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크로아티아의 대외관계)] || [[대한민국|{{{#!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크로아티아|{{{#!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100%]]}}}]] || || '''{{{+1 [[대한민국|{{{#fff 대한민국}}}]]}}}'''[br]''{{{#fff 大韓民國}}}''[br]''{{{#fff Republic of Korea}}}''[br]''{{{#fff Republika Koreja}}}'' || '''{{{+1 [[크로아티아|{{{#fff 크로아티아}}}]]}}}'''[br]''{{{#fff Republika Hrvatska}}}''[br]''{{{#fff Republic of Croatia}}}''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과 [[크로아티아]]의 관계. 한국과 크로아티아는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관계가 깊어지고 있고 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 혈액관리본부는 크로아티아에 5년 이상 체류한 한국인의 헌혈을 영구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90년대에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을 선언했다. 그리고 나서 [[대한민국]]은 1992년 4월에 크로아티아를 승인했고, 양국은 그 해 11월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656176?sid=100|#]][* [[북한]]과는 1992년 외교관계를 맺었다.] 1995년 무역 협정을 맺었다. === 21세기 === 2001년 사증 면제 협정을 체결했다. 한국에서는 2018년 9월에 주한 크로아티아 대사관이 개설되었다. 한국에서도 크로아티아에 대사관을 두고 있고 주 크로아티아 한국 대사관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겸임국으로 두고 있다. ==== 2010년대 ==== 2018년 10월 24일, 크로아티아의 외무장관이 방한하면서 강경화 외교장관과의 면담자리에서 양국관계 주요 현안 및 한반도·유럽 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423523|#]] 2018년 12월 18일, 한국과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에서 일하는 한국 국민들이 5년간 크로아티아에 납부하는 연금보험료를 처음에 5년간 면제하는 사회보장협정을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532757|#]] 한국 경찰청과 크로아티아 경찰청은 관광치안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한국 경찰이 크로아티아로 파견되어 한국인들의 치안을 담당하게 될 예정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1&aid=0003537211|#]] 첨단과학기술협력도 확대할 예정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176782|#]] 2019년 2월, 크로아티아에서 장어를 밀반출할려던 한국인들이 체포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5&aid=0000708991|#]] 크로아티아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가했다. 가나다순으로 입장하는 규칙 때문에 ㅋ으로 시작하는 크로아티아는 비교적 뒷 순서에 입장했다. == 경제 교류 == 2015년 8월 7일, 코트라(KOTRA)는 한국인들의 크로아티아 입국이 늘면서 크로아티아 측에서 한국 기업들을 유치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3559027?sid=101|#]] 2020년 12월 3일에 주크로아티아 한국 대사관은 제8차 한-크로아티아 비즈니스 포럼'을 화상으로 진행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059138|#]] === 기술 교류 === [[현대자동차그룹]]은 크로아티아의 완성 [[전기차]] 및 부품 제조업체 [[리막 오토모빌리]]와 1천억원의 협력계약을 체결하고 고성능전기차와 수소전기차의 개발을 위해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투자는 현대차가 854억원, 기아차가 213억원을 분담하여 이루어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824102|#]] == 문화 교류 == 한국인 관광객들의 유입으로 인해 일부 관광시설의 안내책자에 [[한글]]이 병기되어있다. 대표적으로 플리트비체는 안내책자에 한글 표기가 되어있어 비교적 이용이 수월하다. 7월부터 2개월간 자그레브·두브로브니크·스플리트 지역에 2명씩 총 6명의 경찰관을 파견할 예정이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0757385|#]] 그리고 처음으로 한국 경찰관이 파견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4071529|#]] 크로아티아측에서는 2019년 10월에 관광사무소를 서울에 신설해 한국관광객들을 유치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093749|#]] 한국과 크로아티아간의 사회보장협정이 2019년 11월 1일부터 발효된다고 외교부가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181893|#]] 2020년 7월 17일에 국립해양박물관은 크로아티아의 스플릿해양박물관과 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11752341|#]] === 언어 === [[크로아티아어]]의 경우, 한국에선 배울 수 있는 책들이 적은 편이지만, [[특수외국어]]로 지정돼 있다. 그리고 [[한국외대]]에서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 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ECK교육]]에서 크로아티아와 크로아티아어에 대한 [[http://www.eckonline.kr/eckonline/course_detail.php?uid=976|강좌]]를 개설했다. == 교통 교류 == '''2023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크로아티아로 가는 직항 항공편은 없다.''' [[대한항공]]이 아시아 항공사로서는 최초로 2018년 9월부터 [[인천국제공항|인천]] - [[자그레브 국제공항|자그레브]] 직항을 개설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세계적 대유행의 여파로 2020년부터 운휴됐고 사실상 단항됐다. 항공 여행 성수기 때 부정기편을 띄우거나 한진그룹 계열사인 [[한진관광]]이 패키지 여행객들을 위해 간혹 전세기를 띄우기도 하지만 한시적이다. [[저비용 항공사]] 중에서는 [[티웨이항공]]이 인천 - 자그레브 직항 노선에 대한 주 4회 운수권을 따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취항이 무기한 연기됐다. 당초 티웨이항공은 이 노선에 [[A330]] 여객기를 투입하려 했으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 영공이 막히고 유럽행 노선의 항속거리가 늘어나게 됐고 A330으로는 이 항속거리를 맞추기가 어려워서 취항을 못하는 상황이다. 양국간 직항 노선이 운행되던 시절에는 한국인 관광객들의 크로아티아 입국이 크게 늘었다. 현재도 직항편은 없지만 경유 항공편을 통해 크로아티아로 여행을 가는 이들이 여전히 많다. 양국은 무비자 협정을 체결했기 때문에 비자없이 입국이 가능하다. == 대사관 == 대한민국은 [[자그레브]]에, 크로아티아는 [[서울특별시|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크로아티아/외교]]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크로아티아, version=586, paragraph=9.1)] [[분류:대한민국의 대국관계]][[분류:크로아티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