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콩고민주공화국의 대외관계)] || [[대한민국|{{{#!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콩고민주공화국|{{{#!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width=100%]]}}}]] || || '''{{{+1 [[대한민국|{{{#fff 대한민국}}}]]}}}'''[br]''{{{#fff 大韓民國}}}''[br]''{{{#fff Republic of Korea}}}''[br]''{{{#fff République de Corée}}}'' || '''{{{+1 [[콩고민주공화국|{{{#fff 콩고민주공화국}}}]]}}}'''[br]''{{{#fff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br]''{{{#fff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과 [[콩고민주공화국]]의 관계. 두 나라는 [[1963년]]에 수교하였다. 양국은 [[자이르]] 공화국 시절에도 관계를 유지하였고 현재도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인구가 많은 데다가 정세가 불안정한 것도 보태져서 그런지, 한국에도 콩고 민주 공화국 출신 난민들이 꽤 존재한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1982년 [[자이르]] 공화국의 건국자로 불렸던 당시 대통령 [[모부투 세세 세코]]가 방한한 적이 있다. === 21세기 === 2008년에 콩고민주공화국 정보기관의 직원이 난민으로 인정받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1941253|#]] 그리고 주한 콩고민주공화국 대사는 한국 기업 전용 단지를 만든다고 밝힌 적이 있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1950809|#]] 2010년 이후 [[한국광물자원공사]]가 사무소를 개설하여 구리, 우라늄 개발에 착수했다. [[한국국제협력단]]에서 2천만 달러를 투입하여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도 킨샤사에 '국립박물관'을 건립한다. 사업단의 총괄 책임자는 [[주진오]] 교수가 맡았다. 내전 과정에서 잔인한 성폭행이나 신체 훼손을 당한 여성 피해자들을 치료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6년에 [[서울평화상]]을 수상한 이 나라 출신의 산부인과 의사 [[드니 무퀘게]] 박사는 이후 2018년에는 [[노벨평화상]]도 수상하였다. 2015년 12월 23일에 외교부는 한국 정부가 콩고민주공화국,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소말리아에 각각 50만달러, 총 150만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8072385|#]] 2018년 10월 10일에 콩고민주공화국과 한국의 중소기업이 3조 규모의 가로등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333051|#]] 2019년 1월 30일에 대한민국 외교부는 콩고민주공화국 일부 지역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를 해제하고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이전과 같이 황색경보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612080|#]] 2019년 4월 3일에 현대엔지니어링은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정수장 건설공사를 수주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736935|#]]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에볼라가 발생되자 한국측은 50만달러를 지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8|#]] 킨샤사에서 11월 23일에 한국 정부가 코이카 무상원조 사업으로 지원한 콩고 국립 박물관이 개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236763|#]] 12월 26일에 대전광역시의회는 의장실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의 무케바 칼렝가이 데이비드 등 대표단 일행을 접견하면서 대전-콩고 민주 공화국간 자매도시, 문화교류, 의회와 우호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8&aid=0000608623|#]] 2020년 7월 9일에 코이카와 유엔개발계획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코로나19]] 대응력과 피해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K-방역]] 전수에 나선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35347|#]] 11월 19일에 종근당고촌재단은 제15회 고촌상 수상자로 콩고민주공화국 간호사협회와 에티오피아의 간호사 히윗 멘베르를 공동 선정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025308|#]] 2021년 1월 28일에 LG전자는 콩고민주공화국의 고마시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전기 공급을 도와주는 LG 희망학교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15&aid=0004490964|#]] 2021년 1월말부터 기니에서 에볼라가 발생하고 콩고민주공화국내 에볼라 상황이 심각해지자 방역당국은 콩고민주공화국과 기니를 검역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출입국 