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남대학교)] [include(틀:한남대학교)] [목차] == 개요 == ||<-5> [[한남대학교|[[파일:한남대학교 시그니처(화이트).svg|width=160]]]] [br] {{{#f5f5f2 ,,(한남대학교의 단과대학),, }}} || || [[한남대학교/학과#s-2.1|{{{#0054a6 문과대학}}}]] || [[한남대학교/학과#s-2.2|{{{#0054a6 사범대학}}}]] || [[한남대학교/학과#s-2.3|{{{#0054a6 공과대학}}}]] || [[한남대학교/학과#s-2.4|{{{#0054a6 스마트융합대학}}}]] || [[한남대학교/학과#s-2.5|{{{#0054a6 경상대학}}}]] || || [[한남대학교/학과#s-2.6|{{{#0054a6 법정대학}}}]] || [[한남대학교/학과#s-2.7|{{{#0054a6 생명·나노과학대학}}}]] || [[한남대학교/학과#s-2.8|{{{#0054a6 사회적경제융합대학}}}]] || [[한남대학교/학과#s-2.9|{{{#0054a6 린튼글로벌스쿨}}}]] || [[한남대학교/학과#s-2.10|{{{#0054a6 아트&디자인테크놀로지대학}}}]] || ||<-3> [[한남대학교|[[파일:한남대학교 시그니처(화이트).svg|width=160]]]] [br] {{{#f5f5f2 ,,(한남대학교의 독립학부 및 교양대학),, }}} || || [[한남대학교/학과#s-2.11|{{{#0054a6 자유전공학부}}}]] || [[한남대학교/학과#s-2.12|{{{#0054a6 탈메이지교양교육대학}}}]] || [[한남대학교/학과#s-2.13|{{{#0054a6 창의융합학부}}}]] || ||<-5> [[한남대학교|[[파일:한남대학교 시그니처(화이트).svg|width=160]]]] [br] {{{#f5f5f2 ,,(한남대학교의 대학원),, }}} || || [[한남대학교/학과#s-3.1|{{{#0054a6 일반대학원}}}]] || [[한남대학교/학과#s-3.2|{{{#0054a6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 [[한남대학교/학과#s-3.3|{{{#0054a6 교육대학원}}}]] || [[한남대학교/학과#s-3.4|{{{#0054a6 경영국방전략대학원}}}]] || [[한남대학교/학과#s-3.5|{{{#0054a6 학제신학대학원}}}]] || 한남대학교는 2021년 기준으로 학사과정에 10개 단과대학과 3개의 독립학부 및 교양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 등을 포함한 대학원과정은 [[일반대학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교육대학원]], 경영국방전략대학원, 학제신학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 [[학부#s-1학사과정|학사과정]] == 10개의 단과대학(교양대학 제외)과 1개의 독립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 [[인문대학#s-2.1|문과대학]] === [include(틀:전국신학대학협의회)] [include(틀:군종목사 선발 신학대학)] [[파일:한남대 문과대학.png]] ---- * [[국어국문학과|국어국문]]·[[문예창작학과|창작학과]][*교직 [[교직과정]] 설치학과] * [[영어영문학과]][*교직 [[교직과정]] 설치학과] * [[어문계열#s-1|외국어문학부]] * [[일어일문학과|일어일문학전공]][*교직 [[교직과정]] 설치학과] * [[불어불문학과|프랑스어문학전공]] * [[문헌정보학과]][*교직 [[교직과정]] 설치학과] * [[사학과]] * [[기독교학과]] ----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5|오정동 캠퍼스]]에 있다. 대학 차원의 학과 구조조정이 잦았던 대학이다. 대표적으로 과거 [[독어독문학과|독일어문학과]]와 [[철학과]]를 통합한 적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나무위키 [[독어독문학과#s-2]] 문서에서 언급된다. 