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본명이 한병도였다가 개명한 북한의 정치인이자 문학가, rd1=한설야)]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전라북도|{{{#cfa547 전북}}}]] [[익산시 을|{{{#cfa547 익산시 을}}}]])'''}}} || || 제20대[br][[조배숙]] || → || '''제21대[br]한병도''' || → || ''현직'' || || {{{#fff '''한병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정무수석비서관)] ---- ||<-5> {{{+1 [[대통령비서실|[[파일:청와대 흰색 로고.svg|height=40]]]] [[대통령비서실|{{{#ffc224,#db9e00 '''대통령비서실'''}}}]] [[대통령비서실|{{{#ffc224,#db9e00 '''정무비서관'''}}}]]}}} || ||<-2> [[박근혜 정부|{{{#ffffff '''박근혜 정부'''}}}]] ||<-3> [[문재인 정부|{{{#ffffff '''문재인 정부'''}}}]] || || 4대[br][[박요찬]] || → || ''' 초대[br]한병도 ''' || → || 2대[br][[송인배]]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전라북도|{{{#cfa547 전북}}}]] [[익산시 갑|{{{#cfa547 익산시 갑}}}]])'''}}} || || ''선거구 개편''[br][[이협(정치인)|이협]][* 익산시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17대[br]한병도''' || → || 제18-20대[br][[이춘석]] || }}} || ||<-2> '''[[정무수석비서관|{{{#fff 문재인 정부 제2대 정무수석비서관}}}]]''' || ||<-2> '''대한민국 제17·21대 국회의원[br]{{{+1 한병도}}}[br]韓秉道 | Han Byeong-d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bd2.jpg|width=100%]]}}} || ||<|2> '''출생''' ||[[1967년]] [[12월 7일]] ([age(1967-12-07)]세)|| ||[[전라북도]] [[이리시]] || || '''거주지''' ||[[전라북도]] [[익산시]] [[영등동]] 부영아파트 || || '''현직''' ||[[제21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전라북도당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익산시 을]] [[지역위원장]] || ||<|2> '''재임기간''' ||[[문재인 정부]] 제2대 [[정무수석비서관]] || ||[[2017년]] [[11월 28일]] ~ [[2019년]] [[1월 8일]]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한병도 서명.svg|width=130]]}}} || || '''링크''' ||[[https://blog.naver.com/hbd7851|[[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esiksan, 크기=20)] | [[https://facebook.com/hbd785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EaMpE81_C2tG4HRvY9b27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이리북일국민학교 {{{-2 ([[졸업]])}}}[br][[이리동중학교]] {{{-2 (졸업)}}}[br][[원광고등학교]] {{{-2 (졸업)}}}[br][[원광대학교/학부|원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커뮤니케이션학|신문방송학]] / [[학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 || '''종교''' ||[[원불교]]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의원 선수''' ||'''2''' || || '''지역구''' ||[[전북]] [[익산시 을]] || || '''의원 대수''' ||'''[[제17대 국회의원|17]], [[제21대 국회의원|21]]''' || || '''소속 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br][[예산결산특별위원회]] || || '''경력''' ||[[원광대학교]] 총학생회 회장[br]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2 ([[참여정부]])}}}[br]이산가족 영상상봉기획단 부단장[br]국제의료협력단 이사[br]한-이라크 우호재단 이사장[br][[제17대 국회의원]] {{{-2 ([[익산시 갑|전북 익산시 갑]] / [[열린우리당]])}}}[br][[노무현재단]] 자문위원[br][[민주통합당]] 당대표 정무특보[br][[민주통합당]] 당무위원[br][[더불어민주당]] [[익산시 을]] 지역위원장[br][[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 {{{-2 ([[문재인 정부]])}}}[br][[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2 (문재인 정부)}}}[br][[대통령비서실]] [[이라크]]특임 외교특별보좌관 {{{-2 (문재인 정부)}}}[br][[제21대 국회의원]] {{{-2 ([[익산시 을|전북 익산시 을]] / [[더불어민주당]])}}}[br][[더불어민주당]] 제1정책조정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br][[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간사[br][[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위원장[br]제21대 국회 후반기 [[윤리특별위원회]] 간사[br][[더불어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보좌관]] 출신 [[정치인]]. == 생애 == [[1967년]] [[12월 9일]] [[전라북도]] [[익산시|이리시]]에서 아버지 [[http://www.hanulan.or.kr/news/articleView.html?idxno=72643|한해선]]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리동중학교]], [[원광고등학교]], [[원광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재학 중 [[6월 항쟁]]에 참여했다가 투옥되었고 제19대 총학생회장을 역임했다. 