검역 강화에 나섰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346891|#]] 2021년 3월 26일에 코이카는 한국 농촌 발전 경험을 콩고민주공화국에 전수하기 위해 킨샤사에 국가농촌지도센터를 개원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285782|#]] 2021년 4월 1일에 코이카는 콩고민주공화국의 국가 원조정보시스템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해 홈페이지를 오픈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300391|#]] 5월 16일, 현대자동차는 콩고민주공화국에 관용차 500대를 수출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4930903?sid=103|#]] 한국 정부는 콩고민주공화국에 3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451266|#]] 2021년 7월 3일에 외교부는 함상욱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이 7월 5일부터 11일까지 콩고민주공화국, 콩고공화국, 가나 등 아프리카 3개국을 방문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501655|#]] 2021년 10월 21일에 경찰대학은 10월 12일부터 20일까지 콩고민주공화국 경찰청·젠더부·보건부 소속 고위 공무원 21명을 대상으로 성 기반폭력 대응 역량강화 연수 과정을 온라인으로 제공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736683|#]] == 대사관 == 대한민국은 1969년에 킨샤사에 상주공관을 개설하였다. 1998년 공관을 철수하였으나 2005년 재개설되었고 2008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서울에 있는 콩고민주공화국 대사관은 1990년에 개설되었다. == 대한민국에서 가는 법 == 콩고민주공화국의 [[공항]]으로는 대표적으로 [[수도(행정구역)|수도]]인 [[킨샤사]]에 있는 [[은질리 국제공항]]이 있는데, 아프리카 대부분의 나라가 그렇듯이 한국과의 직항편이 없었지만, [[2018년]] [[4월]] 즈음부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볼레 국제공항|아디스아바바]]에서 [[인천국제공항|인천]]으로 직항하는 비행기가 생겼다. 대략 15시간 정도 걸린다.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한국과의 직항편은 커녕 [[두바이 국제공항|두바이]] 직항도 없어서 무려 3~4번을 환승해서 한국까지 와야 한다. == 여담 == 1997년경 자이르 공화국 시절 주한 자이르 공화국 대사관이 [[차인표]]의 아버지 소유의 주택을 대사관용으로 임대받고는 3개월 동안 임대료를 체불하여 소송까지 간 적이 있다. 재판에 의해 강제집행 명령이 떨어졌으나 외교공관이라서 강제집행 조차 못하게 되었다.[* 헌법재판소 헌법소원까지 간 끝에 결국 아무것도 받아내지 못했다. 헌법소원 판례를 보고 싶다면 96헌마44로 찾아볼 것.] [[인간극장]]에 출연하여 화제가 된 키토나 부족의 왕자 출신 난민 [[욤비 토나]]씨가 이 곳 출신이다. 자녀로는 유명 유튜버 [[조나단(유튜버)|조나단 욤비]]를 두고 있는 욤비씨는 현재 [[광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었으나, 태국으로 출장 간다고 한 후 복귀하지 않아서 학교측에서 직권으로 면직처리 했다. 한편 그의 큰 아들 라비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성매매를 하게 하려 한 후 성매수자를 협박해 돈을 갈취한 사실로 인해 징역 4년을 선고받고 천안교도소에 복역중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UBzjAJt4OhM|욤비 토나 인터뷰]]. 콩고 민주 공화국에 있을 당시 [[욤비 토나]]는 비밀정보원이었다.[* 작전 수행 중 조셉 카밀라 정권의 비리를 목격하고 이를 콩고 민주 공화국 최대의 야당인 민주사회진보연합에 전해주려다가 발각되어 비밀감옥에 갇히게 되었다고... 그 때문인지 [[5.18 민주화운동]]에 커다란 관심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oNvMzjrEDc|욤비 토나 5.18 특집다큐 영상]]. 콩고 민주 공화국이 왕국에서 서구 열강의 식민지를 거쳐 민주공화국이 된 것은 1960년으로, 이미 대통령제 공화국의 역사가 거의 60년에 가까워지고 있다. 콩고의 인구가 1억 정도인데 800여개의 부족이 합쳐진 나라로 키토나 부족은 인구가 10만 정도의 작은 부족이라고 한다. 헬로 이방인에 이 나라 출신인 프랭크 이마니가 1회부터 마지막회까지 출연을 하였다. [[강남(가수)|강남]]과 함께 모든 회에 출연하였으나, 한국어 실력이 다른 출연진보다 떨어져서 큰 비중은 없었다. 동양인은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차별(?)을 받기 보다 [[중국인]][[중국-아프리카 관계|이라고 싸잡혀서]] 은근히 다른 동양인들이 피해를 입는 케이스가 발생한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한국-아프리카 관계]] * [[콩고민주공화국/외교]] * [[주 콩고민주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중앙아프리카 국가]]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312503?sid=102|‘경상도 출신 콩고 대통령’이 꿈 “하쿠나 마타타”]] - 한국일보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콩고민주공화국/외교, version=50, paragraph=16)] [[분류:대한민국의 대국관계]][[분류:콩고민주공화국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