자세히 언급하는 것은 아니고 각 대학 인문대학이 구조조정을 실시하면 '''1순위로 정리가 고려되는 학과'''로 간략하게 언급된다.] 2013년 6월을 기점으로 철학과와 독일어문학과의 폐지가 확정되었다.[* 2013년 6월경을 기준으로 교내에서 철학과 폐지를 반대한다는 내용의 붉은 현수막이 매달려있는 것을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그렇지만 관계없는 타학과 학생들이 보기에 학교 내 분위기는 그런대로 조용한 편이다. 이때 폐지된 독문학과와 철학과는 철학상담학과로 통·폐합되었다. 철학과 통·폐합의 여파로 [[사범대학]] [[교육학과]]와 연계하여 실시하였던 [[윤리교육과#s-6.1|도덕·윤리 연계전공]]도 폐지되었다. 또한 2014년경부터 문과대학 내에서 학과 통·폐합 얘기가 다시 들려왔다. 사학과도 철학상담학과와 통·폐합되어 역사·철학상담학과로 합쳐졌던 때가 있지만 2017년 현재 다시 분리되어 별개로 나뉜다. 현재는 사학과로 복과 되었으며, 철학상담학과는 상담심리학과로 이름이 바뀌어 사회경제적융합대학으로 옮겨갔다. 단과대학 건물은 2018년 2학기에 리모델링을 완료하였다. 문과대에서는 학술제를 진행하는데 사실상 연극제이다. 한남대 학생이라면 학술제를 구경할 수 있다. 친구 중에 문과대 학술제를 하는 친구가 있다면 놀러가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이름부터 학술제인 만큼 전공 교수님들도 오셔서 구경하신다. 이 때문에 분위기가 꽤 진지하고 무거운 신·편입생이 치러야 하는 의식 같은 거라서 학생회 지도하에 신입생들만 배역을 맡는다. === [[사범대학]] === [[파일:한남사대.jpg]] ---- * [[국어교육과]] * [[영어교육과]] * [[교육학과]] * [[역사교육과]] * [[미술교육과]] * [[수학교육과]] ----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4|오정동 캠퍼스]]에 있다. 미술교육과만 사범대학 옆에 있는 미술교육관이란 건물을 혼자쓰며, 이외의 5개 학과는 사범대학 건물을 사용한다. 한남대학교 사범대학의 역사는 학교가 1985년 10월 30일에 종합대학으로 승격되며 사범대학이 설치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때 사범대학을 구성하는 학과는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교육학과, 역사교육과, 미술교육과, 가정교육과 등 총 6개 학과였다. 각각의 학과는 사범대학이 설치되기 이전에 사범계열 학과로서 타 단과대학에 존재하는 학과였다. 미술교육과와 가정교육과는 1973년, 국어교육과는 1976년, 역사교육과는 1980년, 교육학과는 1981년, 영어교육과는 1983년에 설치된 상태였다. 이후 가정교육과가 2002년에 폐과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으며, 수학교육과가 2007년에 신설되어 현재 6개 학과 체제로 운영 중이다. 사범대학은 대전·충남권역에서 [[공주대학교 사범대학]]의 강세[* 공주대 사범대학도 충청도 전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지만, 현재는 인근 지역인 청주에 국내 유일의 종합교원양성대학인 [[한국교원대학교]]가 설립되면서 그 위상이 과거보단 조금 약화된 상황이다.]로 많이 부각되지는 않지만 대전지역으로 한정하면 [[충남대학교]]가 2009년에 [[사범대학]]을 신설하기 전까지 '''대전에서 유이'''[* 다른 한 대학은 [[목원대학교]]이다. 현재는 충남대학교도 사범대학을 운영하고 있어서 [[대전광역시]]에서 사범대학이 있는 대학교는 총 3곳이다.]하게 사범대학을 해온 대학이라 역사가 깊은 편이다. 배재대학교는 1993년에 사범대학이 설치되었으나 1997년에 폐지 되었으니 현존하는 사범대학은 한남대, 목원대, 충남대의 3개 대학이 있다. [* 사범대학 설치 연도만 따지면 대전광역시 내에서 제일 오래되었다. 