졸업 후 당시 운동권 지도부로서는 이례적으로 군대를 갔다 왔고[* [[특별사면]]으로 인해 다시 병역 대상에 올랐다고 한다.] 모교인 원광대학교 기획처에서 일했다. === 정치 활동 ===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전라북도]] 익산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국회의원인 [[새천년민주당]] [[최재승]]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친노]]계에 속하였으며 [[대한민국 국회]]에서 산업자원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속하여 활동하였다. 이외에 빈곤아이를 위한 국회의원 모임, e스포츠와 게임산업 발전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 등에서도 간사로 활동하였다. 2007년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경선에서는 [[한명숙]]을 지지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공천에서 [[이춘석]] [[변호사]]에 밀려 탈락하였다. 이후 2009년 한국-[[이라크]] 우호 재단 이사장,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노무현재단]]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2012년 2월부터 [[민주통합당]]에서 [[한명숙]] 대표최고위원 정무특별보좌관, 당무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전라북도 익산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려 하였으나 현역 국회의원 이춘석 후보에 다시 밀렸고, 현역 [[전정희]] 의원의 탈당으로 무주공산이 된 옆동네 익산시 을 [[선거구]]에 전략공천을 받았으나[* 경선 탈락자는 해당 선거구에는 공천을 받을 수 없으나, '''다른 선거구'''에는 공천을 받을 수 있다. [[최명길(정치인)|최명길]] 전 의원도 마찬가지로 대전 [[유성구 갑]] 경선 탈락 이후 서울 [[송파구 을]]에 전략공천되었고, 당선되었다.], 결국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조배숙]]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 때 전정희는 국민의당에 입당했으나, 결국 조배숙에게 공천에서 밀려서 익산시 갑 선거구에 출마했고, 이춘석에게 밀려서 낙선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 [[더문캠]]에서 조직상황실장,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에서 조직본부 공동부본부장을 맡았다. === 청와대 입성 === 2017년 5월 17일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에 임명되었고 11월 28일 비리 의혹으로 사퇴한 [[전병헌]]에 이어 정무수석으로 임명되었다. 문재인 정부에서 [[정무수석비서관]]은 비서실장이 부재 할 경우 직무를 대리하는 최선임 수석비서관인데 재밌는 점은 한병도 정무수석의 나이가 수석비서관들 중 가장 어리다. 2019년 1월 8일 정무수석을 그만두었고 후임으로는 [[강기정]]이 임명되었다. 사유는 21대 총선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역구는 17대 총선에 출마한 전북 익산 갑 지역이 아닌 민주평화당 4선의원 [[조배숙]]의 전북 익산 을 지역으로 예상된다. 1월 24일 청와대 외교특별보좌관으로 임명되고 이라크 특임대사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 다시 국회로 === 2020년 2월 29일, 경선에서 승리해 [[익산시 을]] 지역구에 공식 출마하게 되었다. 별다른 이변만 없다면 [[민생당]]의 [[조배숙]]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지난 총선]] 패배의 복수전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으로는 범죄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천되는 바람에,[* 비단 임동호뿐만 아니라, [[문재인 정부의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에 연루된 범죄 혐의자들([[황운하]], [[임동호]], 한병도)이 대부분 공천받았다. 탈락한 사람은 [[송병기]] 단 1명 뿐이다.] 금태섭의 경선 탈락과 맞물려 민주당 공천에 대한 비판이 있다. 어쨌든 출마를 했고, 당선되면서 장장 12년 만에 국회에 복귀했다. 2020년 [[더불어민주당]]의 제4차 정기전국대의원대회 최고위원 선출 후보자로 등록하여 기호 4번을 부여받았으나 7위로 낙선. 호남 표심이 [[양향자]]와 나뉜 게 문제였던 모양. 2023년 3월 27일 더불어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에 임명되었다.