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감사원장)] ||<:>{{{#000 '''한승헌 관련 틀'''}}}||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국민훈장 무궁화장)] ---- [include(틀:사회복지공동모금회 역대 회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eded, #ededed 20%, #ededed 80%, #ededed)" '''[[감사원장|{{{#000 대한민국 제17대 감사원장}}}]][br]{{{+1 한승헌}}}[br]韓勝憲 | Han Seung-heo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한승헌.png|width=100%]]}}} || ||<|2> '''출생''' ||[[1934년]] [[9월 29일]] ||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노성리 || || '''사망''' ||[[2022년]] [[4월 20일]] (향년 87세) || || '''본관''' ||[[청주 한씨]] || || '''가족''' ||아버지 한상규, 어머니 이종단 || || '''학력''' ||[[전주고등학교]] {{{-2 ([[졸업]])}}} [br] [[전북대학교]] {{{-2 (정치외교학 / [[학사]])}}} || || '''약력''' ||제8회 [[고등고시]] 사법과 합격 [br][[부산지방검찰청]] 검사[br][[서울지방검찰청]] 검사 [br][[법무부]] 검찰국 검사 [br]초대 한국저작권법연구소 소장 [br][[한겨레신문]] 창간위원장 [br]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위원 [br]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교수 [br]제17대 [[감사원장]] {{{-2 ([[국민의 정부]])}}} [br][[법무법인 광장]] 고문변호사 [br]제3대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장 [br][[전북대학교]] 기초교양교육원 석좌교수[br][[가천대학교 법과대학]] 석좌교수 || || '''상훈''' ||[[근정훈장|청조근정훈장]] {{{-2 (1999)}}} [br][[국민훈장|국민훈장 무궁화장]] {{{-2 (2018)}}}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 본관은 [[청주 한씨|청주]](淸州)[* 공안공파(恭安公派) 33세 헌(憲) 항렬.], 아호는 산민(山民). 인권변호사 1세대로 독재정권에 맞섰으며, 1988년 [[이돈명]], [[홍성우(1938)|홍성우]] 등과 함께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창립을 주도하였다. == 생애 == 1934년 9월 29일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노성리[* [[청주 한씨]] 집성촌이다.] 1087번지에서 아버지 한상규(韓相奎, 1904. 7. 17 ~ 1957. 2. 19)와 어머니 [[경주 이씨]] 이종단(李鍾丹, 1904. 2. 19 ~ ?)[* 이규용(李圭龍)의 딸이다.] 사이에서 [[무녀독남]]으로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31605.html|태어났다]]. [[전주고등학교]], [[전북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1957년 제8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하여 [[검사(법조인)|검사]]로 근무하였다. 그러다가 1965년부터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한동한 작가들의 변호를 맡다가 인권 변호사로 영역을 넓힌다. 1975년에, 1972년 《여성동아》에 쓴 〈어떤 조사(弔辭)〉로 필화를 겪으며 구속. 당시 1백29명의 변호인단이 변론에 나서 화제가 되었다. 1974년 [[10월 유신]]에 반발하여 민주회복국민선언에 서명하였다. 이후 주요 변론 사건은 [[민청학련 사건]], 통일혁명당 사건,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등이다. 1988년 5월 28일에는 [[이돈명]], [[홍성우(1938)|홍성우]] 등과 함께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창립을 주도하였다. 1998년 [[국민의 정부]]가 출범하자 [[감사원장]]으로 내정되었으나 [[한나라당]]의 반발로 같은 해 8월까지 감사원장 [[서리]]를 역임하였다. 이후 1998년 8월 18일부터 1999년 9월 28일까지 [[https://www.bai.go.kr/bai/intro/history/chairmanHistory|제17대]] 감사원장을 지냈다. 감사원장에서 물러난 후로는 1999년 11월부터 [[법무법인 광장]] 고문변호사, 2002년 4월부터 2004년 4월까지 [[https://gyeonggi.chest.or.kr/lf/intrcn/initHist.do|제3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 전북대학교 기초교양교육원 석좌[[교수]], [[가천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석좌교수, [[서울특별시청]] 시정고문단 대표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여담으로 [[김기춘]]의 안티테제라고 할 정도로 김기춘이랑 여러가지 특징에서 차이점이 많이 있다. 우선 한승헌 변호사의 경우, 박정희 정권 시절 인권 변호사로 활동한 바 있어서 당시 유신 헌법이 발표되었을 때 반대 입장을 취했으며 이는 2017년 대선 이후 MBN에서 방영되었던 문재인을 다룬 다큐멘터리에서 출연했을 때도 그건 법도 아니다라고 말했을 정도였다. 반면 김기춘은 박정희 정권 시절 유신 헌법을 저작한 장본인이다. 또한 한승헌 변호사는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및 심판에서 문재인을 필두로 구성된 변호인단에 속해있었으며 반대로 김기춘은 당시 탄핵 소추 위원장을 맡았었다. [[2018년]] [[국민훈장|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2022년]] [[4월 20일]] 작고했다. 유해는 화장 후 [[광주광역시]] [[북구(광주)|북구]] 운정동 [[국립민주묘지|국립 5.18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3127606|#]] == 변호한 사건 목록 == * [[분지 필화사건]] * [[동백림 사건]] * [[통일혁명당 사건]] * [[남산 부활절 연합예배 사건]] * [[울릉도 간첩단 사건]] * [[민청학련 사건]] * [[인민혁명당 사건]] *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 [[노동과 노래 필화사건]] *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사건]] * [[민중교육지 필화사건]] * [[인천 5.3 운동]] * [[문익환]] 목사 방북 사건 * [[임수경 방북 사건]] * [[황석영]] 방북 사건 *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 * [[송두율]] 사건 == 저서 == * 《내릴 수 없는 깃발을 위하여》 (1983) * 《법과 인간의 항변》 (1983) * 《허상과 진실》 (1985) * 《역사발전과 민주문화의 좌표》 (1985) * 《법창에 부는 바람》 (1986) * 《저작권의 법제와 의무》 (1988) * 《갈망의 노래》 (1990) * 《분단시대의 피고들》 (1994) * 《한 변호사의 초상》 (1994) * 《정보화시대의 저작권》 (1996) * 《불행한 조국의 임상노트》 (1997) * 《법이 있는 풍경》 (2000) * 《내 마음 속의 그들》 (2002) * 《역사의 길목에서》 (2003) * 《산민객담》 (2005) * 《분단시대의 법정 - 한승헌 변호사 변론사건 개요》 (2006) * 《한승헌 변호사 변론 사건 실록》 1~7 (2006) * 《글로벌 시대의 한국과 한국인(공저)》 (2007) * 《한승헌 변호사의 유머 기행 - 속 산민객담》 (2007) * 《법창으로 본 세계 명작》 (2008) * 《한 변호사의 고백과 증언》 (2009) * 《한승헌 변호사 스피치의 현장》 (2010) * 《유머수첩 - 한승헌 변호사의 산민객담3》 (2012) * 《피고인이 된 변호사》 (2013) * 《권력과 필화》 (2013) * 《한국의 법치주의를 검증한다》 (2014) * 《재판으로 본 한국현대사》 (2016) * 《하얀 목소리》 (2016) * 《한승헌 수필전집》 (2017)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검사]][[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청주 한씨 공안공파]][[분류:진안군 출신 인물]][[분류:1934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감사원장]][[분류: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출신 인물]][[분류:전주고등학교 출신]][[분류:전북대학교 출신]][[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재직]][[분류:국민훈장 무궁화장]][[분류:전북대학교 재직]][[분류:국립묘지에 안장된 인물]][[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청조근정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