한남대학교는 1985년, 목원대학교는 2006년, 충남대학교는 2009년에 각각 사범대학을 설치하였다. 현재 세 학교의 사범대학을 구성하고 있는 사범계열 학과의 신설 연도는 각 학교의 사범대학 설치 연도보다 더 오래되었다.] 매년 10명 이상의 교원임용자를 배출하고 있으며 2020 임용에서는 23명의 임용자를 배출했다. 2015년도에 교육부에서 실시한 [[교원양성기관평가]]에서 A등급인 최우수판정을 받으면서 교육부 장관 표창 수여, 정부 재정지원 사업 인센티브 수여 등의 혜택을 받았다. 이후 5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s-3.2]]에서는 B등급을 받았다.[* B등급은 현행 유지이다. 지난 주기에 받았던 A등급은 '''현행 유지에 [[교육부총리]] 표창'''까지 받는다.][* 한편, 사범대학 소속은 아니지만 타 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직과정은 C등급을 받았기 때문에 [[국어국문학과|국어국문]]·[[문예창작학과|창작학과]], [[영어영문학과]], [[어문계열#s-1|외국어문학부]] [[일어일문학과|일어일문학전공]], [[문헌정보학과]](이상 [[인문대학#s-2.1|문과대학]] 소속), [[컴퓨터공학과]], [[수학과]](이상 스마트융합대학 소속), [[생명과학과|생명시스템과학과]], [[식품영양학과]], [[화학과]](이상 생명·나노과학대학 소속), 융합디자인학과(아트&디자인테크놀로지대학 소속) 등 총 10개학과에서 운영하는 '''교직과정의 정원 30%를 감축'''해야 한다.] 한남 사범대는 1985년 출범 후 약 1천 명의 교원을 배출했으며 덕분에 대전 지역의 중·고등학교에서는 한남대 출신의 선생님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배우 [[권상우]]가 [[미술교육과]] 출신으로 잘 알려져있다.[[https://youtu.be/qdc7m81tlRQ|#]] === [[공과대학]] === [include(틀:ABEEK 인증대학)] [include(틀:KAAB 인증대학)] [[파일:한남대 공대.png]] ---- * [[정보통신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 [[멀티미디어학과|멀티미디어공학과]] * [[건축학과]](5년제)[* 한남대학교의 유일한 정식 5학년제 학부이다.] * 토목·건축공학부 * [[건축공학과|건축공학전공]] * [[토목공학과|토목환경공학전공]] *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신소재공학과]] ----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11|오정동 캠퍼스]]에 있다. 취업률은 전화기가 높을 것 같지만 2014년도에는 산업경영공학과가 84%로 가장 높았었다. 그 이듬해인 2015년과 2016년에는 기계공학과가 1위 전자공학과가 2위를 차지했다. 컴퓨터통신무인기술학과는 2017년부터 정보보안트랙을 뽑지 않았고, 18년을 마지막으로 2019년도 부터 컴퓨터통신무인기술학과라는 학과를 분리하여 컴퓨터공학과와 정보통신공학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2019 여름방학 이후 건물 외관색이 어두운 색으로 바뀌었다. === 스마트융합대학 === ---- * AI융합학과[*A 구 공과대학 소속] * [[컴퓨터공학과]][*A 구 공과대학 소속][*교직 [[교직과정]] 설치학과] * [[산업경영공학과]][*A 구 공과대학 소속] * [[수학과]][*B 구 생명·나노과학대학 소속][* 원래 [[이과대학]] 소속이었다가 이과대학이 없어지면서 생명·나노과학대학으로 편입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수학과의 수업은 오정동캠퍼스에서 진행하며 학과사무실은 계의돈기념관(구 이과대학)에 위치해 있다. 이마저도 생명·나노과학대학에서 스마트융합대학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교직 [[교직과정]] 설치학과] ---- 단과대학 내 소속학과 들이 제각각 다른 건물에 입주해있다. 