스에서 첫 입학식이 열렸다. 그러나 1975년 4월 [[김상진 할복 사건]]이 발생하자 농과대학장이 사임했고, 대규모로 시위가 거세짐에 따라 같은 해 5월에 총장직을 사임했다. 1979년 이후 [[명예교수]]가 되었다. 1974년 [[척추]]에 [[종양]]이 발견된 이래 1980년 11월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해 3년 10개월간 5차례의 수술을 받았고, 1983년 8월 종양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82200329202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8-22&officeId=00032&pageNo=2&printNo=11661&publishType=00020|재발해]] 다시 입원 치료를 받았으나 1983년 10월 12일 오후 4시 30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101300239111013&editNo=0&printCount=1&publishDate=1983-10-13&officeId=00023&pageNo=11&printNo=19237&publishType=00010|별세했다]]. 2012년 3월 29일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에 [[http://www.kams.or.kr/business/fame/sub1.php?mode=view&sid=41&keyfield=all&sub_mode=profile|헌정되었다]]. 국내 [[내과]]학, 특히 [[소화기내과]]학 및 간장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한국인의 [[간디스토마]], [[간경변]]증 및 [[간암]]에 관한 연구, [[간흡충]]증을 포함하는 장내[[기생물|기생충]]에 관한 연구 등 200여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대한의학협회]] 제1회 학술상, [[대한민국 학술원]] 공로상 등을 수상했다. == 가족 == 부인 김성옥(金星玉)과의 사이에 1남 4녀를 두었으며 사위 3명이 의사다. * 한심석 / 妻 김성옥 * 한정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소아청소년과 의사] / 夫 김정룡 전 서울대학교병원 내과학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세계 최초 B형 간염 예방 백신을 개발하는 등 간질환 연구의 권위자.] * 김형준 * 김범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 김소연 / 夫 김주성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 한경희 / 夫 김노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혈액종양내과) * 김지수 / 妻 김자영 * 김지연 / 夫 김범준 * 한성호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의사 [[분류:서울대학교 총장]][[분류:1913년 출생]][[분류:1983년 사망]][[분류:강서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의학·약학 교수]][[분류:청주 한씨 등제공파]][[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실향민]][[분류:광성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경성제국대학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의과대학]][[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서울대학교병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