[[http://v.daum.net/v/20230327105956943|#]] == 논란 및 사건사고 == === 울산시장 선거 개입 관련 의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재인 정부의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 2019년 12월, 검찰이 울산시장 선거 개입 의혹과 관련해 울산 경찰과 임동호 전 민주당 최고위원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하면서 제시한 영장에 한병도 전 수석은 공직선거법 위반 피의자로 적시된 사실이 확인되었다.[[http://news.kbs.co.kr/news/view.do?ncd=4349322|#]] 결국 [[2020년]] [[1월 29일]],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김태은 부장검사)는 1월 29일 송철호(71) 울산시장과 송병기(58) 전 울산시 경제부시장, 황운하(58) 전 울산지방경찰청장, 백원우(54)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 박형철(52) 전 반부패비서관 등 13명을 재판에 넘겼다. 한병도(53)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환석(59) 전 균형발전비서관실 선임행정관, 문모(53) 전 민정비서관실 행정관 등 김기현 전 울산시장 주변 수사와 송 시장 선거공약 논의에 참여한 청와대 인사들도 대거 함께 재판에 넘겨졌다.[[https://m.lawtimes.co.kr/Content/Info?serial=159108&kind=AD05|#]] ==== 제1심 [[서울중앙지방법원]] ==== * 사건번호: 2020고합79 *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21-3부(마성영, 김정곤, 장용범 부장판사) →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5-1부(김정곤 ‧ 허경무 ‧ 김미경 부장판사)[* 부장판사 3명으로 이루어진 대등재판부이다. 두 명의 판사는 [[2023년]] 법원 정기 인사 때 민사부로 이동하고 다른 판사로 교체되었다.[[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185391&kind=AA&key=|법률신문]]]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161115&q=%EC%84%A0%EA%B1%B0%EA%B0%9C%EC%9E%85|'靑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 첫 재판 10분만에 종료]]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168966&q=2020%EA%B3%A0%ED%95%A979|'靑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 사건' 1심 재판, 5개월만에 재개]]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169985&q=2020%EA%B3%A0%ED%95%A979|1년 4개월만에 개시된 '靑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 재판, 불꽃 공방]] 징역 1년 6개월형을 구형받았다.[[https://www.chosun.com/national/court_law/2023/09/11/NHK4W2B3IVGEHGTRCAHQQENB3M/|#]] 그러나 1심에서는 무죄를 선고받았다.[[https://m.segye.com/view/20231129513619|#]] === 장애인 차남 병역면제에 대한 언론들의 추측성 보도 피해 사건 === 2020년 9월 [[추미애]] 법무장관의 아들 병역이행 이슈가 다시 불거져 나오자 일부 언론이 한병도의 차남이 [[병역면제]]를 받은 사실에 대하여 추측성 기사를 썼다. 그래서 한병도는 기자회견을 통해 아들이 [[자폐성 장애]]인임을 밝혔다. '''정신 연령은 영아기에 머물러 있고 [[대변|대]][[소변]]을 가리지 못하여 밖에 나가 산책을 할 때면 아무 곳에서나 소변을 봐서 사람이 없는 곳으로 피해 다녀야 하고, 화가 나면 표현할 방법이 없어 [[자해|자기 자신을 심하게 때리기도 하며]], 말도 하지 못 하고 혼자 옹알거리며, 작은 물건에 집착하며, 슈퍼에 가서도 먹고 싶은 것이 눈앞에 보이면 그냥 그 자리에서 뜯어 먹는''' 정말 심각한 상태의 중증 [[장애인]]이라고. 그러니까 당연히 면제되어야 할 사람이 [[면제]]되었던 것, 단지 그뿐이었다. 최소한의 사리분별도 안 되고 기본적인 자기 앞가림조차 못하는 이런 상태의 사람을 군대에 보낸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병역판정검사]]를 받게되는 나이가 되기 전에 [[장애인]] 등록이 되어있으면 검사 없이 면제받게 된다. 이 정도로 심각한 장애는 [[전시근로역]]도 아닌 병역 완전[[면제]]이다.] 한병도 의원은 이어 "자신과 장남처럼 병역을 이행할 수 있었다면 참 좋았을 것이다. [[장애인]] 부모의 심경을 헤아려달라는 것이 아니다. 선거시 제출하는 병역 관련 서류에 자녀의 병역판정사유를 드러내는 것은 의무사항이 아니다. 기자들의 의심을 이해할 수는 있지만 만일 기자들이 전화로 사전취재를 해주었다면 자초지종을 듣는 데 5분이면 충분했을 것이다" 라고 입장을 밝혔다. 또 "어떤 의도를 갖고 기사를 작성한 건지 대번에 알아볼 수 있다. 국회의원 자녀가 병역을 면제 받았는데, 질병명까지 비공개했다니 마치 [[병역기피|병역을 기피]]한 것 아니냐는 뉘앙스를 풍기는 기사"라고 항의했다. 사정을 알게 된 대중들의 반응은 안타까움 그 자체. == 여담 == * 술을 잘 못한다고 한다. 그래서 농담으로 술을 '한 병도' 못 마셔서 한병도라고 한다고. 