컴퓨터공학과와 산업경영공학과는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11|공과대학]] 건물에, AI융합학과와 수학과는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7|계의돈기념관]]에 있다. === [[상과대학#s-2.2|경상대학]] === [[파일:한남대 경상대.jpg]] ---- * [[경영학과]] * [[회계학과]] * [[무역학과]] * 경제학부 * [[경제학과|경제학전공]] * 중국경제통상학전공 * [[경영정보학과]] * 호텔항공경영학과 ----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6|오정동 캠퍼스]]에 있다. 경상대 같은 경우 강의실이 부족해 건물 1개를 더 건설하여 붙인 터라 신입생들은 강의실을 찾지 못해 길을 잃는 경우가 있다. 참고하길 바란다. === 법정대학 === [[파일:한남대 56주년 기념관.jpg]] ---- * 법학부 * [[법과대학#s-3.1|법학전공]] * 법무법학전공 * [[행정학과]] * [[경찰학과]][* 교수진에 유도 국가대표출신도 있고 TV프로그램에 출연하여 강연도 하신 교수도 존재하는 등 교수진이 빵빵한 학과다.] * [[커뮤니케이션학과#s-2.7|정치·언론학과]] ----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16|오정동 캠퍼스]]에 있다. 본래 법과대학 시절엔 교내에서 밀어주는 곳이었다. 다른 단과대학처럼 여러 학과가 있는 게 아닌 데도 불구하고 법과대학이란 이유로 건물 역시 학교의 제일 센터인 11번 건물을 사용하였다. 2012년에 56주년기념관 열람실이 생기기 전까진 11번 건물이 중앙열람실 겸 법과대학 건물이였다. 그러나 2009년 우리나라 대학에 [[로스쿨]]이 도입된 이후로 대전·충청권 유일의 [[법과대학]]이었으나 2015년부로 사회과학대학과 통폐합하여 법정대학이 되었다. 구 법과대학이 쓰던 11번 건물은 이후 1층만 호텔식으로 리모델링하고 이름을 '인사례교양동'으로 바꾸었다. 그런데 정말 보이는 곳만 하였다. 2층은 바깥에서 보이는 부분만 리모델링하였다. 타 지역과는 달리 대전은 로스쿨을 인가받은 사립대학이 단 1곳도 없다.[* [[충청권]]에 위치한 로스쿨 설치 대학교는 모두 [[국립대학]]이며, [[충남대학교]](대전)와 [[충북대학교]](충북) 만이 로스쿨을 가지고 있다. 이는 비단 대전광역시만의 문제가 아니다. '''로스쿨은 수도권, 특히 서울 편중 현상이 심하다.''' 사립대학으로 로스쿨 설치를 인가받은 대학교 15개교 중에서 수도권 소재 대학은 무려 12개교이며, 이마저도 서울 소재 대학이 10개교나 된다.] 보통 국립과 사립대학교 1개 학교에 로스쿨을 인가한다. 평생교육원으로 쓰고 있는 30번 건물은 사실 로스쿨 건물로 쓰려던 건물이었다. 하지만 로스쿨 인가에 실패 했다. 당시 대덕 캠퍼스 유치에서 비리의혹도 있었고, 이 때문에 그 당시 법과대학 교수이던(현재는 퇴직) 신교수가 검찰 조사를 요구하며 분신자살 시도까지 하였다. 2018년 2학기에 [[TOEIC|토익]] 시험장으로 지정이 되어 이곳에서 토익을 본다고 한다. 한편 법정대학과 통합되기 전의 사회과학대학은 현재 아트&디자인테크놀로지대학이 사용하고 있는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가 56주년기념관이 완공되면서 이곳으로 옮겼다. === 생명·나노과학대학 === [[파일:ga4_870463_153.5.jpg]] ---- * [[생명과학과|생명시스템과학과]][*교직 [[교직과정]] 설치학과] * [[식품영양학과]][*교직 [[교직과정]] 설치학과] * [[화학과]][*교직 [[교직과정]] 설치학과] * [[간호학과]][* 2018년 2학기에 대덕밸리캠퍼스에서 본캠퍼스 42번 건물로 이전을 완료하였다.] * [[스포츠과학과]][* 소속은 생명·나노과학대학이지만 생활체육학과의 수업은 오정동캠퍼스에서 진행한며 학과사무실은 계의돈기념관(구 이과대학)에 위치해 있다.] * 바이오제약공학과 ---- 전민동에 있는 [[한남대학교/대덕밸리캠퍼스|대덕밸리 캠퍼스]]에 있다. 주로 이 캠퍼스 소속 학과가 아니라면 이 캠퍼스에서 진행되는 교양과목을 과감히 교체하든지 수강포기를 하도록 하자. 대덕밸리캠퍼스에서 한 번 수업 듣고 싶은 학생들은 경험삼아 듣는 것도 하나의 재미가 된다. 학식이 대덕에도 있지만 맛없는 본캠보다도 더욱 맛이 없다고 할 만큼 맛이 없다고 소문이 났으며 주변에는 CU를 제외하면 특별히 먹을 곳은 없다고 한다. 이 때문에 밥먹으러 본캠으로 넘어오는 학생들도 있다. === 사회적경제융합대학 === [[파일:한남대 56주년 기념관.jpg]] ---- * [[사회복지학과]][*C 구 법정대학 소속][* 가수 겸 배우 [[강성연]]이 다녔다. 06학번, 지금은 석사는 딴 듯. 과거 강성연 장학금까지 있었다.] * 아동복지학과[*C 구 법정대학 소속] * [[상담심리학과]] * 사회적경제기업학과 * 빅데이터응용학과[*D 구 경상대학 소속, 당시 비즈니스통계학과였다.] ----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16|오정동 캠퍼스]]에 있다. 사회적경제융합대학은 2020년에 신설된 단과대로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AI) 시대에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선도적인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만들어졌다(사회복지학과와 아동복지학과는 법정대학에서 빅데이터응용학과는 경상대학에서 각각 여기로 이사했으며 나머지는 신설학과다). 건물은 법정대학과 같은 56주년 기념관이다. === 린튼글로벌스쿨 === [[파일:한남대 린튼.jpg]] ---- * 린튼글로벌스쿨 * 글로벌비즈니스전공 * 글로벌미디어·컬처전공 ---- 과거 대전국제학교 자리에 들어선 [[한남대학교/글로벌캠퍼스|글로벌 캠퍼스]]에 있다.[* 글로벌 캠퍼스라고 불리면서 나무위키 상에서도 독립된 문서로 분류되긴 했지만, 오정캠퍼스와 붙어있어 별도의 캠퍼스임을 모르는 학생들도 꽤 있다. 사실상 한 캠퍼스이다.] 명칭은 설립자 존 린튼에서 따온 것이며 입학과 동시에 1년간 50% 장학혜택을 받고 들어가게 된다. 원래는 4년 내내 일정 성적을 넘으면 주었으나 2년으로 줄었다가 1년으로 줄어 반의 반타작 당했다. 교수진 대부분이 외국인이고 몇몇 한국인 교수가 있음에도 수업은 100% 영어로 수업한다. 같은 건물에 한남대학교 어학당이 있어서 외국인이 가장 많은 건물이다. === 아트&디자인테크놀로지대학 === [[파일:한남대 조형예술대학.jpg]] ---- * 융합디자인학과[*교직 [[교직과정]] 설치학과] * 회화과 * [[의류의상학과#s-2.4|의류학과]] * [[미디어영상학과]] ----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7|오정동 캠퍼스]]에 있다. === [[자유전공#s-5.3|자유전공학부]] === 학부 사무실은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13|오정동 캠퍼스]]에 있다. 2017학년에 신설된 독립학부이다. 신입생들은 입학 후 1년 간의 대학 적응, 전공과 진로 탐색 과정을 거쳐 2학년 때 의무적으로 (사범대학 소속 학과, 간호학과를 제외한) 전공을 선택하게 된다. 여담으로 1학년 때 등록금은 공대 기준이다. 교육과정(1학년): 4개의 트랙으로 [[http://www.hannam.ac.kr/educate/educate_0110.html|운영]] - 1학기: 교양필수 10학점 및 계열기초(대학수학I) , 계열선택(선택한 트랙에 따라 2과목 이수) - 2학기: 교양필수 9학점 및 계열 선택(선택한 트랙에 따라 3과목 이수) === 탈메이지교양교육대학 ===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2|오정동 캠퍼스]]에 있다. 