이후 본인은 '한 잔도' 못 마신다고 정정했다. * [[전대협]] 3기 출신 인사로 대통령비서실 임용 직후 색깔론 공격을 받았다. * [[김교흥]]과 당선된 선수(17, 21)가 완벽하게 비슷하다. 다만, 김교흥은 18, 19, 20대에서 낙'''선'''했으며, 한병도는 18대에서는 낙'''천'''했고, 김교흥은 [[서구 갑(인천광역시)|서구 갑]] 선거구 그대로 출마했지만, 한병도는 [[익산시 갑]]에서 [[익산시 을]]로 선거구를 바꾸어 출마했다는 점이 다르다. * 전라북도 국회의원 중 유일하게 익산시 갑/을 양 지역구에서 당선된 이력을 갖고 있다. * 21대 총선 때는 자신의 이름을 이용해서 "한뼘 더! 한병도!"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6 - 2000 || 정계 입문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2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2 || 탈당[* [[개혁국민정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개혁국민정당)] || 2002 - 2003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합당[*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에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09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09 - 2010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국민참여당)] || 2010 - 2011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1 || 탈당[* [[시민통합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시민통합당)] || 2011 || 창당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민주당(2008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2017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2020 || 탈당[* 공직 취임으로 인한 자동 탈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0 - 현재 || 복당 || [[개혁국민정당]]-[[국민참여당]]-[[시민통합당]] 에서 차례로 활동했던 진정한 친노 정치인이다. 2004년 당시 한병도 의원에게 수석보좌관으로 임명되었던 [[신영대]]와는 21대 국회에서 재회하게 되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전북 [[익산시 갑|익산 갑]] || [include(틀:열린우리당)] || '''47,527 (74.53%)''' || '''당선 (1위)''' || '''초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전북 [[익산시 을|익산 을]]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7,325 (36.83%) || 낙선 (2위)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76,982 (72.59%)''' || '''당선 (1위)''' || '''재선'''[* 12년만의 원내 복귀]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한병도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한병도2.jpg|width=10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17대 총선}}}]] [[익산시 갑|{{{#000,#fff (전북 익산시 갑)}}}]]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0대 총선}}}]] [[익산시 을|{{{#000,#fff (전북 익산시 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한병도3.jpg|width=100%]]}}}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1대 총선}}}]] [[익산시 을|{{{#000,#fff (전북 익산시 을)}}}]] ||}}}}}}}}} || == 둘러보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중앙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시도당위원장)]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전라북도)]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조국 사태)] [include(틀:더불어민주당의 계파 분류)]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이리동중학교 출신]][[분류:원광고등학교 출신]][[분류:원광대학교 출신]][[분류:익산시 출신 인물]][[분류:1967년 출생]][[분류:민주운동가]][[분류:학생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원불교 교도]][[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열린우리당 국회의원]][[분류:대통합민주신당 국회의원]][[분류:통합민주당(2008년)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정무수석비서관]][[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청주 한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