학생이 소속된 단과대학은 아니고, 교양필수 또는 교양선택 과목을 교육하고 운영하는 교양대학이다. === 창의융합학부 === * 융합전공 * 빅데이터 전공 * 코스메틱사이언스 전공 * 사회적경제 전공 * 융복합창업 전공 * 과학기술행정융합 전공 * 한국어통번역 전공 * XR스마트미디어융합 전공 * 연계전공 * 광고홍보학 전공 * 금융공학 전공 * 문화관광학 전공 * 국제개발비즈니스학 전공 * 기록관리학 전공 * 중국지역학 전공 * 인도지역학 전공 * 베트남지역학 전공 * 문화재·박물관학 전공 * 다문화교육 전공 * 트랙 * 인문·비즈니스 트랙 * 지적재산권 트랙 * 콘텐츠크리에이터 트랙 * 데이터저널리즘 트랙 * 디자인팩토리 트랙 * e-스포츠창업 트랙 * 기술행정전문 트랙 * XR융합디바이스 트랙 * XR디지털디자인 트랙 * XR프로그래밍 트랙 학부 사무실은 [[한남대학교/오정동캠퍼스#s-13|오정동 캠퍼스]]에 있다. 융합전공, 연계전공, 트랙, 마이크로디그리를 교육하고 운영하는 특성화 학부이다. == [[대학원]]과정 == === [[대학원#s-4.1|일반대학원]] === ==== 인문사회계 ==== * [[국어국문학과]] * [[문예창작학과]] * [[영어영문학과]] * 아동영어학과 * [[일어일문학과]] * [[문헌정보학과]] * [[철학과]] * [[기독교학과]] * [[교육학과]] * [[국어교육과]] * [[영어교육과]] * [[사학과]] * [[경영학과]] * [[경제학과]] * [[회계학과]] * [[무역학과]] * [[경영정보학과]] * [[관광학과#s-2.4|MICE호텔관광학과]] * [[법학과]] * [[행정학과]] * 정치언론국제학과 * [[사회복지학과]] * 아동복지학과 * 범죄학과 ==== 자연계 ==== * [[수학과]] * [[화학과]] * [[생명과학과|생명시스템과학과]] * [[식품영양학과]] * [[수학교육과]] ==== 공학계 ==== * [[컴퓨터공학과]] * [[멀티미디어학과]] * [[건축공학과]] * 건설시스템공학과 * [[전자공학과]] * 화공신소재공학과 * [[정보통신공학과]] * [[산업공학과]] * [[기계공학과]] * 광센서공학과 ==== 예·체능계 ==== * [[미술학과]] * [[체육학과]] ==== 학과간 협동과정 ==== * 인문사회계 * 기록관리학과 * 상담학과 * 글로벌비즈니스학과 * 글로벌경제통상학과 * 문화예술경영학과 * 자연과학계 * 코스메틱사이언스학과 ===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 * 골프레저경영학과 * 문예창작학과 * 문화예술경영학과 * 물관리융합정책학과 * 법무학과 * 사회복지학과 * 사회적경제학과 * 아동복지학과 * 언론홍보광고학과 * 정보통계학과 * 조형미술학과 * 청소년지도학과 * 한국정통복식학과 * 향장미용학과 * 공기업관리자 과정 === [[교육대학원]] === * [[교육학과|교육학전공]][*재교육] * [[상담심리학과|상담교육전공]][*양성과정] *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양성과정] * [[영어교육과|영어교육전공]][*양성과정] * [[역사교육과|역사교육전공]][*양성과정] * [[수학교육과|수학교육전공]][*양성과정] * [[체육교육과|체육교육전공]][*양성과정] * [[컴퓨터교육과|전자계산교육전공]][*양성과정] * [[미술교육과|미술교육전공]][*양성과정] * [[식품영양학과|영양교육전공]][*양성과정] * [[한국어교육학과|한국어교육전공]][*재교육] '''출처'''[[http://edupro.hannam.ac.kr/sub3/menu_1.html|#]] 2개의 재교육과정과 9개의 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두 과정의 차이는 재교육의 경우 석사학위만을 취득하며, 양성과정은 석사학위와 함께 [[교원 자격증]]도 취득한다.] 5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s-3.2]]에서 교육대학원은 양성과정과 재교육과정 모두 C등급을 받았다. 이렇게 되면 '''교육대학원 양성과정의 경우에 양성인원 정원의 30%를 감축'''해야한다. === 경영국방전략대학원 === === 학제신학대학원 === [[분류:한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